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월9일, 황선준 원장님을 초청해 '북유럽식 공동육아와 교육'을 주제로 강연회를 진행했습니다. '라떼파파'처럼 남성들도 육아교육에 전념할 수 있는 성평등 사회를 그려봅니다.

 

스칸디 부모는.hwp

 

 

 

 

 

,

 

 
앵커멘트 : 경기, 전북에 이어 광주시교육청도 이번 학기부터 일선 학교의 등교시간을 8시30분 이후로 조정토록 했습니다. 학생들에게충분한 수면시간을 주겠다는 취지인데요. 잘 지켜지고 있을까요? 백미선 기자가 그 실태를 점검했습니다.

 

리포트 : 새 학기부터 등교시간을 8시 30분으로 늦춘 광주의 한 고등학교입니다. 7시 40분을 넘기면서 학생들이 하나둘 학교로 들어섭니다. 학교 측은학생 자율에 맡기고 있다지만, 입시를 앞둔 3학년 학생들은 8시10분까지 등교하고 있습니다.

 

00고 학부모(음성변조) : "그 시간에 EBS 듣기를 한데요. 굳이 일찍 오라고 한다는 게... 아침에 깨우려면 짠하기도 하구요." 또 다른 학교,8시를 갓 넘겨 학생들의 등교 행렬이 이어집니다.

 

00중학교 학생 : "8시 30분까지 가야 되는데...""지금 가면 뭐해요? 자율학습?" "네, 자습. "광주시교육청이 최근 308개 초중고를 조사한 결과전체의 절반 가까운 학교가 8시30분까지 등교토록 하고 있습니다. 8시50분 이후는 전체의 4분의1에 그쳤고 이마저도 대부분 초등학교입니다.

 

박고형준 / 학벌없는사회 광주시민모임 : "학생들 대다수가 9시 등교를 지지하는 편이기 때문에 교육의 주체인 학생들의 입장을 고려해줘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시교육청은 별도의 제재는 하지 않겠다는 입장입니다.

 

현석룡 장학관 : "인권과 교육과정 정상화 측면에서 추진되었기 때문에 자연스럽게 정착하리라 보고 있구요. 수시로 관리감독을 진행해나가겠습니다."

 

학생들의 충분한 수면시간 보장을 위한 시교육청의 등교시간 조정 정책이학교 현장에서 성공적으로 정착할 지시험대에 올랐습니다. KBS뉴스 백미선입니다.
,

광주지역 일부 고교들이 토·일요일 강제학습을 강행하고 있다는 지적이 제기돼 논란이 되고 있다.

 

더욱이 해당 학교들을 이를 위해 학부모들로부터 자율학습지도비 명목으로 불법찬조금까지 걷고 있다는 주장까지 제기되고 있는 실정이어서 대책마련이 요구된다.

 

9일 학벌없는사회를 위한 광주시민모임(이하 시민모임)에 따르면 최근 일선 고교들 대상으로 ‘강제학습 실태조사’를 벌인 결과, 평일 야간강제학습은 물론 법정공휴일에도 학생과 교사를 등교(출근)하도록 유도했다.

 

실제로 시민모임이 조사한 A고 1학년의 경우 ‘토요일 교과학습 지도 명목’으로 학생들에게 학기당 9만원을 납부하도록 요구한데 이어 ‘토요일 모의평가(사설학원 출제 시험지) 명목’으로 18만원을 추가 납부하도록 했다.

 

또 B여고는 1학년 심화반 45명을 토요일에 등교시켜 3시간동안 교과수업을 실시했으며, C고 2학년도 논술반을 빙자해 주말 강제학습을 실시한 것으로 파악했다.

 

시민모임은 “‘정규수업 이외 교육활동 지침’을 위반한 학교(방학 중 야간자습·9시 등교 등교)에 대해 시교육청에 행·재정적 조치 및 지도감독을 강화해달라고 강력하게 요구했지만 전혀 시정되지 않고 있다”고 주장했다.

 

시민모임은 이어 “시교육청은 ‘광주학생인권조례에 근거해 학습선택권이 존중받아야 한다’는 원론적 입장을 밝히는 것 말고는 별다른 대책을 마련하지 못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실태조사는 커녕 시민단체가 민원을 제기하면 마지못해 움직이는 식의 수동적 자세로 일관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시민모임은 특히 “시교육청의 안일한 지도감독으로 인해 관련 지침 상 공휴일 자습을 금지하고 있는데도 전혀 근절되지 않고 있는 가운데 일부학교에서는 이를 근거로 학부모들에게 자율학습지도비 명목으로 불법찬조금을 걷어 교사들에게 추가근무수당을 지급하고 있는 실정이다”고 토로했다.

 

이에 따라 시민모임은 정규수업 이외 교육활동 실태 전수조사를 실시하고 강제학습에 대한 실질적 대안 등을 마련할 것을 시교육청에게 요청했다.

 

시민모임은 “주말까지 학생들을 등교시켜 학습을 진행하는 것은 교육청의 관련지침을 위반한 것은 물론 학생들의 학습선택권을 침해한 것이다”면서 “가뜩이나 부족한 학생들의 여가생활을 빼앗는 반인권적 행위에 대해서는 대응책이 시급하다”고 요구했다.

 

한편 시민모임 등 광주지역 청소년, 인권단체에서는 강제학습을 실시한 학교관리자를 상대로 국가인권위원회 진정, 검찰 고발, 광주시교육청 민원제기 등 법적대응을 진행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박은성 기자 pes@kjdaily.com

 

광주매일 http://www.kjdaily.com/read.php3?aid=14285790703460490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