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뉴시스】맹대환 기자 = 학벌없는 사회를 위한 광주시민모임(이하 학벌없는사회)은 13일 광주 모 고등학교가 특정 학생들에게만 야간자율학습 전용공간을 제공하는 것은 차별행위라며 시정을 요구했다.


학벌없는사회에 따르면 광주 모 고교는 2~3학년의 경우 야간자율학습시 기숙사 입사자들이 학교 내 전용공간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학벌없는사회는 "자율학습 전용공간을 제공함에 있어 합리적인 이유 없이 특정 학생에게만 차별적으로 시행하거나, 특정 학생들과 그 범위에 들어가지 않는 학생들 사이에 차별적 인식을 조장해서는 안된다"고 지적했다.


이어 학벌없는사회는 "성적 우수자로 구성된 기숙사 입사자가 야간자율학습시 전용공간을 사용하는 것은 심화반 형태의 교육활동으로 교육활동 기본계획을 위반한 것이다"고 비판했다.


광주시교육청도 이 학교의 사례가 일부 성적 우수자들에 대한 특혜로 인정될 수 있다며 시정을 요구했다.


mdhnews@newsis.com


뉴시스 http://www.newsis.com/view/?id=NISX20170713_0000039795&cID=10809&pID=10800

,

전남인터넷신문 http://jnnews.co.kr/news/view.php?idx=204177

,

[시사타임즈 = 탁경선 기자] 학벌없는 사회를 위한 광주시민모임(이하 학벌없는사회)은 정부의 블라인드 채용 추진방안을 환영한다는 뜻을 전하며, 지방자치단체 출연·출자기관까지 추진대상에 포함되어야 한다고 요청했다.

 

학벌없는사회는 “「평등한 기회·공정한 과정을 위한 블라인드 채용 추진방안」을 환영하며, 향후 한국사회 내 채용에 있어 평등한 기회와 공정한 심사가 이뤄지고, 학력·학벌주의를 극복하는데 중요한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면서 “문 대통령의 발언을 넘어 실제 채용현장에 반영하고자 하는 정부의 노력과 소신에 지지를 보낸다”고 밝혔다.

 

이어 “이번 추진방안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공공기관‧지방공기업은 채용 시 학력(출신학교), 출신지역, 가족관계, 신체적 조건, 용모 등에 대한 요구를 원칙적으로 할 수 없게 된다”며 “다만, 신체적 조건·학력 등은 직무를 수행하는데 있어 반드시 필요하다고 인정될 경우 예외적으로 요구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아울러 “블라인드 채용을 실시해야 하는 광주 소재 지방공기업은 광주도시철도공사, 광주도시공사, 김대중컨벤션센터 광주환경공단 광산구시설공단 5개이며, 광주 소재 공공기관인 아시아문화원, 전남대병원, 국립광주과학관, 세계김치연구소, 전국단위 공사·공단 소속 광주지부 등도 블라인드 채용을 실시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한 가지 아쉬움 점은 지방자치단체에서 출연·출자한 기관은 이번 추진대상에서 빠져있다는 점”이라면서 “광주에 소재한 출연·출자기관은 15개이며, 전국적으로 612개에 달한다”고 알렸다.

 

학벌없는사회는 “지난 4월 학벌없는사회가 ‘광주 소재 일부 출연기관의 채용(서류전형) 배점표에서 학력과 나이로 평가’해 문제제기한 경험을 비춰봤을 때, 향후 여타의 기관에서도 채용 시 차별이 발행할 여지가 있으므로 지방자치단체 출연·출자기관도 예외 없이 블라인드 채용 대상에 포함되어야 할 것”이라고 촉구했다.

 

나아가 “정부의 블라인드 채용은 좌초되어선 안 된다”며 “이를 위해 학벌없는사회는 이번 추진방안과 관련하여 공공기관·지방공기업의 입사지원서 개선 실태조사를 진행할 예정이며, 모든 지방자치단체와 지자체 출연·출자기관, 민간 영역까지의 광범위한 제도 도입과 공감대 형성을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전달했다.


