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대·교육대·지스트 수도권대 출신 40% 육박

광주시민모임 “교수 임용 지역할당제 도입해야”


대학사회에 학벌 장벽이 여전히 견고한 것으로 드러나 대책마련이 요구된다는 지적이다.


광주지역 주요 국립대학에 임용된 교수의 출신학교가 수도권대 졸업자의 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기 때문이다.


30일 학벌없는 사회를 위한 광주시민모임(이하 광주시민모임)이 정보공개를 통해 입수한 ‘광주소재 국립대 교수의 출신학교 현황’을 분석한 결과, 수도권대학 출신 교수 임용 비율이 39.1%로 매우 높게 나타났다. 10명 중 4명이 수도권의 특정 대학 출신인 셈이다.


전남대는 전체 교원 1천191명 중 수도권 출신이 42.3%인 504명으로 가장 많았으며, 서울대·고려대·연세대 등 소위 ‘SKY’대 출신은 26.4%로 315명을 나타났다. 광주교대는 78명 중 28명(35.8%)이 수도권 출신이었으며 ‘SKY’대 출신은 14명(18%)으로 나타났다.


광주과학기술원(지스트)은 154명 중 25명(16.2%)이 수도권 출신으로 비교적 낮은 비율을 보이지만, 국외대학 출신이 125명인 것을 감안하면 상당한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셈이다. 또 수도권 출신 대학 25명 중 ‘SKY’대 출신은 23명인 반면, 광주·전남지역 대학과 모교 출신은 단 한명도 없었다.


광주시민모임은 “현행 교육공무원 임용령에 ‘특정대학 학사학위 소지자가 임용 인원의 3분의 2를 초과하지 않아야 한다’는 조항이 있지만, 규정이 미비하고 강제성이 부족해 대학들이 특정대학 출신을 뽑는데 크게 개의치 않고 있다”면서 “교육공무원 임용령 개정을 통한 대학교수 임용의 지역할당제를 도입해야 한다”고 촉구했다./박은성 기자 pes@kjdaily.com


박은성 기자 pes@kjdaily.com


광주매일뉴스 http://www.kjdaily.com/read.php3?aid=1419932665338158005

,

광주지역 국립대학교 교수들의 수도권 대학 출신 비율이 지나치게 높다는 지적이 제기됐습니다.


학벌없는 사회를 위한 시민모임이 전남대와 광주교대, 광주과학기술원 등 광주지역 국립대 교수들의 출신 현황을 분석한 결과 임용된 교수의 39.1%가 수도권 대학 출신으로 나타났습니다.


시민모임은 수도권과 국외 대학 출신이 대학교수 임용을 독차지하고 있는 현상이 이미 국정감사 등을 통해 폐단으로 지적된 만큼 교수 임용에 대한 지역 할당제 도입이 필요하다고 주장했습니다.

,

광주지역 국립대 교수 가운데 수도권 대학 출신이 40%에 가까운 것으로 나타났다.


'학벌없는 사회를 위한 광주시민모임'이 광주소재 국립대 교수의 출신학교 현황을 분석해 30일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전남대와 광주교육대, 광주과학기술원 등 광주지역 3개 국립대의 수도권대학 출신 교수 임용 비율은 39.1%였다.


전남대는 전체 교원 1191명 중 수도권 출신이 42.3%인 504명으로 가장 많았다. 광주교육대는 78명 중 28명으로 35.8%, 광주과학기술원은 154명 중 25명으로 16.2%였다.


광주과학기술원의 경우 상대적으로 수도권대학 출신 비중이 낮은 것처럼 보이지만 전체 교원 154명 중 국외대학 출신이 125명(81.1%)으로 절대 다수를 차지하고 있다. 국내 대학 출신 교수임용자 29명 중 수도권(SKY)대학이 차지하는 비중이 25명으로 86.2%에 달했다.


광주시민모임은 "이처럼 수도권·국외 대학 출신이 대학가의 교수임용을 독차지하고 있는 폐단은 그동안 국정감사 등을 통해 여러 차례 지적돼온 문제"라며 "현행 교육공무원 임용령에는 '특정대학의 학사학위 소지자가 임용인원의 3분의 2를 초과하지 아니하도록 해야 한다'는 규정이 있지만 미비하고 강제성이 부족해 대학들이 특정대학 출신을 뽑는 데 크게 개의치 않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결국 특정대학 출신이 아니고선 교수에 임용되는 것은 하늘의 별따기 보다도 어려운 상황"이라면서 "고학력 시대에 따라 대학원생들이 교수를 지망하게 되는 경우가 많아질 수밖에 없지만, 특정대학 출신의 독점으로 수많은 연구생들이 다른 취업현장을 찾아 발길을 돌리고 있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광주시민모임은 "교육부와 각 대학은 지방에서 열심히 연구 활동에 임하는 연구생들에게 힘을 주고 지역균형발전을 도모하며 치열한 연구를 통해 학문의 발전을 이뤄낼 수 있도록 '지방대학 출신의 교수 임용 확대·개선방안'을 강구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아울러 교육부에 교육공무원 임용령 개정을 통한 대학교수 임용의 지역할당제 도입을 촉구했다. 


hskim@


뉴스1 http://news1.kr/articles/?202388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