엄기호 (인권연구소 '창' 활동가)

학벌은 정말 우리나라에서 카스트제도와 똑같은 거잖아요. 학벌이 나중에 다시 공부한다고 해서 되는 것이 아니고, 이게 웃기지도 않는게 처음 들어간 대학이 뭔가가 평생을 따라다니는 것이기 때문에 이 운동은 정말 신분철폐 운동이라고 저는 생각해요. 그래서 광주에서도 서울에서도 학벌이라고 하는걸 철폐하기 위해 다 같이 힘을 잘 모아야 할 것 같습니다.

,

이계삼 (오늘의 교육 고정필진)

안녕하세요. 저는 밀양에서 고등학교 교사하는 이계삼이라고 합니다. 어느 날, 박고형준 선생님이 광주에서 여러가지 학벌없는사회 활동을 하는 것을 매체를 통해서 보고 굉장히 반가웠습니다. 기억나는 거는 대학교 입학 플랜카드를 달지 않기를 촉구하는 캠페인을 하는 걸 보고 너무 반가웠습니다. 거대담론으로서의 학벌없는사회 틀이 있겠지만, 작은 이러한 너무나 긴요한 활동을 하는 걸 보고 굉장히 기뻤고 이러한 것이 희망이 아닐까 생각했습니다. 광주에서 너무 잘 하고 계신 것 같고요. 저도 많이 공감합니다. 고맙습니다


,

일시 : 2013년 4월19일 저녁7시, 광주중앙도서관 인근사거리

참가자 : 유동균

한마디 : 나는 나입니다



'나는 나?' 자신을 드러내는데 크게 의미부여 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그냥 자신을 있는 그대로 보여주는 것이 이 캠페인의 목적이니까요. 유동균 님은 중소기업에서 근무하고 계신 분입니다. 한 때 대학생운동을 했는데, 오랜만에 피켓을 들으니까 어색하다고 하네요.^^ 참, 캠페인 끝나고 즉시 회원가입해주셨어요. 감사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