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방 국립대가 수도권 대학 출신 교수를 우대하고 있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습니다.


- 학벌없는 사회를 위한 광주시민모임은 광주 소재 국립대 교수의 출신학교 현황을 분석해 30일 발표했는데요. 


- 자료에 따르면 전남대·광주교육대·광주과학기술원 등 광주지역 3개 국립대의 수도권 대학 출신 교수 임용 비율이 39.1%나 됐습니다. 교수 10명 중 4명이 수도권 대학 출신이라는 건데요.


- 전남대는 전체 교원 1천191명 중 수도권 출신이 42.3%인 504명이었습니다. 광주교육대와 광주과학기술원은 각각 35.8%와 16.2%로 집계됐는데요. 이 중 광주과학기술원의 현황이 재밌습니다.


- 광주과학기술원은 전체 교원 154명 중 국외대학 출신이 125명(81.1%)이었는데요. 국내 대학 출신 교수 29명 중 수도권 출신이 25명이었습니다. 


- 광주시민모임은 "교육공무원 임용령에는 '특정대학의 학사학위 소지자가 임용인원의 3분의 2를 초과하지 않도록 해야 한다'는 규정이 있지만 유명무실화된 상태"라며 "교육부와 각 대학은 지역 균형발전을 도모할 수 있도록 지방대학 출신 교수의 임용 확대·개선방안을 강구해야 한다"고 주문했습니다.


매일노동뉴스 http://www.labor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129543

,

2014년 12월 살림살이

from 살림살이 2014. 12. 31. 17:48

수입

12월

지출

12월

정기회비

자동이체 

35000

인건비

4대보험

214,440

활동비

1,000,000

CMS이체

3,196,389

공과금

홈페이지 관리비

10,000

사업비

월례강연회

100,000

사무실 임대료

100,000

전화,인터넷

60,490

기타

결산이자

154

문자, 팩스

50,000

사무국

사람책도서관

200,500

연대사업

113340

정보공개수수료

4,600

물품구입

10,000

회의비

62840

홍보비

440,000

합계

3,331,543

합계 

2,266,210

 

 

 

 

 

 

 

 

 

 

 

 

 

 

 

 

 

 

 

 

 

 

 

 

 

 

 

 

 

 

부채잔금 : 150만원(사무실 공사비)

 

12월.hwp

,

SKY대 비율 압도적 “학벌 편중 막게 임용령 개정해야”


지역할당제로 교수 학벌장벽을 허물어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학벌 없는 사회를 위한 광주시민모임은 30일 “전남대·광주교대·광주과학기술원 교수의 출신 대학을 분석했더니 10명 중 4명은 수도권 대학 출신이었고, 이 중에서도 서울대·연세대·고려대 등 3곳의 비율이 압도적으로 높았다”고 밝혔다.

 

이 단체는 지난 10월15일 광주시에 있는 국립대 3곳에 정보공개를 청구해 전임강사 이상 교수들의 출신 대학을 살폈다.

 

전남대는 교수 1191명 중 수도권 출신이 42.3%인 504명이었다. 서울대·연세대·고려대 등 3곳 출신은 전체의 26.4%인 315명으로 나타났다. 학교별로는 전남대 출신이 503명(42.2%)으로 가장 많았고, 서울대 215명, 연세대 51명, 고려대 49명 등 차례였다. 이어 한양대가 30명을 기록했고, 한국과학기술원·부산수산대 23명, 조선대 18명, 이화여대 17명, 부산대 15명, 전북대 14명, 충남대 13명 등으로 조사됐다.

 

광주교육대는 교수 78명 중 수도권 출신이 28명(35.8%)이었다. 이 가운데 서울대·연세대·고려대 출신은 14명(18%)으로 집계됐다.

 

광주과학기술원은 교수 154명 중 국외 대학 출신이 112명(72.7%)이고, 국내 대학 출신은 42명(27.3%)이었다. 국내 대학에선 서울대가 22명으로 최다였고, 한국과학기술원 12명, 포항공대 2명 등이 뒤를 이었다.

 

이 단체는 “국정감사에서도 특정 대학 출신이 교수직을 독차지하며 대물림하는 현상이 지적됐지만 개선될 기미가 거의 없는 실정이다. 특정 대학 쏠림의 실태를 확인하기 위해 정보공개를 청구했다”고 밝혔다. 이 단체는 이어 “교육공무원 임용령에는 ‘특정 대학의 학사학위 소지자가 3분의 2를 초과하지 않아야 한다’는 규정이 있지만 강제성이 없어 대학들이 개의치 않고 있다. 임용령을 개정해 지방대학 출신의 임용을 확대하는 지역 할당제를 도입하고, 대학별 교원임용위원회도 교수집단한테만 맡겨두지 말고 지역위원과 학생위원을 참여시켜 의견을 들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박고형준 이 단체 활동가는 “특정 대학을 나오지 않으면 교수 되는 것이 하늘의 별 따기보다 어렵다. 공평해야 할 교수 사회가 진입장벽을 쳐두고 학벌에 따라 독과점하고 대물림하는 게 말이 되느냐. 이래서는 학문의 발전도 이룰 수 없는 만큼 서둘러 고쳐야 한다”고 말했다.


U라인 http://usline.kr/n/news_view.html?c=n_uni&seq=206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