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등일보 www.honam.co.kr/detail/G3XMjU/642117

 

광주 시민사회, '학원교습시간 줄이기' 조례 개정 추진

광주지역 시민사회 단체가 '학원 수업 없는 일요일' 등 학원 교습 시간 조정을 위한 광주시 학원운영조례 개정 입법 운동을 추진해 나가기로 했다.

www.honam.co.kr

 

,

최근 실시한 학원운영에 대한 학교급별 적절한 학원 교습 시간 여론조사(이하, 여론조사)결과, 학원일요휴무제에 대해 광주지역 학생·학부모가 대부분 찬성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학원 교습 시간을 조정할 필요가 제기되었으며, 제 광주지역 시민사회는 이 사안을 공론화하기 위한 협의체를 구성하자고 광주광역시의회와 광주광역시교육청에 제안했다.

 

이번 여론조사는 광주광역시 시민권익위원회의 권고 및 광주광역시의회 교육문화위원회 사업에 근거하여 추진되었다. 대체로 조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주당 학원 교습시간) 학교급이 높을수록 길었다.

_ 유치원생 2.3시간, 초등학생 5.5시간, 중학생 6.8시간, 고등학생 8.8시간

 

(학원 교습 종료시간) 학교급이 높을수록 늦추어졌다.

_ ·초등학생 19시 이전, ·고등학교 학생 21~22시 사이.

 

(교습 시간이 적정한가) 학생, 학부모 약 1/3학원교습시간을 줄여야 한다.응답.

_ 그 이유로 다수가 성장기 학생들의 건강한 신체 및 정서적 발달 보장을 선택.

_ 학원 교습시간을 조정해야 한다는 응답자 모두 학교급에 따라 시간조정을 해야 한다.’고 응답.

 

(학교급별 적절한 교습 시간) 광주시 학원 교습시간 기준과 큰 차이 드러남.

_ 유치원 오전9~오후6, 초등학교 오전9~오후6, 중학교 오전5~오후8

 

(학원 일요 휴무제에 대한 의견) 찬성하는 학부모, 학생이 응답자의 절반이상

_ 그 이유로 학부모는 주말을 가족과 함께 보낼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학생은 학생들에게 제도적으로 휴식권을 보장하기 위해를 가장 많이 선택하였다.

 

한편, 광주시교육청도 2020. 12. 28. ~ 12. 31. 간 광주지역 학원·교습소를 대상으로 학원 교습시간 운영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는데, 놀랍게도 응답자 중 40%가 학원일요휴무제에 찬성했다. 그 이유로 학생들에게 제도적으로 휴식권을 보장하기 위해를 가장 많이 선택하였다.

 

국가 공동체의 운명을 짊어질 어린이, 청소년들이 성적과 입시에 찌들어 아침 식사를 할 시간, 운동할 시간, 취미를 즐길 시간, 충분히 잘 시간을 보장받지 못하는 것은 우리 사회에 심각한 위협이 될 수밖에 없다. 우리 사회의 미래를 학원 시장의 경쟁에 내던져 두기보다 학교급 등을 고려하여 학원 교습시간을 줄이기 위한 실질적 제도 개선이 필요하다. 학원일요휴무제는 그 첫 걸음이 될 것이다.

 

이에 광주지역 시민 사회는 이 사안에 대한 국민적 공감대를 넓히고, 구체적인 실천 방안을 고민하는 한편 궁극적으로 공교육의 본질이 환기될 수 있도록 의회·민간·행정 협의체 구성을 제안한 바 있다. 앞으로도 토론회·공청회 등을 통해 광주시 학원운영조례 개정 관련 입법 운동을 추진해 나갈 것이다.

 

2021. 3. 4. 광주학원교습시간 감축을 위한 시민모임

(광주YMCA, 광주광역시청소년노동인권센터, 광주인권지기 활짝, 광주참교육학부모회, 광주광역시청소년활동진흥센터, 전국교직원노동조합 광주지부, 학벌없는사회를 위한 시민모임)

,

노컷뉴스 www.nocutnews.co.kr/news/5508550.re

 

전라남도교육청, 교장 갑질 솜방망이 처벌 논란

전라남도교육청이 교사들을 상대로 갑질을 일삼은 교장에 대해 솜방망이 처벌에 그쳐 논란이 일고 있다. 전교조 전남지부에 따르면 담양 모 초등학교 교사 5명은 지난 2020년 9월 초 1년여 동안의

www.nocutnews.co.kr

 

,

뉴시스 newsis.com/view/?id=NISX20210302_0001355412&cID=10201&pID=10200

,

경향신문 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2101172036005&code=620114#csidx83bbb7e6a18e59a8975064d72ac126b

,

뉴시스 newsis.com/view/?id=NISX20210301_0001354584&cID=10201&pID=10200

 

"전남 모 여고 교감 상상초월 갑질 의혹, 철저 감사를"

[광주=뉴시스] 구용희 기자 = 학벌없는 사회를 위한 시민모임은 1일 "최근 전남도교육청이 온갖 갑질과 부조리 의혹으로 신고된 전남 모 여고 교감에 대한 감사를 진행 중이다

www.newsis.com

 

,

경향신문 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2102232124005&code=620100

 

