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 지역 일부 학원에서 선행학습 홍보 행위가 급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학벌 없는 사회를 위한 광주시민모임은 광주 지역 학원 밀집지역을 대상으로 상반기 광고 실태를 점검한 결과 2년 전 하반기 적발 건수의 두 배에 달하는 선행학습 광고물이 적발됐다고 밝혔습니다.

시민모임은 선행학습금지법이 시행된 지 3년이 지났지만 여전히 실효성이 부족하다며 이를 금지하는 강력한 행정 조치를 마련해줄 것을 촉구했습니다.


SBS

,

[중앙통신뉴스=박종하 기자]학벌없는사회를 위한 광주시민모임은 오는6월20일 시행 예정인 2017년 국가수준 학업성취도평가에 대해 교육부가 전수평가(일제고사) 폐지, 표집평가 시행으로 계획을 수정한 것’을 환영한다고 밝혔다.

 

15일 학벌없는사회를 위한 광주시민모임은 보도자료를 통해 지난 2008년 이명박 정부는 ‘국가수준에서 학생의 학업성위 수준을 체계적으로 진단한다.’는 미명하에 일제고사 식의 학업성취도평가를 부활시켰지만  일제고사는 평가취지와 다르게 학생 서열화, 학교 서열화, 지역 서열화를 조장하여 학교를 협력의 장이 아닌 경쟁으로 내몰았으며, 이로 인한 폐해는 수도 없이 많았다고 강조했다.

 

이들은 또, 더 나은 성적을 위해 일선 학교는 강제학습을 시키고, 교육부는 시·도별 평가결과를 공개하는 등 그야말로 학교는 성적에 의한 약육강식의 세계가 되어버렸으며,  일제고사를 반대하는 교사에게는 해임, 정직 등의 징계를 가하고, 심지어 시험을 거부하고 교외체험학습을 선택한 학생에게는 무단결석으로 처리하는 등 이러한 피해들에 대해 광주 등 대다수 교육청은 아무런 보호 장치를 마련해주지 않았다고 주장했다.

 

이어, 국정교과서 폐지에 이어 또 하나의 교육적폐인 일제고사를 폐지한 것에 대하여 다시 한 번 환영하며, 아직도 청산하지 못한 교육적폐들을 조속히 청산하기 바란다. 아울러 문재인 정부의 공약에 나타나 있듯이 수능절대평가, 공영형 사립대학 도입, 대학통합네트워크 등의 새로운 교육체제를 수립하여, 교육이 경쟁이 아니라 협력으로 나아가야 할 것이다고 밝혔다.

 

한편, 학벌없는사회를 위한 광주시민모임 관계자는“광주시교육청은 6월20일 실시 예정인 국가수준 학업성취도평가를 표집평가로 실시할 것을 교육부에 보고해 현재 협의 중에 있다. 하지만 광주 관내 일선학교에서 가정통신문을 통해 일제고사를 시행한다고 안내한 사례가 있는 만큼, 시교육청은 하루 빨리 표집평가 방침을 알려 학교 현장의 혼란을 막고, 변칙적인 평가행위가 발생하지 않도록 지도‧감독을 해야 할 것이다”고 말했다.


중앙통신뉴스 http://ikbc.net/ArticleView.asp?intNum=20296&ASection=001008

,

정부가 통칭 ‘일제고사’ 폐지 수순을 추진 중인 가운데, 광주시교육청이 일선 학교에 관련 사실을 알리고 현장의 혼란을 막아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교육부에 따르면, 오는 20일 시행 예정인 2017년 국가수준 학업성취도평가에 대해 전수평가(일제고사) 폐지, 표집평가 시행으로 계획을 수정했다. 


2008년 이명박 정부는 ‘국가수준에서 학생의 학업성위 수준을 체계적으로 진단한다’는 미명하에 일제고사 식의 학업성취도평가를 부활시켰다. 


하지만 일제고사는 평가취지와 다르게 학생 서열화, 학교 서열화, 지역 서열화를 조장하여 학교를 협력의 장이 아닌 경쟁으로 내몬다는 폐해가 지적돼 왔다. 


이에 학벌없는사회는 “국정교과서 폐지에 이어 또 하나의 교육적폐인 일제고사를 폐지한 것에 대해 환영한다”고 강조하고 “문재인 정부의 공약인 수능절대평가, 공영형 사립대학 도입, 대학통합네트워크 등 경쟁이 아닌 협력의 길을 갈 것”을 주문했다. 


또한 학벌없는사회는 “광주광역시교육청은 오는 20일 실시 예정인 국가수준 학업성취도평가를 표집평가로 실시할 것을 교육부에 보고해 현재 협의 중에 있다”며 “광주 관내 일선학교에서 가정통신문을 통해 일제고사를 시행한다고 안내한 사례가 있는 만큼, 광주시교육청은 하루 빨리 표집평가 방침을 알려 학교 현장의 혼란을 막고, 변칙적인 평가행위가 발생하지 않도록 지도‧감독을 해야 할 것”이라고 요청했다. 


김우리 기자 uri@gjdream.com


광주드림 http://www.gjdream.com/v2/news/view.html?uid=480755

,

전남인터넷신문 http://jnnews.co.kr/news/view.php?idx=201387

,

광주지역 고등학교와 학원들이 국가인권위 권고에도 불구하고 대학 합격홍보물을 게시 중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학벌 없는 사회를 위한 광주시민모임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광주 관내 14개 학교와 44개 학원이 누리집과 현수막 등을 통해 특정 학교 합격 결과를 홍보했습니다. 

