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에 해당되는 글 5303건

  1. 명문대 합격 현수막 없다는 학교 2015.02.03
  2. 2015년 2월 책읽기모임 안내 2015.02.02
  3. 전교생 이름 거는 학교 2015.01.31

학생들 "모르는 소리 말라" 논란

합격생 명단 대신 졸업생들 이름 다 내거는 10년 전통

언론 모범사례 보도하자 학생들 SNS "사실과 다르다"


'서울대 ○○명 합격', '합격을 축하합니다. 경찰대학 : ○○○, 육군사관학교 : △△△, 해군사관학교 : □□□' '2015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만점을 축하합니다. 00고 3학년 ○○○'. 


해마다 이맘때면 각급 고등학교에 내걸리는 현수막들이다. 최근 많이 줄어드는 추세이지만, 여전히 사라지지 않는 현수막들이다. 국가인권위가 '특정 학교의 합격을 알리는 현수막이 전국적으로 게시되는 것과 관련 학벌로 인한 차별 문화가 우려된다'며 여전히 각 시ㆍ도교육청에 지도ㆍ감독을 요구하고 있을 정도다.


광주 모 고등학교에 내걸린 현수막이 눈에 띌 수밖에 없는 이유다.


이 학교가 내건 대형 현수막에 400명이 넘는 학생들의 이름이 반과 번호 순서대로 빼곡히 담겼다. 이 현수막은 광주 모 고등학교 총동창회와 재학생들이 3학년 졸업생들을 응원하기 위해 만든 것이다. 수능시험 잘 보라고 걸어둔 것을 대입 성적이 나온 이후에도 명문대 합격 현수막 대신 계속 걸어두고 있다. 2007년부터 이어져 오는 이 학교만의 '전통'이다. "10년 이상의 전통"이고 "단 한 학생도 포기하지 않고 사랑하는 마음으로 가자"라는 의미라는 게 학교의 설명이다. 하지만 '갑론을박'도 이어지는 모양새다. 


대표적인 게 '겉과 속이 다르다'는 학생들 반응이다. 한 학생은 '페이스북'을 통해 '좋아 보이는 척 다하는데, 속은 썩어 문드러짐. 안 걸기는 xx 서울대 몇 명, 어디 몇 명, 학부모 설명회마다 난리치고 교무실에도 떡하니 걸어놓는데'라는 반응을 보였다. 또 다른 학생은 '명문대 합격생을 늘리기 위해 심화 특별반을 만들어서 그 어떤 학교보다 스페셜한 차별대우를 제공하는 00고엔 꼭 필요한 처사네요'라고 비꼬기도 했다. 이밖에 '언제부터 저렇게 차별대우 안 했다고''꿈보다 해몽이다''말과 행동이 다르다지''웃어도 되나''이게 뭐냐''겉과 속이 달라도 너무 다르네, 가식에 끝을 보여주네'라는 반응도 부지기수였다. 


대형 현수막 앞에서 찍은 한 장의 기념사진이 학생들 반응을 반영하고 있는 모양새다. 다름 아닌 서울대에 수시합격한 8명의 학생과 학교장, 교감, 교육과정운영부장 등 교직원이 함께 찍은 '기념사진'이다. 학교 측은 이 사진을 학교 홈페이지 게시판에 게시하기도 했다. 학교 측은 "모 언론사에서 요청해 찍은 사진일 뿐"이라고 해명했다. 


특정 학교 합격 현수막 반대운동을 펼치는 학벌없는사회 광주시민모임 한 관계자는 "이 학교의 대범함에 놀라울 뿐"이라며 "더 놀라운 건 뉴스 보도 이후 페이스북에 학생들이 지적한 학교의 이중성이다"고 말했다. 이 학교의 '3학년 학생의 이름이 담긴 특별한 현수막'이 지역 방송사 등에 모범사례로 보도된 것을 두고 한 이야기다.


홍성장 기자


전남일보 http://www.jnilbo.com/read.php3?aid=1422889200461936004




,

학벌없는사회를 위한 광주시민모임 2월 책읽기모임. <인간 정신의 진보에 관한 역사적 개요>라는 책을 가지고 이야기 나눕니다.


2월2일 오후5시, 산수동 사무실에서 진행되오니 많은 관심과 참여바랍니다. 




,


대입 입시철이 마무리되는 요즘 고등학교마다 명문대 몇 명 합격했다. 이런 현수막이 걸리곤 하는데... 최근엔 많이 줄었습니다. 공부 잘 하는 학생 몇 명의 이름을 거는 대신 전교생의 이름을 거는 학교도 있습니다.김철원 기자입니다.
...
대형 현수막에 4백명이 넘는 학생들의 이름이 반과 번호 순서대로 빼곡히 담겼습니다. 이 현수막은 광주 숭일고 총동창회와 재학생들이 3학년 졸업생들을 응원하기 위해 만든 것입니다. 수능 시험 잘 보라고 걸어둔 것을 대입 성적이 나온 이후에도 명문대 합격 현수막 대신 계속 걸어두고 있는 것입니다.

(인터뷰) 이화련 숭일고 학생 "제 이름만 있는 것이 아니라 다른 친구들의 이름들이 모두 있기 때문에 친구들과 좀 더 끈끈한 느낌을 받을 수 있었어요."

(인터뷰) 정준우 숭일고 학생 "다른 구성원을 생각할 수 있는 계기를 줬다고 생각합니다."

2007년부터 전교생 이름을 걸고 있는 학교는 공부 잘 하는 몇몇 학생의 이름을 자랑삼아 내거는 것에 비해 학생들에게 큰 영향을 끼치고 있다고 자평하고 있습니다.

(인터뷰) 정해웅 광주 숭일고 교감 "한번도 현수막에 이름이 걸려보지 못한 학생들이 대부분이잖습니까? 그래서 학생들로 하여금 자기 자신에 대한 자부심이나 학교에 대한 애교심을 갖도록 해보자..."

학벌없는 사회 광주시민모임이 광주시내 학교들을 모니터링한 결과를 보면특정 학교 합격 여부를 알리는 현수막이나 홈페이지 게시물은 줄고 있는 추세입니다.

(인터뷰) 박고형준 학벌없는 사회 광주시민모임 "학벌중심 교육에 대한 반성이지 않겠냐 하는 생각이 들고요. 모든 학생들이 학교에서 존중받을 수 있는 문화가 확산되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국가 인권위원회도 지난 27일 위원장 명의의 성명을 발표하고 "성장하는 청소년들에게 우리 사회가 인격적으로 상처를 주고 학생간 서열 문화를 조장할 우려가 있다"며 특정 학교 합격 홍보물 게시를 자제해줄 것을 전국의 시도교육감에게 요구했습니다.

MBC뉴스 김철원입니다.

 

광주MBC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