학벌없는사회를 위한 광주시민모임이 광주권역 전문대학원을 대상으로 <2015년도 신입생 출신학교현황>을 정보공개청구 한 결과, 특정 지역과 특정 대학의 출신이 전문대학원 입학을 독점하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3일 학벌없는사회를 위한 광주시민모임이에 따르면 전문대학원은 <지방대학 및 지역균형인재 육성에 관한 법률> 제15조 ③항에 명시된 ‘법학전문대학원’, ‘의학전문대학원’, ‘치의학전문대학원’ 및 ‘한의학전문대학원’ 등으로서, 해당 법률은 “지방대학의 장은 지역의 우수인재를 선발하기 위하여 입학자 중 해당 지역의 지방대학을 졸업한 사람(졸업예정자를 포함한다)의 수가 학생 모집 전체 인원의 일정 비율 이상이 되도록 노력해야 한다”는 대학의 입학 기회 확대 조항을 명시해 두고 있다. 이러한 법률이 가지는 의미는 전문대학원이 지역의 우수인재를 선발하기 위하여 지역할당제를 실시 할 책무가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광주광역시 전문대학원의 출신 지역 현황을 자세히 살펴보면, 조선대학교는 의학전문대학원 26.4% 치의학전문대학원 31.3%의 신입생이 광주권역 대학 출신이었다. 전남대학교는 법학전문대학원 20.8% 치의학전문대학원 33.3%의 신입생이 광주권역 대학 출신이었으며, 그 중 평균 18.9%가 자교 출신인 것으로 파악되었다(전남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은 2015년도 신입생을 선발하지 않음).


반면 서울권역 대학 출신자 현황은, 조선대학교 전문대학원 신입생의 경우, 의학전문대학원 55.2% 치의학전문대학원 36.3%가 서울권역 대학 출신자였으며, 전남대학교 전문대학원 신입생은 법학전문대학원 67.2% 치의학전문대학원 37.5%가 서울권역 대학 출신자였다. 따라서 전체 평균으로 따져봤을 때 51.9%, 즉 신입생의 절반이 서울권역 대학 출신으로 나타났다.


위의 현황을 통해 알 수 있는 사실은 자교와 서울권역 대학 출신을 제외하면, 29.2% 학생만이 전문대학원을 들어갈 수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결과는 입학의 문이 좁은 전문대학원이 전문·지역대학 졸업생이나 비(非)자교 출신에 대한 충분한 배려 없이 신입생 선발을 진행해 왔음을 보여주고 있다.


전문대학원 입학자들 중 서울권역 대학 출신이 높은 비율을 차지하는 것은 ‘출신학교나 지역의 기회균등 측면’에서 문제가 생길 수 있는 한편, 자교 출신의 비율이 높은 것은 자칫 ‘자기 식구 챙기기’로 비쳐질 수 있다. 그러므로 전문대학원은 능력뿐만 아니라 공익과 균등을 중심으로 신입생을 선발하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며, 2015년도 신입생 선발부터 시행되고 있는 지역할당제는 현재 수준보다 대폭 확대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전문대학원의 본래의 설립 취지인 현장 중심의 실무능력과 이론을 겸비한 고급전문인력 양성이 아닌 극소수의 기득권 유지 및 학벌 양산을 위한 통로로 활용되는 경우 강경한 행·재정적 조치를 취해야 할 것이다.


한편 출신대학 전공별 현황을 분석한 결과, 조선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은 자연대학 출신 32.0%, 치의학전문대학원은 공과대학 출신 27.0%, 전남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은 법과대학 출신 58.4%, 치의학전문대학원은 자연대학 출신 40.3%이 가장 많이 선발된 것으로 나타났다.


위의 현황을 통해 알 수 있는 사실은 자교와 서울권역 대학 출신을 제외하면, 29.2% 학생만이 전문대학원을 들어갈 수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결과는 입학의 문이 좁은 전문대학원이 전문·지역대학 졸업생이나 비(非)자교 출신에 대한 충분한 배려 없이 신입생 선발을 진행해 왔음을 보여주고 있다.


