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광주광역시교육청은 공교육에 처음 진입하는 이주배경학생들의 학교생활 적응을 돕고, 학부모와 학교 간의 원활한 소통을 지원하기 위해 통번역 서비스를 운영하고 있다. 이 사업은 다문화 친화적인 교육 환경을 조성하는 데 있어 중요한 기반으로, 그 필요성이 점차 강조되고 있다.
○ 우리 단체가 2024년 한 해 동안 광주시교육청의 통번역 서비스 지원 현황을 분석한 결과, 서비스 이용이 특정 지역에 편중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533건 중 343건(약 64.4%)이 광산구 소재 18개 학교에서 집중적으로 이루어졌으며, 다른 자치구의 학교들은 실적이 현저히 낮았다.
기 관 별 |
학교 | 교육행정기관 | 합계 | |||||||
광산구 (18개교) |
북구 (6개교) |
동구 (2개교) |
서구 (1개교) |
남구 | 기타 | 교육지원청 (2개 기관) |
산하기관 (6개 기관) |
교육청 | ||
지원 건수 |
343 | 24 | 6 | 1 | 0 | 65 | 17 | 70 | 7 | 533 |
비율 | 64.4 | 4.5 | 1.1 | 0.2 | 0 | 12.2 | 3.2 | 13.1 | 1.3 | 100 |
▲ 2024년 광주광역시교육청 이주배경학생 통번역 서비스 지원 현황
- 이는 전체 이주배경학생의 48.8%가 광산구 학교 재학생이라는 점을 감안하더라도, 다른 자치구 학교의 통번역 서비스 이용은 극히 저조해 지역 간 편차가 두드러진다.
- 언어별 지원 실적에서도 편중 현상이 뚜렷하다. 총 12개 언어가 지원되었지만, 러시아어가 380건으로 압도적인 비중을 차지한 반면, 다른 언어의 지원 실적은 미비한 수준에 그쳤다. 이는 이주배경학생의 부모 출신국 비율을 고려했을 때, 실제 수요를 반영하지 못한 결과이다.
○ 한편, 여성가족부 산하기관인 한국건강가정진흥원을 통해서도 무료 번역 서비스를 신청할 수 있으나, 광주 지역 학교들은 2024년 한 해 동안 해당 서비스를 한 차례도 이용하지 않았다.
- 이처럼 교육당국과 보육당국이 통번역 지원체계를 갖추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학교 현장에서 이를 적극적으로 활용하지 않는 현실은 매우 아쉬운 대목이다.
○ 결국 가정통신문이나 학교생활과 관련된 중요한 정보를 통번역으로 제공받지 못한 이주배경학생들은, 같은 출신국의 친구나 지인의 도움을 받아 내용을 이해하는 경우가 적지 않다고 한다. 이러한 언어 장벽은 학생과 학부모의 정보 접근권과 학습권을 보장하는 데 큰 걸림돌이 되고 있다.
- 이에 우리단체는 다음과 같이 광주시교육청에 요구하는 바이다.
전 학교에 통번역 서비스 이용을 적극 독려하고, 형평성 있는 서비스 제공이 이루어질 것
교내 다문화 담당자에 대한 교육 강화를 통해 이주배경학생에 대한 관심과 인식을 높일 것
외부 기관과의 협력을 확대하고, 다양한 언어권을 포괄할 수 있는 통번역 인프라를 강화할 것
2025. 4. 22.
학벌없는사회를 위한 시민모임
'주요사업 > 보도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보도자료] 광주시교육청은 사립학교의 과도한 기간제 교원 비율 개선하라 (0) | 2025.04.21 |
---|---|
[기자회견문] 한 자녀 가정의 꿈을 빼앗는 꿈드리미 사업!이정선 교육감은 사과하고 개선 방안 마련하라! (0) | 2025.04.17 |
[보도자료] 실효성 없는 화해권고, 보조금 반납을 회피하는 낭암학원 (0) | 2025.04.15 |
[보도자료] 광주시교육청의 상습적인 개인정보 침해를 규탄한다 (1) | 2025.04.10 |
[보도자료] 광주 학교 장애인 편의시설, 설치율은 높지만 적정 설치는 미흡 (1) | 2025.04.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