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령인구 감소와 학급당 원생수 동결 조치 등으로 인해 유치원생들의 학습권이 침해되고 있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9일 학벌없는사회를 위한 시민모임에 따르면 광주지역 유치원들의 학급당 정원이 지난 2014년부터 올해까지 6년 연속 동결됐다.

이같은 정원 동결로 광주지역 유치원 학급당 정원은 단일반 만3세 18명, 만4세 22명, 만5세 25명, 혼합반 22명으로 전국 시·도 평균을 대부분 웃돌고 있다.
  
특히 혼합반의 경우 통합교육의 가치를 실현할 수 있도록 복수 담임제도 등 지원책이 필요함에도 유아들의 발달 특성과 나이, 환경 등을 고려하지 않고 일률적으로 1명의 교사가 감당하게 해 행정편의 아니냐는 지적도 나온다.

박고형준 상임활동가는 “2020~2022년 유아 수용계획을 수립할 땐 학습권과 교육권 보장 차원에서 정원을 대폭 줄여야 한다. 유치원 취학 수요조사도 형식적으로 하지 말고 수요자 입장이 반영될 수 있도록 내실을 기해야 한다. 동시에 중장기적으로는 공립의 시설 확충, 학급 증설, 단설유치원 추가 설립 등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무등일보 http://honam.co.kr/article.php?aid=1557414000583201011

,

광주지역유치원의 학급당 원생수가 6년 간 동결돼 학습권과 교육권이 동시에 침해되고 있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9일 학벌없는사회를 위한 시민모임에 따르면 광주지역 유치원들의 학급당 정원이 2014년부터 올해까지 6년 연속 동결됐다.

전북도교육청이 지난해부터 유치원 학급 증설과 함께 학급당 정원을 대폭 낮추고 단짝활동을 위해 정원을 짝수로 맞췄고, 대전시교육청이올해 전국 평균보다 한 명 줄어든 기준을 적용한 것과 비교된다.

정원 동결로 광주지역 유치원 학급당 정원은 단일반 만3세 18명, 만4세 22명, 만5세 25명, 혼합반 22명으로, 전국시·도 평균을 대부분 웃돌고 있다.

특히 혼합반의 경우 통합교육의 가치를 실현할 수 있도록 복수 담임제도 등 지원책이 필요함에도 유아들의 발달 특성과 나이, 환경 등을 고려하지 않고 일률적으로 1명의 교사가 감당하게 해 행정편의아니냐는 지적도 나온다.

또 공립유치원의 경우 초등학교 병설 형태로 운영되다 보니 학급당 정원이 이미 꽉 찬 상태에서 교구와 놀이기구, 각종비품마저 교실 안에 비치할 수밖에 없어 '콩나물 교실'이라는비판이 나오고 있다.

최민영 기자 news@kidstvnews.co.kr

키즈TV뉴스 http://kidstvnews.getnews.co.kr/view.php?ud=2019051009211981348743e6153c_29

 

,

학벌없는사회모임, '학급당 정원 수 감축' 촉구

'학벌없는사회를 위한 시민모임'은 9일 "광주시교육청의 전시행정으로 유치원생들이 교구와 놀이기구 등이 빽빽하게 들어찬 열악한 환경에서 교육을 받고 있다"며 광주시에 학급당 정원감축과 공립유치원 시설 확충 등을 촉구했다.

이들은 광주시교육청이 지난 6년간 유치원 학급당 정원수를 동결해 원아의 학습권과 교사의 교육권이 침해됐고 이에 광주 유치원생들의 교육환경이 타 시도에 비해 열악한 수준이라고 주장했다.


전국 17개 시·도교육청 자료를 취합해 분석한 결과 일선 교육청은 유치원 학습 환경 개선을 위해 학급당 정원수를 줄여 운영하는 반면 광주시교육청은 2014년부터 2019년까지 6년간 학급당 정원수를 동결해 학급당 정원 수보다 높은 수준이라고 전했다.

학벌없는사회는 "광주시교육청은 학급당 정원수에 대한 공립유치원과 사립유치원 간 서로 다른 이해관계에 적절한 대응을 하지 못하고 있다"며 "병설 확대, 학급 증설, 공립 유치원 취원률 높이기 등 '유아교육 공공성'을 숫자로 과시하는 데만 머무는 모습"이라고 지적했다.   