전문대학원 입학자들 중 서울권역 대학 출신이 높은 비율을 차지하는 것은 ‘출신학교나 지역의 기회균등 측면’에서 문제가 생길 수 있는 한편, 자교 출신의 비율이 높은 것은 자칫 ‘자기 식구 챙기기’로 비쳐질 수 있다. 그러므로 전문대학원은 능력뿐만 아니라 공익과 균등을 중심으로 신입생을 선발하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며, 2015년도 신입생 선발부터 시행되고 있는 지역할당제는 현재 수준보다 대폭 확대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전문대학원의 본래의 설립 취지인 현장 중심의 실무능력과 이론을 겸비한 고급전문인력 양성이 아닌 극소수의 기득권 유지 및 학벌 양산을 위한 통로로 활용되는 경우 강경한 행·재정적 조치를 취해야 할 것이다.


한편 출신대학 전공별 현황을 분석한 결과, 조선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은 자연대학 출신 32.0%, 치의학전문대학원은 공과대학 출신 27.0%, 전남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은 법과대학 출신 58.4%, 치의학전문대학원은 자연대학 출신 40.3%이 가장 많이 선발된 것으로 나타났다.


빛가람뉴스 http://www.focusi.co.kr/news/articleView.html?idxno=23613

,

광주지역의 의학과 법학전문대학원 신입중 2명 중 1명은 서울권 대학 출신으로 나타났다. 


학벌없는사회를 위한 광주시민모임은 3일 “광주권역 전문대학원의 올해 신입생들의 출신학교를 분석한 결과 평균 51.9%가 서울권 대학을 나왔다”고 밝혔다. 


전남대 법학전문대학원은 서울권 대학 졸업자가 무려 67.2%에 달했다. 서울대와 연세대, 고려대 졸업자는 19.2% 였다. 전남대 치의학전문대학원도 37.5%의 신입생이 서울권 대학 출신이었다. 


조선대 의학전문대학원은 올해 신입생의 55.2%가 서울 지역 대학을 졸업했다. 조선대 치의학전문대학원도 신입생 36.3%의 출신 대학 소재지가 서울이었다. 이들 대학원 신입생의 18.9%는 해당 대학 졸업자 이기도 했다. 


학벌없는 사회를 위한 광주시민모임은 “전문대학원 입학자들 중 서울 지역 대학 출신이 높은 비율을 차지하는 것은 지역 대학 출신의 기회균등 측면에서 문제가 생길 수 있다”면서 “능력뿐 아니라 공익과 균등을 중심으로 신입생을 선발하도록 노력해야 하며 지역할당제도 확대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경향신문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1509031358291&code=940100

,

학벌없는사회시민모임 “지역할당제 등 균등한 학생 선발해야”


올해 광주권역 전문대학원 신입생 중 절반 이상이 서울권역 대학 출신으로 밝혀졌다. 지방대학이나 전문대학의 학생들이 차별 받지 않도록 선발제도 개선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학벌없는사회를 위한 광주시민모임(이하 시민모임)에 따르면 광주권역 전문대학원을 대상으로 ‘2015년도 신입생 출신학교현황’을 정보공개청구한 결과 평균 51.9%가 서울권역 대학 출신자였다. 


대학별로는 조선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이 55.2%, 치의학전문대학원 36.3%, 전남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은 67.2%, 치의학전문대학원이 37.5%를 차지했다.


반면 광주권역 대학 출신을 살펴보면 조선대 의학전문대학원은 26.4%, 치의학전문대학원 31.3%, 전남대 법학전문대학원 20.8%, 치의학전문대학원 33.3%에 그쳤다. 이중 자교출신은 18.9%였다.


시민모임은 “자교와 서울권역 대학 출신을 제외하면 29.2% 학생만이 전문대학원을 들어갈 수 있다”며 “이는 입학의 문이 좁은 전문대학원이 전문·지역대학 졸업생이나 비자교 출신에 대한 충분한 배려 없이 신입생 선발을 진행했었다”고 주장했다. 


