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이성필 기자) 광주지역 국립대학교 교수 10명 중 4명이 수도권의 특정 대학 출신 인 것으로 나타나 '지역 할당제 도입 방안'이 마련돼야 한다는 지적이다.


30일 학벌없는사회를 위한 광주시민모임이 '전남대·광주교대·광주과학기술원 교수의 출신학교 현황'을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수도권대학 출신 교수 임용 비율이 약 39.1%로 매우 높았다. 


전남대는 전체 교원 1191명 중 수도권 출신이 42.3%인 504명으로 가장 많았으며 광주교육대는 78명 중 28명(35.8%), 광주과학기술원은 154명 중 25명(16.2%)이다. 


광주과학기술원은 전체 교원 154명 중 국외대학 출신이 125명(81.1%)으로 다수를 차지했으며 국내대학 출신 교수임용자 29명 중 수도권(SKY)대학 비중이 25명에 달했다.


광주시민모임은 "수도권·국외 대학 출신이 대학가의 교수임용을 독차지하고 있는 폐단은 국정감사 등을 통해 여러 차례 지적됐다"며 "현행 교육공무원 임용령에는 '특정대학의 학사학위 소지자가 임용인원의 3분의 2를 초과하지 않아야 한다'는 규정이 있지만 강제성이 부족하다"고 지적했다.


또 "특정대학 출신이 아니고선 교수에 임용되는 것은 하늘의 별따기 보다도 어려운 상황이다"며 "교육부와 각 대학은 '지방대학 출신의 교수 임용 확대·개선방안'을 강구해야 할 것이다"며 "교육공무원 임용령 개정을 통해 대학교수 임용시 지역 할당제 도입 필요하다"고 촉구했다.


경양신문 http://www.kyilbo.co.kr/sub/view.php?seq=246099

,

전남대 42%, 광주교대 35%, GIST는 지방출신 4명뿐

학벌없는모임 "대학교수 지역할당제 도입 시급"


광주지역 현직 국립대 교수 약 40%가 수도권 대학 출신인 것으로 나타나, 교수진마저 지역 차별이 견고하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31일 학벌없는사회를 위한 광주시민모임(이하 시민모임)은 정보공개를 통해 입수한 ‘광주 소재 국립대 교수의 출신학교 현황’을 분석한 결과를 내놨다.


이에 따르면 전남대, 광주과기원 등 지역 국립대에 재직중인 교수 중 수도권 대학 출신 임용자가 39.1%로 나타났다.


전남대학교는 전체 교원 1191명 중 수도권 출신이 42.3%인 504명으로 가장 많았으며, 광주교육대학교는 78명 중 28명(35.8%), 광주과학기술원(GIST)은 154명 중 25명(16.2%)이었다. 


광주과학기술원은 상대적으로 수도권대학 출신 비중이 낮지만, 전체 교원 154명 중 외국대학 출신이 125명(81.1%)으로 절대 다수를 차지해 지역 출신 교수들의 자리는 더 좁았다. 


광주과기원의 경우, 국내대학 출신 교수 임용자가 29명인데 이중 수도권(SKY)대학 출신은 25명으로 절대 다수를 차지하며, 비수도권 대학 출신은 4명에 그쳐 타 대학보다 그 비중이 훨씬 더 낮았다. 


이처럼 수도권·국외 대학 출신이 지역 대학의 교수 사회를 독차지하고 있음에 따른 폐단은 그동안 국정감사 등을 통해서도 여러 차례 지적돼 왔다. 


현행 교육공무원 임용령에는 ‘특정대학의 학사학위 소지자가 임용인원의 3분의 2를 초과하지 않아야 한다’는 규정이 있지만, 강제성이 없어 실효를 거두지 못하고 있다는 게 시민모임의 주장이다. 


시민모임은 “결국 특정대학 출신이 아니고선 교수에 임용되는 것은 하늘의 별따기 보다 어려운 상황”이라면서 “고학력 시대에 따라 대학원생들이 교수를 지망하는 경우가 많지만, 특정대학 출신이 독점하면서 수많은 연구생들이 다른 취업 현장을 찾아 발길을 돌리고 있다”고 밝혔다. 


이 모임은 “이에 교육부와 각 대학에서는 지방에서 열심히 연구 활동에 임하는 연구생들에게 힘을 주고, 지역균형 발전을 도모하며 치열한 연구를 통해 학문의 발전을 이뤄낼 수 있도록 ‘지방대학 출신의 교수 임용 확대·개선방안’을 강구해야 한다”며 “또한 교육부는 교육공무원 임용령 개정을 통한 대학교수 임용의 지역할당제 도입을 마련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이호행 기자 gmd@gjdream.com


광주드림 http://www.gjdream.com/v2/news/view.html?uid=461990

,

광주소재 국립대학교, 수도권(SKY)대학 출신 교수 임용률 높아


(광주=국제뉴스) 문승용 기자 = 대학사회에서 학벌 장벽은 여전히 견고했다.


학벌없는사회를 위한 광주시민모임에서 정보공개를 통해 입수한 ‘광주소재 국립대 교수의 출신학교 현황’을 분석한 결과, 수도권대학 출신 교수 임용 비율은 약 39.1%로 매우 높게 나타났다. 전남대학교는 전체 교원 1191명 중 수도권 출신이 42.3%인 504명으로 가장 많았으며, 광주교육대학교는 78명 중 28명(35.8%), 광주과학기술원은 154명 중 25명(16.2%)이었다.


광주과학기술원은 상대적으로 수도권대학 출신 비중이 낮은 것처럼 보이지만, 전체 교원 154명 중 국외대학 출신이 125명(81.1%)으로 절대 다수를 차지하고 있으며, 국내대학 출신 교수임용자 29명 중 수도권(SKY)대학이 차지하는 비중이 25(23)명에 달했다.


이처럼 수도권·국외 대학 출신이 대학가의 교수임용을 독차지하고 있는 폐단은 그간 국정감사 등을 통해 여러 차례 지적되어온 문제다.


현행 교육공무원 임용령에는 "특정대학의 학사학위 소지자가 임용인원의 3분의 2를 초과하지 아니하도록 하여야 한다."는 규정이 있지만, 규정이 미비하고, 강제성이 부족해 대학들은 특정대학 출신을 뽑는 데 크게 개의치 않고 있다.


결국 특정대학 출신이 아니고선 교수에 임용되는 것은 하늘의 별따기 보다도 어려운 상황이다. 고학력 시대에 따라 대학원생들이 교수를 지망하게 되는 경우가 많아질 수밖에 없지만, 특정대학 출신의 독점으로 수많은 연구생들이 다른 취업현장을 찾아 발길을 돌리고 있는 것이다.


학사모는 "교육부와 각 대학에서는 지방에서 열심히 연구 활동에 임하는 연구생들에게 힘을 주고, 지역균형발전을 도모해야 한다"며 "치열한 연구를 통해 학문의 발전을 이뤄낼 수 있도록 '지방대학 출신의 교수 임용 확대·개선방안'을 강구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또한 "교육부는 교육공무원 임용령 개정을 통한 대학교수 임용의 지역할당제를 도입하라"고 촉구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