특히 "혼합반의 경우 통합교육의 가치를 실현할 수 있도록 복수 담임제도 등 지원책이 필요한데 이를 고려하지 않고 일률적으로 1명의 교사가 감당하게 했다"며 "돈 문제를 비롯한 행정편의에 머무른 것 아니냐"며 비판했다.

이에 학벌없는사회는 "향후 광주시교육청이 유아수용계획 수립 시 학교구성원의 권리와 의견을 적극 보장하라"고 촉구했다.

이어 "2020부터 2022년까지 광주시 유아수용계획 수립 시 원아 학습권과 교사 교육권을 보장하기 위해 학급당 정원수를 대폭 감축할 것"을 요구했다.

또 형식적인 유치원 취학 수요 조사를 지적하며 "유치원 취학 수요조사 시 △학급 당 정원수 △교육과정 및 방과후학교 운영시간 △기타 유치원운영 필요한 사항을 조사해 수요자 의견을 유아정책에 반영되도록 하라"고 덧붙였다.

뉴스1 http://news1.kr/articles/?3617071

,

광주지역 시민단체가 유치원의 원아 과밀을 해소하기 위해 학급당 정원을 감축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학벌없는사회를위한시민모임은 9일 낸 보도자료에서 "광주시교육청이 최근 6년 동안 학급당 정원수를 동결하면서 원아의 학습권과 교사의 교육권이 침해되고 있다"고 주장했다.  

2019년도 광주 유치원 학급당 정원은 만 3세 18명, 만 4세 22명, 만 5세 25명, 혼합반 22명으로 다른 광역시와 비슷한 수준이지만 도 지역을 포함할 경우 평균을 웃돈다. 전국 유치원 학급당 정원 평균은 만 3세 16.4명, 만 4세 21.9명, 만 5세 25.4명이다.   

학벌없는사회는 "특히 혼합반의 경우 통합교육의 가치를 실현할 수 있도록 복수 담임제도 등 지원책이 필요하지만 1명의 교사가 감당하게 하는 등 행정편의주의가 의심된다"며 "광주시 공립유치원의 경우 학급 당 정원이 이미 꽉 찬 상태에서 여러 비품들을 교실에 비치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이들은 공립 유치원들은 대체로 학급 당 정원을 축소하기를 원하지만 원아 수에 비례해 지원금이 증가하는 사립유치원의 입장을 다소 차이가 있다고 지적했다.  

학벌없는사회 관계자는 "시교육청은 병설 확대와 학급 증설 등 유아교육 공공성을 숫자로만 과시하려 할 것이 아니라 교육의 양과 질을 고려한 비전과 정책이 필요하다"며 "앞으로 3개년 유아 수용계획을 수립하는 과정에서 정원을 줄이는 것은 물론 수요자 입장이 반영된 정책이 추진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말했다.

노컷뉴스 https://www.nocutnews.co.kr/news/5147886

,

학벌없는사회 교육청 자료 분석
“교육청 6년간 유치원 정원수 동결”

광주지역 유치원 학급당 평균 정원수가 전국 평균과 비교해 높은 수준이라는 결과가 발표됐다. 

이는 광주시교육청이 원아와 학부모 등 수요자 요구에 맞춰 정원을 조정하지 않고, 정원 확대를 원하는 사립유치원의 요구에 눈치를 보고 있다는 의혹 등이 원인으로 지목된다. 

결국 콩나물시루처럼 빽빽한 교실에서 생활하는 아이들과 많은 아이들을 책임져야 하는 교사들만 괴로운 상황이라는 게 시민단체의 주장이다. 

학벌없는사회를 위한 시민모임이 전국 17개 시·도교육청 자료를 취합하여 분석한 결과, 광주광역시교육청(이하, 광주시교육청)은 2014년부터 2019년까지 6년간 학급당 정원수를 동결한 것으로 확인됐다. 

일선 교육청은 유치원 학습 환경 개선을 위해 학급당 정원수를 줄여 운영하는 반면, 광주는 그렇지 않아 원아의 학습권과 교사의 교육권이 침해되고 있다는 지적이다. 

학벌없는사회가 제시한 2019년 교육청별 유치원 학급당 정원 현황에 따르면, 광주시교육청의 학급 당 정원수는 단일반 만3세-18명, 만4세-22명, 만5세-25명, 혼합반-22명이다.