이어 “서울권역 대학 출신이 많은 것은 ‘출신학교나 지역의 기회균등 측면’에서 문제이고 자교 출신의 비율이 높은 것도 자칫 ‘자기 식구 챙기기’로 비쳐질 수 있다”며 “전문대학원은 지역할당제 확대 등을 통해 능력뿐만 아니라 공익과 균등을 중심으로 신입생을 선발할수 있도록 방법을 마련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호행 기자 gmd@gjdream.com


광주드림 http://www.gjdream.com/v2/news/view.html?news_type=201&uid=467656

,

전남대 로스쿨 125명중 서울권 84명

조선대 의학 55.2%·치의학 36.3%

시민모임 “지역할당 50%로 높여야”


광주지역 법학·의학 전문대학원의 신입생 가운데 절반 이상이 서울권 대학 출신인 것으로 나타났다.


학벌없는 사회를 위한 광주시민모임은 3일 광주지역 법학·의학·치의학 등 전문대학원 4곳의 올해 신입생 출신 학교를 조사했더니, 정원 402명 중 51.9%인 209명이 서울권 대학 출신이었다고 밝혔다.


광주권 대학 출신은 26.8%, 해당 대학 출신은 18.9%로 조사됐다. 이들 대학원은 ‘지방대학 및 지역균형인재 육성법’에 따라 입시 때 정원의 20%를 지역할당으로 뽑고 있다.


전남대 법학전문대학원(로스쿨)은 정원 125명 중 67.2%인 84명이 서울권 대학 졸업자였다. 서울권의 성균관대·한양대·서울대 등 3개 대학 출신은 각각 10명이 넘었다. 광주권에선 전남대가 23명으로 가장 많았고, 조선대 2명, 광주대 1명, 순천대 1명 등이었다.


조선대 의학전문대학원은 정원 125명 중 55.2%인 69명이 서울권 출신이었다. 대학별로는 조선대 17명, 전남대 16명, 고려대 12명, 한양대 9명, 연세대 8명 순이었다. 서울권 대학 출신 비율은 전남대 치의학전문대학원 37.5%, 조선대 치의학전문대학원 36.3%를 기록해 모두 광주권보다 높았다.


이 단체는 “지역 인재를 균등하게 뽑아 전문인으로 양성하기 위해 지역마다 전문대학원을 설치했다”며 “애초 목적을 살리려면 지역할당 비율을 50%까지 높여야 한다”고 촉구했다.


또 이 단체는 전문대학원이 애초 취지와 달리 극소수의 기득권을 유지하고, 학벌을 양산하는 통로로 활용되지 않도록 입시제도를 고쳐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 단체의 활동가 박고형준씨는 “법조인과 의료인 등 지위와 수입을 보장받는 전문인 양성과정을 서울권 대학 출신들이 독차지하고 있다”며 “지역 대학 출신으로 법학·의학 전문대학원을 준비하는 이들에게 좁은 문이지만 통과할 수 있다는 희망을 심어주어야 한다”고 말했다.


안관옥 기자 okahn@hani.co.kr


한겨레 http://www.hani.co.kr/arti/society/area/707360.html

,

광주지역 전문대학원 신입생의 절반 이상이 서울지역 대학 출신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학벌없는 사회를 위한 광주 시민모임'이 올해 광주지역 전문대학원 신입생들의 출신 대학을 조사한 결과, 서울지역 출신이 조선대 의학전문대학원의 55%, 전남대 법학전문대학원의 67%를 차지하는 등 평균 52%가 서울 지역 대학 출신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시민모임은 지방대 출신 학생들이 전문대학원 입학에서 소외받지 않도록 지역 할당제를 확대하는 등 제도 개선이 필요하다고 말했습니다.


광주MBC http://www.kjmbc.co.kr/board/index.cfm?bbs_name=todaynews&w=view&wr_id=194783

,

[전대신문] 광주 시민들 우리 대학 열람실 사용 못 해

- 열람실 15년 만에 외부인 사용 전면 금지 논란


도서관 “학생들 불편 끊임없어”…시민단체 “지역사회 의견 수렴 없었다”


도서관 열람실(백도)이 오는 2학기부터 일반인 이용을 금지해 논란이 되고 있다. 지난 2000년부터 15년째 열람실을 일반인에게 개방해왔기 때문에 위와 같은 결정에 있어 일부 시민단체의 반발이 계속되고 있다.


