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권시민단체 "'전남교육청,해당 학교가 책임 방기"



지난달 전남 순천의 한 고등학생이 

교사로부터 체벌을 받은 뒤 

의식불명 상태에 빠진 사건과 관련해 

광주지역 인권단체와 시민사회단체들이 

해당 학교와 전남교육청의 

책임있는 진상규명 노력과 

재발방지 대책 마련을 촉구했습니다. 


광주인권운동센터와 

학벌없는사회를 위한 광주시민모임 등 

8개 단체들은 오늘 공동성명을 내고, 

사고가 발생한 해당 학교는 

체벌과 뇌사 사이의 인과관계가 확인되지 않았다며 

공식적인 사과도 하지 않은채 

진상규명도 이행하지 않고 있다고 비판했습니다. 


단체들은 이어 

학교측은 이번 사건의 진상규명에 최선을 다하는 한편 

진심 어린 사과와 도의적인 책임을 

져야 할 것이라고 주장했습니다. 


아울러 전남교육청에 대해서도 

해당 학교에 대한 철저한 감사와 함께 

재발 방지 방안을 마련하는 등의 

책임있는 자세를 보이라고 촉구했습니다. 


한편 송모 군은 지난달 18일 오전, 

학교에서 담임 교사로부터 

벽에 머리를 부딪히는 체벌을 받고 

저녁 9시 반쯤 쓰러진 뒤 

의식불명 상태에 빠졌으며 

경찰을 체벌을 가한 해당 교사를 

폭행 혐의로 입건했습니다. 

,

인권·시민단체 "순천 뇌사사건 학교·교육청 책임"


순천경찰 "의사 소견 안나와 수사 결론 늦어져"


(순천=연합뉴스) 김재선 기자 = 지난달 18일 전남 순천 K고등학교에서 발생한 '체벌 후 의식불명'과 관련해 광주인권센터와 학벌없는사회를 위한 광주시민모임 등 8개 인권·사회단체가 10일 성명을 내고 "해당 학교와 전남도교육청은 마땅히 책임질 것을 촉구한다"고 밝혔다.


이들 단체는 "순천 K고는 체벌과 뇌사 사이의 인과관계가 확인되지 않았다며 공식적인 사과도 없고 진상규명도 이행하지 않고 있다"며 "교육기관으로서 해당 학교와 전남도교육청은 마땅한 책임을 져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어 "학교가 체벌과 뇌사 사이의 인과관계에 대한 확인 이전에 먼저 학생과 가족에게 공식으로 사과하고 재발방지 대책을 이야기해야 한다"며 "또한 나날이 늘어만 가는 치료비를 포함해 도의적 책임을 다해야 하는데도 아직 학교는 가족들이 이해할 만한 자세를 보이지 않고 있다"고 덧붙였다.

,

학벌없는사회를 위한 광주시민모임은 '특정학교 합격 게시물 반대운동'만 아니라, 이와 유사한 '특정기업'합격 게시물 반대운동도 진행하고 있습니다. 아래 사진은 최근 우리단체가 광주시교육청에게 민원을 넣어 답변온 서류입니다. 즉, 전문계고 및 마이스터고는 인권침해의 소지가 있는 특정기업 합격 게시물을 걸지 말라는 내용인 것입니다.


요즘같이 자본주의가 치닫을수록 대기업과 공무원이 최고의 직장이라고 섬기는 건 개인의 당연한 논리일지 모릅니다. 하지만 '삼성, LG 등' 대기업만 글로벌하고 안정된 돈벌이만 중요시 생각하고, 취업을 독려하고, 게시물로 자랑하는 것은 '타인을 배척하는 행위'임이 분명합니다.


특정인이 출신기업를 밝힘으로써 다른 주체의 가치가 제대로 평가받지 못하는 사회적 분위기에 대해서 생각해보신적 있으신가요? 취업하지 못한 사람, 상대적으로 돈은 못벌지만 자기 길을 가는 사람에겐 크나큰 박탈감을 심어줄 수 있습니다.


학벌없는사회 광주시민모임은 앞으로도 학벌과 재력, 성별 등은 그것이 무엇이든지 타인을 나와 배척시키는 모든 절대적 기준들을 없애는 것부터 출발해나갈 것입니다. 여러분도 함께 해주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