이는 전국 시·도교육청 평균(만3세-16.4명, 만3~4세-20.5명, 만3~5세-21.2명) 보다 높은 수준이다. 

이와 관련해 학벌없는사회는 “혼합반의 경우 통합교육의 가치를 실현할 수 있도록 복수 담임제도 등 지원책이 필요한데, 유아들의 발달특성과 나이, 환경 등을 고려하지 않고 일률적으로 1명의 교사가 감당하게 하는 등 행정편의와 돈 문제만 고려되고 있지는 않은지 의심된다”고 꼬집었다. 

또 “광주시 공립유치원의 경우 대다수가 초등학교와 병설된 형태로 운영(병설 119, 단설 11)되는데, 학급 당 정원이 이미 꽉 찬 상태에서 교구, 놀이기구, 여러 비품마저 교실 내에 비치해야 하는 열악한 상황에서 학생들의 놀이공간은 콩나물시루처럼 빽빽하게 제한될 수밖에 없다”는 지적이 이어진다. 

이에 학벌없는사회는 “향후 광주시교육청이 유아수용계획 수립 시 학교구성원의 권리와 의견을 적극 보장할 것”을 촉구하고 나섰다. 

광주시교육청은 ‘유아교육법 시행령 제16·17조’에 근거 유치원 취학 수요조사에 따라 유아수용계획을 3년 단위로 수립하고 학급당 정원수 등을 정한다고 설명하고 있다. 

그러나 해당 수요조사 설문지에는 유아교육·보육기관의 선호도를 통한 광주시 유치원 취학권역 및 사립유치원 설치유무만 판단하고 있을 뿐, 학급 당 정원수를 정하기 위한 수요자 의견을 반영하고 있지 않다는 것. 

따라서 유치원 취학 수요조사 시, △ 학급당 정원수 △ 교육과정 및 방과후학교 운영시간 △ 기타 유치원운영 필요한 사항에 대해 수요자에게 묻고 관련 유아정책에 반영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온다. 

학벌없는사회는 “공립 유치원은 원활한 교육활동을 위해 학급 당 정원수를 줄여야 한다고 요구하는 반면, 사립 유치원의 경우 원아수가 많아야 지원금도 늘어나기에 학급 당 정원수를 늘리자고 요구하는 상황”이라며 “이 같은 상황에서 소위 진보 교육감은 ‘교육의 양과 질’을 고려한 비전과 정책을 제시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학벌없는사회는 “2020~2022년 광주광역시 유아수용계획 수립 시 원아 학습권과 교사 교육권을 보장하기 위해 학급당 정원수를 대폭 감축할 것”과 “유치원 취학 수요조사를 형식적으로 하지 말고, 수요자 입장이 반영될 수 있도록 내실을 기할 것”을 요구했다. 

또한 “유아교육의 기반을 다지는 중장기적 정책을 수립하여 공립유치원의 시설 확충, 학급 증설, 단일유치원 추가 설립 등을 추진할 것”도 주문했다. 

한편 전라북도교육청은 2018년부터 유치원 학급 증설과 동시에 학급당 정원수를 대폭 낮추었으며, 유아교육 시 단짝 활동의 특성을 살리기 위해 정원을 짝수로 맞춰 하향 재조정하는 등 앞서가는 모습으로 타시·도에 귀감이 되고 있다. 

또한, 대전광역시교육청은 2019년부터 전국 시도교육청 평균 대비 1명을 줄인 학급당 정원수를 배정했다. 

김우리 기자 uri@gjdream.com

광주드림 http://www.gjdream.com/v2/news/view.html?news_type=202&uid=495874

 

,

송창헌 기자 = 광주지역 유치원의 학급당 원생수가 6년 간 동결돼 학습권과 교육권이 동시에 침해되고 있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9일 학벌없는사회를 위한 시민모임에 따르면 광주지역 유치원들의 학급당 정원이 2014년부터 올해까지 6년 연속 동결됐다.

전북도교육청이 지난해부터 유치원 학급 증설과 함께 학급당 정원을 대폭 낮추고 단짝활동을 위해 정원을 짝수로 맞췄고, 대전시교육청이 올해 전국 평균보다 한 명 줄어든 기준을 적용한 것과 비교된다. 