학벌 없는 사회를 위한 광주시민모임은 지난달 11일 보도 자료를 통해 전남대학교가 일반인의 열람실 이용을 전면 금지했다며 대학도서관 이용을 대학 구성원들이나 특정인으로만 일방적으로 제한하는 것은 문제점이 있다고 주장했다. 학벌 없는 사회를 위한 광주시민모임의 박고형준 씨는 “지역사회의 의견 수렴 없이 도서관 이용을 제한했다”며 “일반 시민에게 서비스를 제공했던 전남대이기에 유감이다”고 말했다.


우리 대학 도서관이 일반인의 열람실 이용을 금지한 이유는 학생들의 면학분위기 때문이다. 실제로 새 학기, 시험 기간 등이면 ‘전대광장’에 도서관의 ‘외부인 출입’을 관리해야 한다는 의견이 꾸준히 제기됐다. 도서관 관계자는 “일반인 이용자 증가로 학생들의 열람실 이용에 큰 지장을 초래하고 있다”며 “시험기간에는 ‘자리부족 현상’이 심각하다”고 말했다. ‘외부인 출입 전면 금지’만이 해결책이었을까.


문제는 지역사회에서 국립대학교의 도서관 열람실을 전면 금지함으로써 평소 열람실을 이용했던 일반인들의 공간이 사라졌다는 것이다. ㄱ 씨(경영‧13)는 “기간과 시간을 정해놓는 부분적 제한이나 카드출입을 통해 무분별한 외부인 출입을 막을 수 있다”며 “학생과 일반 시민들이 공생할 수 있는 방법을 찾아야 한다”고 말했다. 도서관에서 만난 시민 ㄴ 씨는 “학생들이 1차적인 서비스 대상이지만 일반인도 열람실을 필요로 한다면 제공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현재 학벌 없는 사회를 위한 광주시민모임은 현재 대학 도서관 개방을 위해 헌법소원을 제기한 상태이다. 또한 우리 대학 도서관 열람실과 관련하여 국가인권위원회에 진정서를 제출할 예정이며 지난 4일까지 매주 금요일 도서관 별관 앞에서 1인 시위를 진행했다. 이에 도서관 관계자는 “졸업생의 경우 일반인에서 제외돼 순수 일반인 이용자 수를 따지면 많지 않다”며 “도서관 신축공사를 계획하면 일반인 이용자를 고려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열람실의 일반인 출입 및 이용은 제한되지만 도서 대출과 열람 서비스는 변함없이 제공된다.


전대신문 http://press.cnumedia.com/news/articleView.html?idxno=12781



,

-“강제학습 악순환 고리, 어른들이 끊자!”

-“교사·학부모·교육당국 강제학습 해결 3주체”


 탁자 위 색색이 종이가 한 뭉치씩 놓였다. 종이엔 ‘학부모가’ ‘학교가’ ‘교육청이’로 시작하는 구절이 빼곡하다. 강제학습의 실태를 뼈아프게 인지한 어른들이 적은 대책들. 더 이상 이 상황을 방치할 수 없다는 어른들의 강력한 의지이기도 하다. 


 지난 18일 광주청소년문화의 집에서 열린 ‘강제학습 토론회’ 참석자들이 탁자에 둘러앉아 대책을 논의했다. 이번 토론회는 ‘광주지역 강제학습 대책위’ 주관으로 강제학습을 근절하기 위해 각자가 실천할 수 있는 일들을 말하는 자리였다. 학생·학부모·교사 등 실제 강제학습의 영향권 안에 속한 주체들이 참여해 이날을 기다렸다는 듯이 강제학습 근절 대책들을 쏟아냈다.


 수많은 의견들이 오갔지만 크게 보면, 시민사회에서 이뤄져야 할 ‘인식변화’와 교육주체들이 나서야 할 내부 ‘환경변화’, 교육당국이 손봐야 할 ‘제도변화’ 등의 항목으로 묶을 수 있었다.