이에 대해 학벌없는 사회는 한국사회의 뿌리 깊은 악습이라며 교육당국의 강력한 지도감독을 촉구했습니다.

광주MBC


,

개인신용등급 평가 제도 개선방안.pdf


,

국가인권위원회의 학력 및 출신학교 권고에 대한 수용여부 세부 현황.xls


(~2017.6.15 기준)

,

학벌없는사회, 올 상반기 14개 학교·44개 학원 적발


광주지역 고등학교와 학원들이 국가인권위원회의 권고에도 불구하고 특정학교 합격 홍보물을 지속적으로 게시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벌없는사회를 위한 광주시민모임은 올 상반기 들어 광주 14개 학교와 44개 학원에서 홈페이지와 현수막, 웹 홍보물 등을 통해 특정학교 합격결과 홍보 사실을 적발했다고 13일 밝혔다.


국가인권위는 학교, 동문회, 학원 등에서 특정 학교 합격결과를 게시하지 않도록 각 시·도교육감이 지도·감독 해야한다고 권고해 왔으며, 학교·학원장에게도 특정 학교 합격 홍보물을 게시하지 말라고 여러 차례 의견을 표명한 바 있다.


이에 학벌없는사회는 적발사실을 지도·감독청인 광주시교육청에 알리고 해당 학교에 대한 지도·감독을 요청한 상태다.


학벌없는사회는 “이 같은 행태는 소위 명문학교 진학 성과를 학교 교육의 성과인 양 자랑해 온 한국사회의 뿌리 깊은 악습에서 아직도 벗어나지 못하고 있음을 보여준다”며 “특정 학교 입학자 수를 학교의 자랑으로 여기는 사고방식은 그렇지 않은 대다수 학생을 실패자로 여기는 사고방식을 전제할 수밖에 없기 때문에 대다수의 학생들은 소외감과 열등감을 졸업선물로 받게 된다”고 주장했다.


이어 “이는 민주적인 시민을 길러야 할 공교육의 본질과 거리가 먼 것으로 실제 능력과 상관없이 출신 대학에 따라 인간을 등급 매기고 배제하는 학력주의와 차별적인 문화를 부추기는 일”이라며 “이와 같은 폐해가 일어나지 않도록 시교육청이 강력하게 지도 감독할 것을 요구하고, 각 급 학교나 사설학원 역시 이러한 행태를 반복하지 않도록 학교장과 학원장의 각별한 주의를 요청한다”고 말했다.


광남일보 http://www.gwangnam.co.kr/read.php3?aid=1497347055260798023

,

국가인권위원회의 권고에도 광주 일부 고등학교와 학원들이 특정학교 합격 홍보물을 게시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13일 학벌없는사회를 위한 광주시민모임에 따르면 올 상반기 모니터링을 실시한 결과, 광주 14개 학교와 44개 학원이 인터넷 홈페이지와 현수막, 웹 홍보물 등으로 특정 학교 합격 결과를 홍보했다. 


인권위원회는 학교, 동문회, 학원 등의 특정 학교 합격 홍보물에 대한 지도·감독을 시·도 교육감에게 권고해왔다. 


하지만 일부 학교와 학원들의 경우 명문 대학교 진학 성과를 학교 교육의 성과인 듯 여기는 인식에서 이같은 합격 홍보물 게시를 유지하고 있다는 게 시민단체측 설명이다. 


김지을기자 dok2000@kwangju.co.kr


광주일보 http://www.kwangju.co.kr/read.php3?aid=1497366000606572021

,

학벌 없는 사회, 올 상반기 14개 학교·44개 학원 적발


국가인권위원회의 권고에도 불구하고 광주지역 고등학교와 학원들이 여전히 특정학교 합격 홍보물을 게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13일 학벌 없는 사회를 위한 광주시민모임(이하 학벌 없는 사회)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에 광주 관내 14개 학교와 44개 학원이 누리집과 현수막, 웹 홍보물 등으로 특정 학교 합격 결과를 홍보한 사실을 적발했다.


이에 학벌 없는 사회는 관할 관청인 광주시교육청에 해당 학교와 학원을 지도 감독해 달라고 요청했다.


학벌 없는 사회는 "이 같은 행태는 소위 명문학교 진학 결과를 학교 교육의 성과인 양 자랑해 온 한국사회의 뿌리 깊은 악습에서 아직도 벗어나지 못하고 있음을 보여준다"고 주장했다.


그동안 국가인권위원회는 각급 학교, 동문회, 학원 등에서 특정 학교 합격 결과를 게시하지 않도록 지도 감독해야 한다고 각 시도교육감에게 권고해 왔으며, 학교장(학원장)에게도 특정 학교 합격 홍보물을 게시하지 말라고 여러 차례 의견을 표명한 바 있다.


학벌 없는 사회는 "광주시교육청은 이런 폐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예방하고 강력하게 지도 감독을 해야 한다"면서 "각급 학교와 사설학원도 이런 행태가 반복되지 않도록 학교장과 학원장의 각별한 주의를 해야 한다"고 밝혔다.


김혜진기자 hj01140@hanmail.net


무등일보 http://honam.co.kr/read.php3?aid=14973660005271540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