“일괄 우유급식 정책 변화 필요…두유·과즙 등 학생 선택권 줘야”

모든 학생들에게 일괄적으로 우유를 지급하는 방식의 ‘무상 우유 급식’ 정책을 두고 학생들의 선택권을 보...

news.khan.co.kr

 

,

광주드림 www.gjdream.com/news/articleView.html?idxno=606233

 

“명진고, 복직 손규대 교사에 유치한 탄압’” - 광주드림

\'보복성 해임\' 7개월여만에 복직한 명진고(학교법인 도연학원) 손규대 교사가 여전히 따돌림 당하고 있다는 주장이 제기됐다.교사 단체 대화방에 참여하지 못하고, 여학생 기숙사를 담당하게

www.gjdream.com

 

,

무등일보 www.honam.co.kr/detail/G3XMjU/641456

 

광주예술고 전공실기강사 못구해 교육권 침해

광주예술고등학교 조소·디자인 전공 등 일부 미술과 전문실기강사의 모집인원이 미달돼 학생들의 교육권이 침해받을 우려가 있다는 지적이 제기됐다.학벌

www.honam.co.kr

 

,

최근 ○○학원(광주광역시 소재) 원장이 2020. 12. 중순경 시험성적이 낮다는 이유로 가위를 들고 학생을 위협하거나, 대나무봉으로 엉덩이를 때리는 등 정서적, 신체적 학대를 저질렀다는 제보가 접수되었다.

 

_ 피해학생은 2017년부터 최근까지 학대를 당해왔는데, 해당 원장이 무서워 부모에게 말도 못한 채 혼자 감당했다고 한다. 다른 학생들도 신체적 학대를 당했다.

 

_ 최근에는 고등학교에 진학한다.’는 명분으로 신체적 학대가 더욱 심해졌으며, 피해학생은 통증을 견딜 수 없어 결국 학원을 그만두었는데, 해당 원장은 전혀 잘못을 뉘우치지 않아 부득이 형사고소가 이루어져 현재 수사 중이다.

 

해당 학원 원장은 교육 목적의 체벌이라 주장할 수 있으나, 피해정도(가해 횟수와 기간, 치료 기간, 피해 인원 등)를 고려할 때 이는 아동복지법상 명백한 아동학대에 해당한다. 아동보호기관, 법조인 등 전문가 의견을 봐도 가해자는 관련법에 근거 처벌받게 될 가능성이 크다.

 

그런데, 학원을 지도 감독해야 하는 기관인 광주광역시교육청의 대응 방식에는 여러 가지 문제점이 있었다.

 

_ 보통 아동학대 민원을 접수했을 경우, 시급하게 CCTV자료를 확보하여 사실관계를 파악하게 된다. 하지만 광주시교육청은 해당 학원 지도점검 시 CCTV를 아예 거들떠보지도 않았다.

 

_ 피해학생 측에서 CCTV 자료 열람을 요구하자, 그제서야 광주시교육청은 ‘(수 백 명이 재원 중인 학원에) CCTV만 있고 영상 저장장치가 없다.’는 사실을 뒤늦게 알아챘다. 피해학생의 부모는 증거가 인멸된 것은 아닌지 속만 타들어가는 상황이다.

 

_ 피해자 보호와 치료에도 소홀했다. 수사기관이 신고 접수 즉시 피해학생을 아동보호전문기관에 연결해준 것과 대조적으로 교육기관인 광주시교육청은 피해학생 보호와 치유를 위해 어떤 프로그램도 지원하지 않았다.

 

_ 광주시교육청은 ○○학원 원장이 아동학대 등 동종범죄가 있고 교습시간 임의 연장 등 추가 위법 사실이 있다는 것도 확인하지 않았다. 대신 피해학생 부모에게 (교육청이 할 수 있는 조치는) ‘벌점 30(경고 및 시정명령) 수준이다는 형식적인 답변을 했을 뿐이다.

 

학생들은 성적을 유지하거나 만회하려는 중압감 속에서 학원으로 내몰린다. 안타깝게도 그런 절실함이 일부 학원 관계자의 폭언과 폭력을 여린 몸으로 버텨내게 한다. 진로와 성적에 대한 학생 불안이 클수록 인권의 사각지대가 발생하는 비극이 벌어지고 있는 것이다.

 

_ 이런 현실을 보호자와 관계 기관들이 방관하고 있는 것만으로도 충분히 서글플 터인데, 신고 된 피해에 대해서조차 광주시교육청은 이해할 수 없는 게으름을 보여주고 있다. 이와 같은 폭력을 뿌리 뽑겠다는 강력한 행정 의지가 없는 한 폭력은 사그라들지 않을 것이다.

 

이에 학벌없는사회를 위한 시민모임은 광주시교육청에 다음 사항을 강력하게 요구하며, 더 이상 교육행정의 게으름이 학원가의 폭력을 격려하는 악순환이 반복되지 않길 바란다.

 

- 다음 -

피해학생의 적극적인 구제 및 치료

▴ ○○학원의 추가 지도점검 및 행정처분(영업정지)

교육청 책임자(교육감 등)의 진솔한 사과와 성의 있는 면담

 

2021. 3. 2. 학벌없는사회를 위한 시민모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