“모든 학생 붙잡아 두는 건 최선 아니다”


 강제학습이 갖는 해악에 대한 인식 제고가 중요함은 누구나 공감하는 대목이다. 학생뿐 아니라 학부모와 교사 등 시민들에게 강제학습이 학생인권을 침해하는 것임을 알릴 필요가 있다는 것. 실제 정규교과 이외에 보충학습과 야간자율학습은 학생이 자율적으로 선택할 수 있는 권리이며, 이를 어떠한 형태로도 강요할 수 없는 것임을 분명히 인식하도록 하는 게 우선이라는 데 이견이 없었다. 


 이를 위해 한 학생은 5주째 이어지고 있는 교육청 앞 강제학습 관련 시위에 당사자인 청소년들이 함께 참여하는 등 적극적으로 캠페인에 나서야 한다는 의견을 냈다. 또한 언론 등을 통해 강제학습 피해사례를 홍보해야 한다는 의견이 있었다. 


 하지만 강제학습에 대한 인식변화와 함께 무한경쟁으로 치솟고 있는 학벌주의에 대한 반성도 함께 이뤄져야 한다는 의견이 제기됐다. 바늘구멍 만큼이나 좁은 입시경쟁을 뚫기 위해 개인의 적성을 무시한 채 내신 및 수능 공부에 올인 하도록 하는 폐단을 짚은 것이다. 


 이에 학교 안에서부터 환경을 개선하는 노력이 중요하다고 입을 모은다. 토론에 참여한 한 고등학교 교사는 “실제 3분의2 이상의 (인문계 고교) 학생들이 성적에 상관없이 대학에 가고 있다”며 “보충수업이든 야간자율학습이든 모든 학생들을 붙잡아 놓는 것이 입시를 위한 최선책은 아님을 데이터로 증명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따라서 학교별로 정확한 정시 지원율을 분석해 실정을 파악하고 실제 수능 준비를 하는 학생 비율을 눈으로 확인하는 게 먼저라는 것. 여기에 이미 수시 비중이 67%에 달하고 있는 입시제도의 변화를 인지하고 학교도 이에 발맞춘 입시 대비 프로그램을 개설하는 등 자체적 노력이 필요하다는 의견이다. 


 또한 교사 스스로 ‘양심선언’ 등을 통해 학생들을 강제적으로 통제하지 않겠다는 입장 표명을 분명히 해야 한다는 요구가 있다. 학생의 인권을 고려하는 참교사라 할지라도 학교라는 제도권 아래선 ‘강제성’조차 모호해져 교사들의 인권의식이 약해질 수밖에 없다는 것. 


 이와 함께 교육청 등 교육당국의 제도개선은 필수불가결하다. 학생들이 학교에 강제로 남아 있는 대신 다양한 방과 후 프로그램 등에 의미 있는 참여가 이뤄질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것.


 학교 내 동아리 활동을 활성화 시키는 것도 교육청의 몫이다. 이 밖에 학교 밖에서 학생들이 모일 수 있는 청소년 공간의 필요성도 제기됐다. 학교가 아닌 대안 공간에서 다양한 문화 활동 및 진로탐색 등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교육청 의지 명확히…전담 장학사 배치를”


 무엇보다 교육청에 대해 강제학습을 금지한다는 입장을 명확히 하고, 이를 철저히 규제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컸다. 대표적으로 강제학습 전담 장학사를 배치하고 문제가 생겼을 때 학생을 구제할 방안이 있다. 


 강제학습 대책위의 이민철 어린이 청소년 친화도시 추진협의회 실행위원은 “학생인권조례에 근거해 강제성을 나누는 기준은 학생이 강제로 느끼면 강제”라며 “강제학습 실태조사의 결과 차이는 실제 현장에서 교육자와 학생들이 느끼는 강제성의 체감이 그만큼 다르다”고 설명했다. 


 이어 “정규교과 이외에 학습이 강제되는 것은 학생 인권침해 사안으로서 교육청에 강제학습 구제 전담 장학사를 배치하는 등 교육청과 함께 대책 고민이 절실한 때”라고 호소하기도 했다. 