시사타임즈 http://timesisa.com/news/view.html?section=93&category=94&no=17452

,

뉴스포털1 http://www.civilreporter.co.kr/news/articleView.html?idxno=49715

,

[통합뉴스 김현수 기자]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블라인드 채용 방안에 대해 광주시민모임은 환영한다는 입장이다. 다만 지방자치단체에서 출연과 출자한 기관이 이번 추진대상에서 빠져있다는 점에 대해 아쉽다는 설명이다.


광주시민모임은 공공부문 블라인드 채용 의무화를 이행하기 위한 후속조치로, 채용과정에서 편견이 개입되어 불합리한 차별을 야기할 수 있는 여러 사항을 걷어내고 실력을 평가하여 인재를 채용하는 방식으로 7일 환영한다는 입장이다.


‘학벌없는사회’를 위한 광주시민모임은 이번 추진방안에 환영과 향후 한국사회 내 채용에 있어 평등한 기회와 공정한 심사가 이뤄지고, 학력과 학벌주의를 극복하는데 중요한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와 지지를 표명했다.


이 같은 단체는 다만, 한 가지 아쉬움 점은 지방자치단체에서 출연과 출자한 기관은 이번 추진대상에서 빠져있다는 점을 지적하고, 참고로 광주에 소재한 출연과 출자기관은 15개이며, 전국적으로 612개에 달한다고 설명했다.


광주시민모임은 이번 추진방안과 관련하여 공공기관과 지방공기업의 입사지원서 개선 실태조사를 진행할 예정이며, 모든 지방자치단체와 지자체 출연과 출자기관, 민간 영역까지의 광범위한 제도 도입과 공감대 형성을 위해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통합뉴스 http://www.tonghab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42557

,

광주인 http://www.gwangjuin.com/news/articleView.html?idxno=95905

,

지방자치단체 출연·출자기관까지 추진대상에 포함되어야…


NTTV http://www.ngtv.tv/news/articleView.html?idxno=41000

,

학벌없는사회를 위한 광주시민모임이 정부의 블라인드 채용 추진에 대해 환영 입장을 밝혔다.


학벌없는 사회를 위한 광주시민모임은 7일 배포한 보도자료에서 “한국사회 내 채용에 있어 평등한 기회와 공정한 심사가 이뤄지고, 학력·학벌주의를 극복하는데 중요한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면서 “문 재인 대통령의 발언을 넘어 실제 채용현장에 반영하고자 하는 정부의 노력과 소신에 지지를 보낸다”며 이 같이 말했다.


이들은 블라인드 채용을 실시해야 하는 광주 소재 지방공기업을 광주도시철도공사, 광주도시공사, 김대중컨벤션센터 광주환경공단 광산구시설공단 5개로 지정했다.


또한 광주 소재 공공기관인 아시아문화원, 전남대병원, 국립광주과학관, 세계김치연구소, 전국단위 공사·공단 소속 광주지부 등도 블라인드 채용을 실시해야 한다고 못박았다.


하지만 이들은 "지방자치단체에서 출연·출자한 기관은 이번 추진대상에서 빠져있다"며 아쉬움을 나타냈다. 광주에 소재한 출연·출자기관은 15개이며, 전국 500여개에 달한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와 관련 광주시민모임은 "지난 4월 ‘광주 소재 일부 출연기관의 채용(서류전형) 배점표에서 학력과 나이로 평가’해 문제제기한 경험을 비춰봤을 때, 향후 여타 기관에서 채용 시 차별이 발생할 여지가 있으므로 지자체 출연·출자기관도 예외 없이 블라인드 채용 대상에 포함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들은 아울러 "정부의 블라인드 채용은 좌초되어선 안 된다. 이를 위해 학벌없는사회는 공공기관·지방공기업의 입사지원서 개선 실태조사를 진행하고 지방자치단체와 지자체 출연·출자기관, 민간 영역까지의 광범위한 제도 도입과 공감대 형성을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신홍관 기자  hksnews@ifocus.kr


