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IST, 특목·자율고 출신 절반이상 차지
전남대·광주교육대는 일반고가 80% 넘어
광주과학기술원(GIST·지스트)의 신입생 가운데 특목고와 자율고 출신이 절반이상을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전남대와 광주교육대의 경우 일반고 출신이 압도적으로 높은 것으로 드러났다.
20일 '학벌없는사회를 위한 광주시민모임'이 정보공개를 통해 받은 '2015년도 서울대와 광주권역 국립대학교의 신입생 출신학교·지역 현황'에 따르면 지스트는 특목고와 자사고 비율이 높았고, 전남대는 일반고 출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지스트는 신입생 200명 가운데 영재고, 과학고, 외국어고 등 특목고 출신이 83명(41.5%)을 차지했고, 자율고 출신은 29명(14.50%)으로 나타났다.
특목고 중 과학고가 75명, 외국어고 6명, 영재고 2명으로 분석됐으며 일반고 출신은 88명(44%)로 조사됐다.
전남대는 4천495명 중 3천764명(83.74%)이 일반고 출신이었으며, 자율고 511명(11.37%), 특성화고 99명(2.20%) 등으로 나타났다.
광주교육대는 352명 중 290명(82.39%)이 일반고를 졸업했으며 자율형 공립고와 종합고가 각각 20명(5.68%)를 차지했다.
서울대는 일반계고 합격자가 1천658명(50.87%)으로 나타났고 자율고와 특목고 합격자는 각각 704명(21.60%), 892명(27.38%), 특성화고 합격자는 5명(0.15%)이었다.
서울대 합격자 가운데 서울과 경기, 인천을 포함한 수도권 출신의 비율은 2천62명으로 전체 신입생의 63.3%를 차지해 상대적으로 지방 출신 합격자 비율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시민모임은 서울대 입시 전형은 특목고와 자율고 출신 학생들에게 매우 유리한 방향으로 적용되고 있으며 입학자 대부분이 서울지역으로 서울대를 비롯한 일류 대학들이 기회균형 선발과 지역균형 선발의 확대가 요구된다고 밝혔다.
시민모임 관계자는 "특목고와 자율고가 설립 목적과 다르게 입시 준비학교가 되어버렸다"며 "불평등함을 시정하기 위해 정부 차원에서 특목고와 자율고 도입에 대해 재고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양기생기자
무등일보 http://www.honam.co.kr/read.php3?aid=1440082800474410011
'각종 매체 > 언론보도' 카테고리의 다른 글
광주 강제학습 근절 토론회…각양각색 `대책’ 수십 가지 (0) | 2015.08.21 |
---|---|
토론회서 공개된 광주 `강제학습 실태’ (0) | 2015.08.21 |
서울대 수도권·특목고·자율고 편중 심화 (0) | 2015.08.21 |
지스트 신입생 특목고·자율고 출신 절반 차지 (0) | 2015.08.21 |
"서울대·광주과기원, 특목고·자율고 출신 독점” (0) | 2015.08.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