 토론회 참가자 중 한 시민은 “15년 전에 고등학생이었던 분과 30년 전 고등학생이었던 분 그리고 현재 고등학생인 참석자가 모두 한 테이블에 있었다”고 말문을 열며 “모두 야간자율학습 등 강제적으로 학습한 경험을 갖고 있었던 게 신기하면서도 이상했다”고 말했다. 


 “그때나 지금이나 그 시간에 잠자고 도망가는 학생들이 있는 건 비슷하지만 교육환경이 많이 바뀌지 않았냐”며 “성적에 매달려 대학에 들어가는 것만이 답이 아닌데 그때보다 지금 더 강압적인 분위기가 있는 것은 말도 안 되는 일”이라고 꼬집었다. 


김우리 기자 uri@gjdream.com


광주드림 http://www.gjdream.com/v2/news/view.html?news_type=202&code_M=2&mode=view&uid=467352

,

벗어날 수 없는 `야자’…“환청에 극단적 생각까지”


“저녁에 (학교에) 남아 공부를 계속하는 게 적응이 안 되더라고요. 작년에는 강제로 잡혀서 (야자를) 했어요. 그런데 올해는 스트레스 때문에 환청까지 들릴 정도로 힘들었습니다.”


 다른 친구들의 강제학습 피해 사례를 발표하던 중 고등학생 A군은 결국, 용기 내 자신의 이야기를 털어놨다. 부모님과 상의한 뒤 야간자율학습을 하지 않겠다고 학교 측에 말했지만 담임교사는 수용하지 않았고, A군은 더 이상 자신의 힘으로 할 수 있는 일이 없다고 느꼈다. 


 “제가 겪은 상황(강제학습)을 종이에 적어서 옥상으로 갔어요. 일종의 유서였습니다.”


 정규 수업이 끝났는데도 저녁 늦은 시간까지 학교에 남아 있어야 할 이유를 알지 못한 채 책상 위를 벗어날 수 없었던 A군은 그렇게 절벽으로 내몰렸다. 사태의 심각성을 알게 된 학교 측은 A군에게 자살예방교육을 받게 한 뒤 A군이 그토록 원했던 자유 시간을 돌려줬다. 


“학력 높이기 위해 학생 인권 무시”


 광주지역 시민단체를 중심으로 꾸려진 강제학습 대책위는 18일 오후 7시 광주청소년문화의집에서 ‘강제학습 근절을 위한 원탁토론회’를 개최했다. 대책위원회는 광주지역 고교를 중심으로 여름방학 동안 강제학습이 이뤄지고 있다고 주장하며 이의 근절을 촉구하며 광주시교육청 앞에서 5주째 시위를 벌이고 있다.


 이번 토론회는 광주지역 학교 강제학습 논란이 본보 기고(8월3, 5일 등)를 통해 쟁점화하면서 이에 대한 공개 토론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커진 데 따른 것이다. 


 토론에 앞서 현실을 가장 잘 알고 있는 학생·학부모·교사가 마이크를 쥐고 ‘강제학습의 실태’를 낱낱이 고백하는 자리가 마련됐다. 


 같은 학교의 B군이 소개한 강제야간자율학습 피해 사례도 A군의 경우 못지않게 학생인권을 침해하는 형태로 이뤄지고 있었다. 


 “선생님께선 야간자율학습 신청서를 나눠줄 때 특별한 사유가 없는 한 작성을 강요하세요. 학생이 자율적으로 선택할 수 있는 권한은 없어요. 부모님 편지를 써와도 쉽지 않고요. 성적이 높은 학생들에겐 아예 직접적으로 ‘실망이다’며 면박을 주는 선생님도 있어요.”


 이야기를 듣고 있던 교사들은 무거운 마음을 안고 마이크를 넘겨받았다. 광주지역 고등학교 교사 C씨는 “학교는 입시 결과를 더 잘 만들어 내기 위한 곳일 뿐”이라며 “학력을 높이기 위해 학생 인권은 철저히 무시되고 있다”고 고백했다. 


