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광역시교육청은 자체감사 규정 개정을 통해 적극행정 면책제도를 도입하여 운영 중이다. 이 제도는 불합리한 규제 개선, 공익사업 추진 등 공공의 이익을 위한 적극적인 업무 처리를 유도하고자 마련되었다.

 

- 기관 및 공직자의 업무 추진 과정에서 일부 절차 위반이나 손실, 민원 유발 등의 부작용이 있더라도, 업무의 공익성과 적극성을 충족하고 고의 또는 중대한 과실이 없을 경우에 면책이 가능하다.

 

- 그러나 우리 단체가 정보공개청구를 통해 확인한 결과, 2020~2025년 적극행정 면책을 신청한 경우는 단 2건에 불과했다.

 

연도 기관 건명 심사 결과
2021 광주학생교육문화회관 공유재산 사용·수익 허가 업무 소홀 기관주의 불문
2021 광주광역시동부교육지원청 학원 설립·등록업무 부적정 기관주의 불문

2020~2025년 광주시교육청 적극행정 면책 심의 현황

 

아울러 광주시교육청은 2020년부터 '사전컨설팅 감사제도'를 도입했다. 이 제도는 업무 추진 시 법령 해석이나 규정 적용이 모호한 경우, 사전 자문을 통해 적극행정을 장려하고 부패를 예방하기 위해 마련되었다.

 

- 사전컨설팅 감사 결과에 따라 업무를 처리하면 적극행정 면책 기준을 충족한 것으로 간주되어 기관 및 공직자에게 책임을 묻지 않을 수 있다.

 

- 하지만 이 제도 역시 202015건에서 지난해(2024)에는 1건으로 크게 줄며, 사실상 활용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연도 2020 2021 2022 2023 2024 2025
건수 15 2 1 4 1 0
답변 인용 10, 의견제시 3, 반려 6, 기각 4

2020~2025년 광주시교육청 사전컨설팅 감사 심의 현황

 

이처럼 광주시교육청이 공직사회 혁신을 위해 적극행정을 독려하고 있음에도, 관련 제도를 활용하지 않는 현실은 매우 아쉬운 대목이다.

 

- 이에 모든 기관과 공직자들이 사전컨설팅 감사와 면책제도를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실효성 있는 교육과 홍보에 더욱 힘써 줄 것을 촉구하는 바이며, 타 시·도 사례(감사자 직권 면책 신청, 면책 적용범위 확대 등)를 참고하여 제도를 강화해 나갈 것을 광주시교육청에 요구하는 바이다.

 

2025. 4. 28.

 

학벌없는사회를 위한 시민모임

,

교육부는 2025년 전격적으로 인공지능 디지털교과서(이하, AIDT)를 도입했다. 이를 이용하려면 우선 교육디지털 원패스(이하, 원패스)’에 가입해야 하는데, 전국적으로 가입률은 평균 75%에 머물고 있다.(2025418일 기준) 광주는 전체 대상 학생 6,521명 중 5,184명이 가입해 79.5%로 전국 평균을 다소 상회하는 수준이다.

 

* 교육디지털 원패스란?
교직원 및 학생이 교육디지털원패스 하나의 ID로 다양한 인증수단을 선택하여 공공·민간 교육 관련 사이트 등을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서비스 제공

 

- 광주시교육청은 2025AIDT 구독료로 569천여만 원의 막대한 예산을 확보해 집행하고 있는데, 원패스 미가입 학생이 1,337명에 달하여, 이들을 위해 지출된 예산은 사실상 버려지고 있다. 특히 AIDT 선정 학교 중 일부 학급은 활용하지 않고 있어, 구독신청만 하고 장식용으로 쌓여가는 시스템으로 전락하고 있다.

 

구분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합계
금액 2,461,050,000 1,671,187,500 1,562,887,500 5,695,125,000

2025년 광주광역시교육청 확보 예산 - 학교급별 AIDT 구독료 (단위 : )

 

- 광주시교육청이 AIDT 사업을 진행하는 태도에도 문제가 있다. 사업 관련 정보를 공개하고 문제 제기를 수렴하기보다, AIDT 선정 학교명, 학교별 가입률 등 단순 정보조차 비공개하는 등 귀 막고 돌진하는 행태를 보이고 있기 때문이다. 소중한 혈세가 어디에 쓰이는지 알 수 없어서 생기는 피해는 모두 주권자들이 떠안아야 한다.

 

한편, 교육부는 원패스 가입률이 저조하자, 이를 부풀리기 위해 교사가 학생 대신 이메일 인증 없이 대리 가입하는 방식을 도입하기로 했다. 이는 전시하기에 급급한 일방 행정으로 현장 혼란을 부채질할 뿐이다. AIDT 활용 방안 부실, 인프라 부족 등 여기저기서 쏟아지는 쓴 소리는 외면한 채 그 부담은 일선 교사에게 전가되고 있다.

 

많은 교사들이 한 해를 분주하게 준비하는 시기에 교육 고유의 업무보다 원패스 가입에 시간과 땀을 쏟고 있으며, 개학 한 달이 지나도록 일부 학생과 학부모는 여전히 원패스 가입을 주저하고 있다. 이는 AIDT 정책이 학교 현장에서 신뢰를 얻지 못하고 있다는 반증이다.

 

교육당국은 AIDT 정책의 전제를 성찰하고, 지금이라도 원점에서 정책을 다시 검토해야 한다. 이에 우리 단체는 다음과 같이 강력히 요구한다.

- 교육부는 졸속적인 AIDT 추진을 즉각 중단하라.

- 광주시교육청은 AIDT 정책 추진 현황을 투명하게 공개하라.

 

2025. 4. 24.

 

학벌없는사회를 위한 시민모임

,

https://stib.ee/MjOH

 

학벌없는사회를 위한 시민모임 2025년 3번째 소식지

 

stibee.com

 

'각종 매체 > 웹소식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년 5번째 웹소식지  (0) 2025.07.03
2025년 4번째 웹소식지  (0) 2025.05.07
2025년 2번째 웹소식지  (0) 2025.02.06
2025년 1번째 웹소식지  (0) 2025.01.03
2024년 7번째 웹소식지  (4) 2024.10.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