정원 동결로 광주지역 유치원 학급당 정원은 단일반 만3세 18명, 만4세 22명, 만5세 25명, 혼합반 22명으로, 전국 시·도 평균을 대부분 웃돌고 있다.

특히 혼합반의 경우 통합교육의 가치를 실현할 수 있도록 복수 담임제도 등 지원책이 필요함에도 유아들의 발달 특성과 나이, 환경 등을 고려하지 않고 일률적으로 1명의 교사가 감당하게 해 행정편의 아니냐는 지적도 나온다.

또 공립유치원의 경우 초등학교 병설 형태로 운영되다 보니 학급당 정원이 이미 꽉 찬 상태에서 교구와 놀이기구, 각종 비품마저 교실 안에 비치할 수밖에 없어 '콩나물 교실'이라는 비판이 나오고 있다. 
  
박고형준 상임활동가는 "2020~2022년 유아 수용계획을 수립할 땐 학습권과 교육권 보장 차원에서 정원을 대폭 줄이고 유치원 취학 수요조사도 형식적으로 하지 말고, 수요자 입장이 반영될 수 있도록 내실을 기하는 동시에 중장기적으로는 공립의 시설 확충, 학급 증설, 단설유치원 추가 설립 등이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goodchang@newsis.com

뉴시스 http://www.newsis.com/view/?id=NISX20190509_0000645174&cID=10899&pID=10800

 

,

교육 시민단체, 2020~22년 유아수용계획 수립 시 반영 촉구

손상원 기자 = 교육 시민단체가 유치원 '콩나물 교실' 해소를 위해 학급당 정원 감축을 촉구했다.

학벌 없는 사회를 위한 시민모임은 "광주시교육청은 2014∼2019년 학급당 정원수를 동결해 원아 학습권, 교사 교육권을 침해하고 있다"며 "2020∼2022년 유아 수용계획에서는 학급당 정원수를 줄여야 한다"고 요구했다.

광주 유치원 학급당 정원은 만 3세 18명, 만 4세 22명, 만 5세 25명, 혼합반 22명으로 광역시 단위 교육청과 비슷하지만, 도 지역을 포함하면 다소 높은 수준이다.

전국 평균은 만 3세 16.4명, 만 4세 21.9명, 만 5세 25.4명이었다.
 
공립 유치원은 대체로 학급 당 정원을 줄이기를 원하지만, 사립 유치원은 원아에 비례해 지원금도 증가해 정원 증가를 바라는 상황이다.

시민모임은 "시교육청은 공·사립 유치원의 다른 이해관계에 적절하게 대응하지 못하고 병설 확대, 학급 증설, 공립 유치원 취원율 높이기 등 유아교육 공공성을 숫자로만 과시하려 한다"며 "교육의 양과 질을 고려한 비전과 정책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시민모임은 "3개년 유아 수용계획 수립에 정원을 줄이고 유치원 취학 수요조사도 수요자 입장이 반영되도록 내실 있게 해야 한다"며 "공립 유치원 시설 확충, 학급 증설, 단일 유치원 추가 설립 등도 중장기적 정책에 맞춰 추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sangwon700@yna.co.kr

연합뉴스 https://www.yna.co.kr/view/AKR20190509046500054?input=1179m

,

교육실습 시즌이 돌아왔지만 대부분의 교육실습생(이하 교생)들은 출신대학이 기재된 명찰을 패용한 채 실습을 진행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나 인권침해 논란이 제기됐다.

이 명찰은 각 대학에서 제작한 것으로 실습하는 동안 현장에서 일상적으로 패용한다. 2일 학벌 없는 사회를 위한 시민모임(이하 학벌 없는 사회)에 따르면 “대학에서는 모교의 명예를 훼손하지 않도록 책임감 있게 행동하라는 의미가 담겨 있다고 강조하지만 역기능도 만만치 않다”고 지적했다.

본인 의지와 상관없이 출신 대학, 사범대, 비사범대 여부 등이 드러날 수 있고 교육적 진심이나 역량으로 학교 구성원들과 만나기도 전 학벌에 대한 사회적 편견에 의해 재단될 위험이 크기 때문이다. 학벌없는 사회는 “이는 결과적으로 능력과 상관없이 출신 대학에 따라 구분하고 배제하는 시선에 노출돼 학벌주의를 부추길 우려가 있다”고 지적했다.

