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서라, 김진영, 최하람 (연구공간 환대)

김진영_우리는 환대라는 공간에서 공부를 하는 사람들입니다. 환대는 뜻있는 사람들끼리 모여 배움을 나누는 공간입니다. 우리는 학벌없는 사회가 이뤄져야한다고 믿기에 카메라 앞에 섰습니다.

최하람_학벌사회때문에 고통 받는 사람들이 많습니다. 학벌로 인한 차별은 부조리하며, 천박한 차별이라고 생각합니다. 차별철폐가 됐으면 좋겠습니다. 이를 위한 방법들은 학벌없는 사회를 위한 광주시민 모임 홈페이지에 들어가면 구체적으로 나와있습니다. 예를 들면 서울대 폐지라거나. 서울대를 폐지한다거나. 서울대를 폐지하는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김서라_학벌사회 정말 싫습니다.

,



김상봉 (전남대학교 철학과 교수)

학벌 때문에 얼마나 많은 청소년들이 고통 받는가. 자살이 많았던 게 문제였다. 얼마 전엔 심지어는 자기 친어머니를 살해하는 일도... 이 비극을 그치기 위해서는 서울대 없애고 대학평준화 시켜야한다. 공동전형, 공동 졸업장으로 개편, 제도 개선뿐 만아니라 우리 마음속 욕망도 바뀌어야한다. 나와 내 자식만 명문대 보내서 출세시키려는 것보다 우리 모두 더불어서 잘살도록. SKY안가기 운동 등을 했으면 좋겠다. 전국에 여러 곳에서 애쓴다. 이런 단체와 연대, 지지, 앞으로도 계속 되게 하는 것이 중요하다.

,


장복동 (비정규교수노동조합 전남대분회장)

학벌이 인간 운명을 좌우하는 사회는 품위 없는 사회다. 품위 있는 사회로 가는 길 중에 가장 중요한 것이 학벌체제를 없애는 것이다. 학벌 없는 사회를 실현시켜 사람이 가진 진정한 능력, 인격 등이 사회를 형성하는 기본이 되어야한다고 생각한다. 그런 점에서 이 단체가 끊임없이 활동하는 것은 우리 사회를 건강하게 만드는 가장 중요한 요소라고 생각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