 “학생들에겐 생리결석이라는 권한이 있어요. 학기 초에 학생들에게 이러한 기본권을 알려줄 의무가 교사들에겐 있죠. 그런데 교사들은 이를 알고도 묵인하거나 아예 인권의식조차 없는 경우가 많아요.”


“문제의식 있어도 학교에 반기 못들어”


 C씨는 교사들이 학생들의 인권을 보장할 의식자체가 부족하다며 이것은 곧 자율학습에 대한 왜곡된 인식과도 연결된다고 꼬집었다. 


 “정규수업 이외에 학습은 학생들에게 강제할 수 없음에도 불구하고 오직 학생들을 붙잡아 공부시키는 것이 학생들을 위한 것이라는 착각”이 그것이다. 


 야간자율학습 등 학교가 정규수업 외에 학생들에게 학습을 강요하는 행태는 학부모들의 입장을 난처하게 만들기도 한다. 강제학습에 대한 문제의식을 갖고 있는 학부모들조차 학교의 입장에 순응할 수밖에 없는 사회구조적 한계가 있는 것이다. 


 인문계 고등학교 2학년 학생을 둔 학부모 D씨도 마찬가지 경우다. 


 “아이가 고등학교에 입학했는데 오후 6시가 넘어도 집에 안 오는 거예요. 학교에 전화를 했더니 야간자율학습을 하고 있다고 하더라고요. 아이가 불쌍한 생각이 들어서 (야자를) 빼 줄 수 없냐고 했어요. 그런데 담임선생님은 ‘진짜냐’며 되묻고 하루 빠지면 앞으로 1학기 동안 야자를 할 수 없게 된다고 엄포를 놨어요.”


 자율학습이라는 말만 믿고 학생이 학습을 선택할 수 있으리라 믿었던 D씨는 처음엔 학교에 전화하고 반발도 해봤다. 하지만 D씨는 점차 자신도 자율학습을 하는 것이 당연하다는 쪽으로 교사에게 설득되기 시작했다. 


 “우리 애가 (야자를) 빠지면 반 분위기가 흐트러진다고 담임선생님이 말했어요. 또 야자를 안 하는 학생들은 성적이 떨어진다고도 했고요. 어느 순간 저도 우리애가 야자에 꼭 빠지지 않게 해달라고 말하고 있더라고요. 분명히 자율학습을 강제한다는 것 자체가 이상한 건데도 이젠 잘 모르겠어요.”


김우리 기자 uri@gjdream.com


광주드림 http://www.gjdream.com/v2/news/view.html?news_type=202&code_M=2&mode=view&uid=467351

,

GIST, 특목·자율고 출신 절반이상 차지 

전남대·광주교육대는 일반고가 80% 넘어 


광주과학기술원(GIST·지스트)의 신입생 가운데 특목고와 자율고 출신이 절반이상을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전남대와 광주교육대의 경우 일반고 출신이 압도적으로 높은 것으로 드러났다.


20일 '학벌없는사회를 위한 광주시민모임'이 정보공개를 통해 받은 '2015년도 서울대와 광주권역 국립대학교의 신입생 출신학교·지역 현황'에 따르면 지스트는 특목고와 자사고 비율이 높았고, 전남대는 일반고 출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지스트는 신입생 200명 가운데 영재고, 과학고, 외국어고 등 특목고 출신이 83명(41.5%)을 차지했고, 자율고 출신은 29명(14.50%)으로 나타났다.


특목고 중 과학고가 75명, 외국어고 6명, 영재고 2명으로 분석됐으며 일반고 출신은 88명(44%)로 조사됐다.


전남대는 4천495명 중 3천764명(83.74%)이 일반고 출신이었으며, 자율고 511명(11.37%), 특성화고 99명(2.20%) 등으로 나타났다.


광주교육대는 352명 중 290명(82.39%)이 일반고를 졸업했으며 자율형 공립고와 종합고가 각각 20명(5.68%)를 차지했다.


