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고형준 (학벌없는사회 광주모임 상근활동가)

1.jpg

▲ 2009년 수능시험날, 광화문 정부청사 앞에서 수능거부 일인시위를 하는 학생

우리의 삶은 학벌 문제로부터 얼마나 자유로울까? 대학의 경쟁을 넘어 대학원, 석사, 박사과정을 밟는 사람들, 토플시험을 보겠다며 매일 인터넷 앞에서 죽치고 있는 사람들, 자격증 시험으로 가득 찬 약속과 밀린 과제물, 먹고 살기 위해 하는 과외들. 우리 모두는 안정적인 삶을 위한 무한경쟁의 시대 속에 살아가고 있다. 많은 사람들이 학벌 문제를 제기하면서도 양심적 삶을 회피하고 있는 건 아닌지, 여기서 나 자신을 되돌아본다.

어린 시절

어렸을 때 아버지는 한 증권사 간부로 일하셨다. 아버지의 수입을 통해 우리 가정은 '평범하게' 살았고, 직장 서열이라는 사회적 지위를 통해 친척들에게 부끄럼 없이 살아 왔다. 그러던 어느 날 아버지가 큰 교통사고를 당했다. 장기간의 병원 입원과 통원치료 때문에 직장을 그만 두게 됐고, 집을 팔아서 벌였던 사업은 잘 안 돼 결국 가족이 모두 단칸방에 의지하며 살게 되었다.

내 삶에서 가난에 대한 고민이 시작됐다. 왜 우리 가정은 '가난'이라는 불편한 삶을 산 지 10년이 넘었지만 가난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걸까? 왜 아버지와 어머니는 매일 같이 돈 때문에 싸우실까? 부모님은 하루도 안 쉬고 밤늦게까지 일하는데도 왜 우리 가정은 지금까지도 가난한 걸까? 왜 나에게 공부 잘 해서 좋은 대학, 좋은 직장에 가라고 하는 걸까? 이젠 그 답을 알게 되었지만, 그 시절 내게 던졌던 질문이 없었다면 지금의 나는 어떻게 됐을까 의문이 든다.

일탈

중학교에 진학하면서 초등학교 때 몰랐던 '좋은 학교'란 개념을 알게 되었다. 그 '좋은 학교'는 지금도 강조되는 인문계 고등학교, 그리고 명문대(서울대·연세대·고려대)다. '좋은 학교'로 진학하기 위해 내 친구들은 학교를 마친 후 교복도 벗지 못한 채 운동장이 아닌 학원으로 향했다. 초등학생 시절 뜨겁게 먼지 날리며 공을 찼던 때는 이미 과거가 되었다. 어려운 형편에 다녔던 학원은 고작 한 달. 부모님 고생하는 미안한 마음에 내가 싫어 그만뒀다. 허나 소외되지 않으려, 몸부림치며 교과서로 공부했다.

'개천에서 용 난다'라는 말처럼 우수한 성적을 거두어 특수목적고 진학도 어렵지 않았지만, 고등학교 진학을 앞두고 현실적 조건에 대해 고민하게 되었다. 고민 중 하나는 돈이었고, 두 번째 고민은 진로였다. "우리의 가정 형편으로 대학은 갈 수 있을까?", "좋은 학교 보내려고 내 삶의 일부를 부모님이 책임질 필요가 있나?" 등과 같은 고민 끝에 결국, 전자공고에 진학하기로 결심했다. 하지만 부모님과 담임선생님은 그냥 평범하게 살라며 나를 달랠 뿐이었다.

결국 끌려가다시피 진학한 인문계 고등학교는 입시 사육장과 같았다. 암기를 강요하고, 공부 잘 하라고 용의복장을 단순화하고, 담장 밖에 나가지 말고 말 잘 들으라며 수시로 체벌을 가했다. 용돈을 벌기 위해 새벽에 하던 신문배달도 잠시, 멋지게 보이고파 머리도 길러보지만 그것도 잠시, 오직 학교는 승자를 기르기 위한 수용소 3년의 시간일 뿐이었다. 학교 밖을 벗어나 일탈도 해보았지만, 잠시 내 마음을 위로할 뿐 지속되지는 못했다.

그러다가 다른 청소년들과 함께 중고등학생연합이란 단체를 만들어 학생인권과 교육에 대해 문제를 제기했다. 당연히 학교와 사회는 사회적 약자의 외침을 들어주기는커녕 단체 탈퇴를 강요했고, 수업도 제대로 받지 못하면서 징계위원회까지 생겼다. 학생들의 양심적 목소리에 교사들의 권력과 폭력은 더 심해졌다. 교사들은 학벌을 통해 자신의 꿈을 이뤄 결국 교사가 되었지만, 그들에게 학벌은 그저 또 다른 권위와 강자가 되기 위한 수단일 뿐이었다. 그래서 난 스스로 강자가 되지는 말아야겠다는 다짐을 했다.

학벌주의에 대한 문제제기, 대학 진학 거부

실업계 학생이든 인문계 학생이든 고3 수험생이 되면, 대학 진학을 한 번쯤 고민하게 된다. 나 역시 사회 경험을 통해 사회단체의 활동에 대해 공부하고 싶었고, 'NGO대학'이라 불리는 성공회대 진학을 고민했다. 하지만 수능 시험이 치러지던 날, 어머니께서 싸주신 도시락을 들고 걸어간 곳은 고사장이 아닌 시교육청. '대학 평준화'를 주장하는 피켓을 들고 1인 시위를 하며 우리 사회의 학벌주의를 거부하는 나의 양심에 따라 대학 진학 거부를 표현했다.

많은 사람들이 내게 말했다. "1인 시위 한다고 세상이 바뀔까? 세상은 학벌사회야.", "나중에 결혼해서 애 낳고 후회하지 마라." 그러면 난 이렇게 대답한다. "난 떳떳하게 하고 싶은 일 하면서 남들과 마찬가지로 행복하게 살 거야!"

단순히 나 혼자 행복하게 살겠다며 시작한 대학 진학 거부였다면 시작도 안했을 것이다. 나 혼자만의 삶으로 치부하기엔 우리 주변엔 치유하지 못한 아픈 과제들이 너무 많다. 매일같이 시험에 쫓겨 사는 학생들, 그 시험제도의 낙오자가 되거나 성적을 비관하며 자살하는 학생들…. 우리는 일상에 쫓겨 아픔을 느끼지 못할 뿐, 너무나도 아픈 사회 속에서 살아가고 있다. 고등학교 때부터 해 왔던 청소년 인권운동과 교육운동들이 나 혼자만의 삶이 아니라 우리 모두의 삶이 행복해지기를 바랐기 때문에 학벌주의를 거부하며 시작한 나의 대학 진학 거부는 지금도 계속되고 있다. 청소년인권운동, 학벌없는사회운동과의 끈도 놓치지 않고 지속하고 있다.

주위 사람들과 학벌 문제에 대해 이야기하게 되면 항상 "먹고 살려면 어쩔 수 없지"라는 말로 정리가 된다. 현실에서 자신의 몫을 챙기면서 학벌 문제에 대해 반대하는 것을 어떻게 봐야 할까? 자기 스스로에 대한 성찰과 변화가 없을 경우, 세상은 아무 것도 진정으로 변하지 않을 것이다. 난 학벌주의의 문제에 대해 지적하며 대학 진학을 거부한 나의 삶을 후회하지 않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