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y 아프락사스 

사실 학벌 관련 논의의 중심에는 대개 대학수학능력검정시험과 그에 수반한 입시 경쟁에 놓여 있곤 한다. 다시 말해 학벌 논의는 학벌을 주로 10대 학생들에게 가혹하고 부조리한 입시 경쟁을 부여하는 기제로서 이야기하는 경향이 짙다. 이 지점에서 학벌 논의는 세대론과 관계를 맺는다. 이는 학벌 문제가 암묵적으로 서울대 입시에 실패한 (왕년의) 10대, 혹은 사회의 쓴맛을 보지 못한 이들의 철부지같은 소리로 치부되는 현상과도 밀접하게 연관된다.

가령 김상봉 씨가 인용했던, ‘물고기처럼 자유롭게 살고 싶어 자살한 초등학교 5학년 학생’의 사례에 사람들이 보여주었던 반응은 이를 반증한다. 아버지의 노동시간과 자신의 학습시간을 비교하며 한탄하던 유서에 당시 네티즌들이 보여주었던 반응은 ‘어떻게 아버지 일하는 것과 비교할 수 있느냐’하는 냉소였다. 죽은 학생에 비해 더 나이 많은 축이었던 이들이 자신의 경험에 비춰 그 경험을 낮춰봤기 때문이다. 즉, ‘사회인들이 겪는 경쟁에 비하면 별 것 아니다’라는 논리다.

학벌 문제가 철부지들의 울음으로만 이야기되는 한 학벌 논의는 노동이나 성과 같은 진지한 문제로 이야기되질 못한다. (실제로 대학의 사회과학동아리에서조차 학벌은 세미나의 주제가 되질 못한다. 선배들은 새내기들에게 학벌 의식을 떨쳐내야 한다는 의식을 주문하지만, 그것은 엄밀히 말하자면 의식에서 학벌 문제를 지워버리는 결과를 낳을 뿐, 학벌에 대한 엄밀한 성찰과 반성을 낳지는 못한다.)

진짜 ‘철부지’ 즉 어린 세대를 제외하고는 학벌에 관심을 두는 세대가 나올 수가 없고 설령 관심을 갖게 된다 해도 사회의 쓴맛에 비하면 아무것도 아니라는 항변 내지 억압에 의해 논의 자체가 묵살될 수 있기 때문이다. 다시 말해 학벌 문제에 대해 이야기하기 위해서는 비단 대학 입시와 같은 특정 세대 - 곧 수험 당사자 세대. 넓게 보면 학부모세대 - 에게만 먹힐 수 있는 주제 외에 20대, 30대 등 다른 세대들이 공감하고 이야기할 수 있는 영역들을 새로 개발해내야 한다는 뜻이 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