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y 이뮤
뭐라 딱히 비유하기는 어렵지만 김상봉 씨는 학벌을 신분과 비교했다. 책 ‘학벌사회’에서는 어떤 지배계급이 가질 수 있는 정당성 따위를 생각해보면서 단순히 고등학교 입시성적’에 의한 학벌사회에서의 권력부여는 사회적인 정당성을 지니지 못하고 있다고 말한다. 그리고 그런 학벌사회에서 피어나는 수많은 편견들과 사회적으로 위험하다고 싶을만한 생각들을 언급한다.
“이들이(=공부 못하는 학생들이) 사회에 나가 권력이나 이런 것을 잡으면 어떻게 되겠습니까? 다수의 선량한 시민들이 피해를 보겠죠.”[학벌사회 토론게시판의 글 中] 그렇다. 공부 못하는 사람들은 무능할 뿐만 아니라 동시에 사악하다. 그러므로 그들이 권력을 잡으면 안 된다. 학벌주의자들은 이런 식으로 끊임없이 대다수 학벌 없는 사람들이 권력을 잡아서는 안 되는 이유를 만들어내고, 이를 통해 자기들만의 지배와 권력독점을 정당화 한다. |
마치 어떤 노예를 기르는 방법이랄까, 사람들로 하여금 자신의 마땅한 권리와 그 권리들을 쟁취하기 위한 권리들을 잊도록, 자기 스스로 무너지게 하는 방법이 학벌따위의 가치관들을 주입하는 것이 아닐까 생각해본다. 진정 학문과 학생을 멀어지게 하는 것, 그리고 자신과 직결될 문제들에 대해 의기소침한 이 땅의 학생들을 만들어 내는 것이 바로 학벌이 아닌가 싶다.
다시 생각해보면 학벌사회와 그에 항상 따라다니는 입시성적에 의한 사람에 대한 가치판단들은 어떤 평등한 사회, 다원화사회와는 전혀 다른 시대의 전유물들인 것만 같다. 예를 들자면 수도권이 아닌 지역의 어떤 전문대학교 에 다니는 사람을 자신의 인생에 있어서 패배자로 느끼게 하는 학벌사회의 중요한 가치기준은 어떤 것인지 생각해본다면 말이다.
‘신분과 유사하다고 할만하다!’는 말도 책에서 나오지만, 이른바 지배세력이라 불릴만한 것들은 넘을 수 없는 차별의 선이 있다. 어떤 학업성취도를 가지고 있건, 같은 학력수준(?)이라고 하건 그 질(?)의 차이로 여겨지는 대학간판 따위 말이다. 아무리 제 위치에서 열심히 하더라도 넘을 수 없는 선-말이다. 토론을 통해서도 나왔던 이야기지만 그렇게 생각해본다면 많은 사람들이 그런 학벌사회를 은근히 작동시키게 하는 원동력일수도 있겠다. 어쩌면 학벌사회의 노예로서 말이다.
'휴면게시판 > 2009~10년 활동소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팔뚝질을 너머 (0) | 2009.06.05 |
---|---|
학벌 논의와 세대론 (0) | 2009.06.05 |
존재를 배반하는 의식으로 (0) | 2009.06.05 |
학벌은 신분 문제일까? (0) | 2009.06.05 |
체벌, 교육의 목적으로 생각하는 건 위험한 발상 (0) | 2009.06.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