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뮤 (대학생)

 

1.jpg

▲ 5월 27일 진행예정이던 김용철 변호사 강연회 일방적으로 대관취소에 대한 주최 측이 걸은 현수막이다.

학교계단에서 강연회를 들었다.

 

 5월의 끝자락, 조선대학교에서 김용철 변호사의 강연회가 있었다. 하지만 조선대학교는 강연실로 예정되었던 서석홀 강당의 대관을 허락하지 않았고, 강연회는 서석홀 앞 광장에서 이뤄졌다. 지난 전남대 강연회에서도 대학본부가 불편한 심기를 내비쳤던 걸로 봐서 비단 조선대의 문제로만 보이지는 않는다. 글쎄, 이번 사건으로 대학사회에 대한 불신을 더 굳히게 만들어줬다고 할 만하다. 개인적으로는 말이다. 그리고 그 사실은 어떤 화두도 되지 못한다. ‘대관 불허’사실은 대학사회에서 어떤 토론거리도 되지 않았고, 그냥 묻히는(드러났었다면) 분위기다. 대학교 학생처뿐만이 아닌 대학교를 구성하는 모든 것들의 문제라고 할 만하다.


대학문화는 과연 상큼해질까


강연회에서 흘러나왔던 김상봉교수의 '대학생들의 동맹휴학 제안'이 떠오른다. 시장만능-자본주의체제에 대항할만한 대학생들의 운동방식으로서 제안했던것으로 기억한다.(그 운동의 역사는 훨씬 전부터 계속 되었던것이지만) 허나 올해도 상큼한(입시에 쩔어있을텐데 어울리는지는 모르겠으나) 1학년 학생들의 유입은 계속 되었고, 시큼하다 못해 떫어서 입이 얼얼할만한 대학생활은 내년에도 계속될것만 같다.


마치 대학교는 지난 12년간 수능시험체제에 순응하며 지냈던 수험생들을 어떤 '완전체'로 만드 려는 노력을 하는 것처럼 보인다. 12년간의 입시생활은 자본주의 체제와 경쟁체제를 체화시키려는 과정이었던 것 같다. 이제는 '경쟁몬 완전체'로 향해 간다랄까. 대학교의 학생평가체제는 상대평가이며 성적이 좋지 않은 학생은 고민 없이 제적해버린다. 여전히 학생들은 이제까지 하던 대로 시험공부를 하며 하던 대로 성적에 목을 맨다. 신입생들부터 '취직에 도움이 될 만한'따위의 말을 곁들이며 모든 수업의 동기부여는 '기업'에 관련한다. 이 체제의 기반은 쉽게 무너질 것만 같지는 않다. 학생의 자살이나 선생의 자살에도 그다지 눈길을 쏟지 않으며(조선대에서는 한 시간강사가 자살했었다) 강연회조차 그 성격이 불온하다는 이유 때문에 마찰이 있었음에도 이것들이 대학사회에 큰 이슈로 불거지지 않는 것을 보면 말이다.


이것은 개념 없는 대학생들이 데모도 안하고 취직자리에만 정신 팔려있어서만도 아니고 어느 순간 대통령 하나 잘못 뽑아서 갑자기 이렇게 된 것도 아니다. "니들은 아직 어려"라는 주문아래 좀비 취급하던 어린애들이 대학입학하면 갑자기 진지한 자세를 취하며 '생각하는 사람'이 되기라도 바랐던 것일까. 촛불에 기대 한국사회의 젊은이에 대한 갖가지 분석을 시작하는 노인네들을 볼라치면 속이 답답하다. '20대 개새끼론'이나 들먹이면서 그들은 이 사회를 쥐락펴락 하려는 '개새끼 세력'이 여러 세대의 '수많은 개새끼들'이라는 것을 정말 모르는 것일까.


김용철씨의 강연회를 그 성격이 불온하다 하여 불편한 심기를 내비쳤던 대학교의 입장은 사람들이 치를 떨었던 '이명박스러움'과 별다른 차이가 없다. MB의 삽질을 욕하는 일이 정말 시급해 보이지만 대학사회의 '이명박스러움'을 생각하는 일은 참 어려운 일 인것 같다. 조선대학교는 여전히 '정이사문제'에 매몰되어 있어 보인다. '정이사 제도로!'라는 구호는 이제 '민주적 정이사로!'라는 구호로 바뀌었다. 그렇다면 '정이사제도' 자체는 과연 민주적인 것인가? 제도의 민주성을 믿지 못하기 때문에 그들이 더더욱 반발하는것 아닌가? 이제는 '민주적 정이사로!'라는 구호가 '민주적 학생회!','민주적 학내문화!','민주적 학칙!' 따위의 문제로 이어지길 바랄뿐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