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멘트 : 경기, 전북에 이어 광주시교육청도 이번 학기부터 일선 학교의 등교시간을 8시30분 이후로 조정토록 했습니다. 학생들에게충분한 수면시간을 주겠다는 취지인데요. 잘 지켜지고 있을까요? 백미선 기자가 그 실태를 점검했습니다.
리포트 : 새 학기부터 등교시간을 8시 30분으로 늦춘 광주의 한 고등학교입니다. 7시 40분을 넘기면서 학생들이 하나둘 학교로 들어섭니다. 학교 측은학생 자율에 맡기고 있다지만, 입시를 앞둔 3학년 학생들은 8시10분까지 등교하고 있습니다.
00고 학부모(음성변조) : "그 시간에 EBS 듣기를 한데요. 굳이 일찍 오라고 한다는 게... 아침에 깨우려면 짠하기도 하구요." 또 다른 학교,8시를 갓 넘겨 학생들의 등교 행렬이 이어집니다.
00중학교 학생 : "8시 30분까지 가야 되는데...""지금 가면 뭐해요? 자율학습?" "네, 자습. "광주시교육청이 최근 308개 초중고를 조사한 결과전체의 절반 가까운 학교가 8시30분까지 등교토록 하고 있습니다. 8시50분 이후는 전체의 4분의1에 그쳤고 이마저도 대부분 초등학교입니다.
박고형준 / 학벌없는사회 광주시민모임 : "학생들 대다수가 9시 등교를 지지하는 편이기 때문에 교육의 주체인 학생들의 입장을 고려해줘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시교육청은 별도의 제재는 하지 않겠다는 입장입니다.
현석룡 장학관 : "인권과 교육과정 정상화 측면에서 추진되었기 때문에 자연스럽게 정착하리라 보고 있구요. 수시로 관리감독을 진행해나가겠습니다."
학생들의 충분한 수면시간 보장을 위한 시교육청의 등교시간 조정 정책이학교 현장에서 성공적으로 정착할 지시험대에 올랐습니다. KBS뉴스 백미선입니다.
'각종 매체 > 언론보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말 강제학습과 불법 찬조금 양성 논란, 이에 대한 교육청은 입장과 대책은? (0) | 2015.04.13 |
---|---|
일선 고교, 토일 강제학습 파행운영 (0) | 2015.04.13 |
광주 일부 고교 공휴일 강제학습 ‘논란’ (0) | 2015.04.13 |
광주 일부고교 '토요 강제학습ㆍ불법 찬조금' 여전 (0) | 2015.04.13 |
주말 강제학습비 학부모에 불법찬조금 요구 (0) | 2015.04.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