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 간 서열화·학력차별 조장
【광주=뉴시스】맹대환 기자 = 광주은행이 신입사원 채용 과정에서 대학별 추천제를 이용하는 것은 학력 차별이고 대학 서열화를 부추긴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학벌없는사회를위한광주시민모임(학벌없는사회)은 8일 광주은행 행원 채용의 불공정성을 개선해야 한다며 국가인권위원회에 진정서를 제출했다고 밝혔다.
학벌없는사회에 따르면 광주은행은 정규직원은 4년제 대학 이상 졸업자로, 계약직원은 2년제 대학 이상 졸업자로 학력을 제한하고 있다.
또 공통 제출서류로 학교추천서를 요구하고 있으며, 광주은행은 대학별 추천 인원을 별도로 할당하고 있다.
광주은행이 대학별 추천 인원을 비공개하고 있으나, 학벌없는사회가 입수한 2017학년도 광주 소재 일부 대학의 광주은행 행원 추천공고에 따르면 전남대 52명, 조선대 45명이 추천서를 할당받은 반면 호남대는 5명, 광주대는 3명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 추천서는 광주·전남 소재 대학에 주로 배정하고 나머지는 수도권 주요 대학에 할당하는 것으로 알려졌지만, 광주·전남 소재 일부 대학교는 광주은행으로부터 추천 협조를 받지 못한 것으로 알려졌다.
광주은행은 은행권 최초로 2010년 고졸자 행원을 채용한 것을 시작으로 2013년까지 고졸자(특성화고 학생)에게 취업문을 열어준 바 있으며, 현재 국민·신한·하나은행 등 대다수 시중은행은 응시자격의 학력제한을 없애고 있다.
학벌없는사회는 "광주은행의 대학별 추천제는 지역인재 선발을 위한 것이라고 인정할지언정 대학 간 추천 인원 격차와 학력제한은 납득할 수 없고 객관성을 인정하기 어렵다"고 지적했다.
이어 학벌없는사회는 "비록 기업의 직원채용이 사적 영역이라고는 하나 광주지역을 대표하는 향토기업으로서의 사회적 책임과 사회 전반에 미치는 상징성을 감안한다면 결코 묵과할 수 없는 심각한 문제다"며 "정부가 추진하는 평등한 고용·인사정책에 반하는 것인 만큼 대학별 추천제를 폐지하고 보다 합리적인 대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뉴시스 http://www.newsis.com/view/?id=NISX20171108_0000141963&cID=10809&pID=10800
'각종 매체 > 언론보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우리은행 채용비리는 금융권의 ‘빙산의 일각’ (0) | 2017.11.09 |
---|---|
"광주은행, 행원 채용 대학별 추천제 철회해야" (0) | 2017.11.09 |
학벌없는사회, “광주은행 행원 채용 대학별 추천제 폐지”촉구 (0) | 2017.11.09 |
광주시민단체, JB '행원 채용 대학 추천제' 인권위 진정 (0) | 2017.11.09 |
시민단체 "광주은행 대학별 추천제 철회돼야" (0) | 2017.11.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