포커스데일리 http://www.ulsanfocus.com/news/articleView.html?idxno=72198

,

http://www.pluskorea.net/sub_read.html?uid=91308 플러스코리아 타임즈

,

학벌없는사회, 전문계 교원 호봉 획정 관련 문제제기

“인적자원 지원·배분·활용을 왜곡시킬 소지 커”


만약 교원 A씨가 기계관련 산업체에서 근무하다 사범대 졸업 후 전문계고등학교 기계과 교원으로 근무한 경우, A씨의 산업체 근무 경력은 호봉에 반영될까?


현행 규정에 따르면, 아니다. 교원 A씨가 산업체에서 근무했던 경력은 현행 규정에 따라 대졸 이후 경력이 아니므로 호봉획정 시 상향인정 대상에서 제외된다.


이에 학벌없는사회를 위한 광주시민모임(이하 학벌없는사회)은 전문계 교원의 호봉 획정 시 관련 경력을 특별히 상향 인정하면서 대학(전문대학 포함) 졸업 후의 경력만을 인정하는 것은 차별이라고 주장했다. 


학벌없는사회에 따르면, 교육공무원의 호봉을 획정할 때 전문계 교원이 교원자격증 표시과목과 동일한 분야의 산업체에서 상근으로 근무했던 경력은 일반적인 교원의 민간 산업체 경력 인정비율(30~40%)보다 높은 90~100%의 비율로 반영하도록 돼 있다. 


그러나 현행 규정에선 이러한 규정을 적용받기 위해 해당 경력이 대학을 졸업한 후의 경력이어야 한다. 


이와 관련해 학벌없는사회는 “산업체 근무경력을 반영한 것은 합리적 조치이다”면서도 “그러나 ‘산업체에서의 업무 경험이 일정 수준의 전문성 또는 숙련성을 갖추고 수행된 것임을 입증할 수 있는 방법’이 반드시 학사 학위의 취득뿐이라고 보기는 어렵다”고 지적했다. 


“‘자격증·면허증 등을 취득한 경우에도 일정 수준의 전문성과 숙련성을 갖추었음’을 충분히 입증가능하다”는 것. 


또한 “공문원보수 등 업무지침에는 민간 전문분야 근무경력을 인정할 때 자격증·면허증·박사학위(중 한 가지) 취득 후의 경력을 인정대상으로 하고 있다”며 “교육공무원의 경우에만 대학 졸업 여부를 기준으로 삼아야 할 이유를 찾기 어렵다”고 덧붙였다. 


이에 학벌없는사회는 “대학교 졸업 이후의 경력이 아니라는 이유로 호봉 상향 인정에서 배제하는 것은 학력차별이라고 판단한다”며, “이러한 차별은 개인의 특성을 도외시하여 인적자원에 대한 지원·배분·활용을 왜곡시킬 뿐 만 아니라 사회구성원들의 학력 과잉을 유발할 수 있다”고 비판했다. 


학벌없는사회는 문제해결을 위해 교육공무원 호봉획정시 경력환산율표의 적용 등에 관한 예규(교육공무원 등의 경력환산율표 비고1에 따른 경력환산율 상향 인정 기준) 개정을 교육부에 요구했다.


한편, 국가인권위원회는 교육과학기술부장관에게 산업기사 등 관련 기술자격 취득 후의 경력도 호봉 상향 인정대상에 포함하도록 개선할 것을 2013년에 권고한 바 있으나, 현재까지 교육부는 위 권고를 이행하지 않고 있다.


김우리 기자 uri@gjdream.com


광주드림 http://www.gjdream.com/v2/news/view.html?uid=48118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