서울대는 일반계고 합격자가 1천658명(50.87%)으로 나타났고 자율고와 특목고 합격자는 각각 704명(21.60%), 892명(27.38%), 특성화고 합격자는 5명(0.15%)이었다.


서울대 합격자 가운데 서울과 경기, 인천을 포함한 수도권 출신의 비율은 2천62명으로 전체 신입생의 63.3%를 차지해 상대적으로 지방 출신 합격자 비율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시민모임은 서울대 입시 전형은 특목고와 자율고 출신 학생들에게 매우 유리한 방향으로 적용되고 있으며 입학자 대부분이 서울지역으로 서울대를 비롯한 일류 대학들이 기회균형 선발과 지역균형 선발의 확대가 요구된다고 밝혔다.


시민모임 관계자는 "특목고와 자율고가 설립 목적과 다르게 입시 준비학교가 되어버렸다"며 "불평등함을 시정하기 위해 정부 차원에서 특목고와 자율고 도입에 대해 재고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양기생기자


무등일보 http://www.honam.co.kr/read.php3?aid=1440082800474410011

,

서울 출신 40% 차지…광주 115·전남 67명

지스트도 절반이상 포함…“대책마련 요구”


2015학년도 서울대 합격자 중 지방 출신 합격자 비율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더욱이 이 과정에서 특목고와 자율고 출신의 편중이 심화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대책마련이 절실하다는 지적이다.


20일 ‘학벌없는사회를 위한 광주시민모임’이 정보공개를 통해 받은 ‘2015년도 서울대와 광주권역 국립대의 신입생 출신학교·지역 현황’에 따르면 서울대 신입생 3천259명 중 40%(1천305명)가 서울지역 출신인 것으로 조사됐다.


이어 ▲경기 619명 ▲부산 157명 ▲대구 151명 ▲인천 138명 ▲광주 115명 ▲경북 109명 ▲전북 108명 ▲대전 103명 ▲경남 85명 ▲충남 83명 ▲강원도 76명 ▲전남 67명 ▲충북 58명 ▲울산 53명 ▲제주 29명 ▲세종시 3명 등의 순이다.


또한 서울과 경기, 인천을 포함한 수도권 출신의 비율은 2천62명으로 전체 신입생의 63.3%를 차지해 지방 출신은 상대적으로 발을 디딜 수 없음을 여실히 드러낸 셈이다.


여기에다 서울대 신입생들의 출신 고교 현황을 살펴보면 자율고와 특목고의 비율이 높다는 것이다. 서울대는 일반계고 합격자가 1천658명(50.87%)으로 나타났고 자율고와 특목고 합격자는 각각 704명(21.60%), 892명(27.38%), 특성화고 합격자는 5명(0.15%)으로 집계됐기 때문이다.


이는 특성화고 출신의 입학 전형이 존재하지만 그 역할이 유명무실함을 보여주고 있는데다, 국립대학으로서의 사회적 책임을 저버리고 있다는 지적이다.


특히 서울대는 수능 중심의 성적만 강조해 선발 하고 있으며, 그 결과 대학 입학을 위한 수능시험 공부의 비중이 낮은 특성화고 출신은 일반 전형으로는 서울대의 문턱을 넘기가 불가능한 결과를 초래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이와함께 지스트(GIST·광주과학기술원)의 신입생 가운데 특목고와 자율고 출신이 절반 이상을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스트는 신입생 200명 가운데 영재고, 과학고, 외국어고 등 특목고 출신이 83명(41.5%)을 차지했고, 자율고 출신은 29명(14.50%)으로 나타났다.


반면 전남대는 4천495명 중 3천764명(83.74%)이 일반고 출신이었으며, 광주교육대는 352명 중 290명(82.39%)이 일반고를 졸업했다.


이에 대해 광주시민모임은 “특목고와 자율고가 설립 목적과 다르게 입시 준비학교가 돼버렸다”면서 “불평등함을 시정하기 위해 정부 차원에서 특목고와 자율고 도입에 대해 재고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박은성 기자 pes@kjdaily.com


박은성 기자 pes@kjdaily.com 


광주매일뉴스 http://www.kjdaily.com/read.php3?aid=14400693233564970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