실제 설레는 마음으로 교생을 맞이하는 학생들도 ‘다 같은 교생 선생님인데 굳이 대학명을 표기해 구분하는 것에 불편함을 느낀다’, ‘선생님을 교육으로 만나도 전에 고정관념이 작용할 여지가 많아 비교육적이다’라는 의사를 피력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학벌 없는 사회는 “초·중·고등학교 교육실습 시 교생에게 출신대학·학과가 기재된 명찰을 패용하도록 강제하는 실태를 시정하도록 교육부 및 시·도교육감에게 권고하라는 내용의 국가인권위원회 진정서를 제출했다”고 밝혔다.

학벌 없는 사회는 이번 진정을 통해 “한 사람의 가능성을 판단하는데 출신학교와 학과는 하나의 참고자료일 뿐이며 출신학교 등을 이유로 한 차별은 그 사람이 가진 다양한 가능성을 검증받을 기회마저 차단한다는 것”이라며 “학력이나 학벌주의를 조성하는 교생의 명찰 문화 관행이 사라지길 기대한다”라고 덧붙였다.

교육실습이란 교사 양성기관에 재학하거나 대학에서 교직 과정을 이수하는 학생들이 일정한 기간 동안 교육현장인 학교의 실무를 체험함으로써 실무능력을 실제로 배우는 과정으로 보통 4주 간(1회) 초·중·고교에서 실시하고 있다.

뉴스포털1 http://www.civilreporter.co.kr/news/articleView.html?idxno=69236

,

[키즈TV뉴스 최민영 기자] 

일선학교에 배치된 교육실습생(교생)들이 출신 대학명이 적힌 명찰을차는 관행은 학벌주의를 조장할 수 있다는 지적이 나왔다.

학벌 없는 사회를 위한 시민모임은 초·중·고 교육실습에서 교생에게출신 대학·학과가 적힌 명찰을 차는 실태를 시정하도록 교육부와 시·도 교육감에게 권고하라는 내용의 진정서를 국가인권위원회에 제출했다고 밝혔다.

명찰은 각 대학에서 제작한 것으로 실습하는 동안 일상적으로 패용한다.

대학에서는 모교 명예를 훼손하지 않도록 책임감 있게 행동하라는 의미가 담겼다고 강조하지만, 역기능도 만만치 않다고 시민모임은 주장했다.

대학은 물론 경우에 따라서는 단과대까지 표기해 사범대·비사범대 소속인지가 드러나면서 교생들의 이미지가 편견으로재단될 위험이 있다는 것이다.

굳이 출신대학을 표기해 불편하다거나 고정관념이 작용할 여지가 있어 비교육적이라는 반응도 현장에서는 나오는 것으로 전해졌다.

최민영 기자 news@kidstvnews.co.kr

키즈TV뉴스 http://kidstvnews.getnews.co.kr/view.php?ud=2019050311051342098743e6153c_29

,

교육 실습생(교생)들이 출신 대학 등이 적힌 명찰을 착용하는 것은 학벌주의를 부추길 수 있다는 주장이 나왔다.

학벌 없는 사회를 위한 광주시민모임은 2일 “초·중·고 교육실습 현장에서 교생에게 출신대학·학과 등이 기재된 명찰을 착용하도록 강제하는 실태를 시정하도록 교육부와 시·도교육감에게 권고하라는 내용의 진정서를 국가인권위원회 제출했다”고 밝혔다.

일선 교육실습 현장에서 교생들은 각 대학에서 제작한 출신대학이 적힌 명찰을 실습기간 일상적으로 착용하고 있다. 

대학에서는 모교의 명예를 훼손하지 않도록 책임감을 가지라는 의미가 있다고 강조하지만, 시민모임 측은 출신 대학과 사범대, 비사범대 여부 등이 드러날 수 있는 등 역기능도 만만치 않다고 설명했다.

시민모임은 “출신학교 등을 이유로 한 차별은 그 사람의 가능성을 검증받을 기회마저 차단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박기웅 기자 pboxer@kwangju.co.kr

광주일보 http://www.kwangju.co.kr/read.php3?aid=15568092006609660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