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다름, 그 다채로움의 씨앗을 위하여...

광주장애인차별철폐연대 활동가 도연

2001년, 장애운동을 하는 이들이 ‘이동권을 보장하라!’라고 외쳤을 때 지나가는 한 아이가 “아저씨 이름이 이동권이에요?”하고 물어본 적이 있었습니다. 두고두고 활동가들 사이에서 회자되곤 하는 이때의 기억은 이동권과 같은 ‘당연한 권리’가 어느 누군가에게는 그렇지 않다는 것을 단적으로 보여준 에피소드입니다.

청소년, 성소수자, 장애인, 이주노동자 등 사회적 약자 또는 소수자들의 인권을 가로지르는 기호가 있다면 그것은 바로 ‘?’가 아닐까 생각해봅니다. 비장애 남성 내국인 이성애자를 중심으로 구조화 된 사회 속에서 아니 그것들을 포함한 특정한 가치를 기준으로 형성된 사회 속에서 ‘다름’은 곧 부족함이나 부정적인 것으로 인식되게 되는 것 같습니다.

‘?’는 기존의 질서 내에서 차별받거나 배제되는 이들에게 있어 구조적인 차별과 억압을 인지할 수 있는 최초의 나침반입니다. 하지만 과연 대한민국의 청소년 특히 장애 청소년들은 얼마나 이 ‘?’를 접할 수 있었을까요? 자신의 의사에 반하는 획일적인 선택을 강요당하고 무한 경쟁의 입시중심 교육에 신음하는 장애/비장애 청소년들, 그렇게 다르지만 또 닮은 삶을 살아가는 것이 지금의 청소년들 모습이 아닐까요?

1990년대 학교를 다니던 제게 학교 내에서의 장애차별은 있을 수 없는 일이었습니다. 그 이유는 제가 다녔던 학교가 장애학생들만을 따로 모아둔 ‘인디언 보호구역’ 같은 특수학교였기 때문입니다. 당시엔 통합교육이나 일반학교 내 특수학급 등이 막 고민되고 만들어지던 때였고 극히 제한적으로 존재했기 때문에 학교에서의 장애차별에 대한 문제가 크게 부각될 수 없는 시기였습니다. ‘장애인 교육권 보장!’을 목표로 2003년부터 전국적으로 시작된 장애인 교육권 투쟁은 장애 청소년들에게 허락된 인디언 보호구역 같은 ‘특수학교’를 벗어나 일반학교 내 특수학급 또는 통합교육을 받을 수 있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그러나 개별 주체인 장애학생들은 ‘장애인’이란 하나의 묶음으로 사고되었고 여전히 개별적인 목소리는 막혀있습니다.

일제고사에서의 장애학생 배제로 드러난 2009년의 광주시의 교육 현실은 한 명 한 명의 주체들이 어떻게 묶음으로 취급되는가를 단적으로 보여주는 사례라 할 수 있습니다. 일제고사에 대한 동의 여부를 떠나 학교 생활에 있어서의 장애학생에 대한 인식이 어떠한가를 보여주는 단적인 사례가 장애학생들에 대한 시험 볼 기획 박탈로 드러난 것 입니다.

이러한 장애학생들의 사례는 무수히 많습니다. 소풍 또는 학교 활동에서의 부모님 동행 강요나 학습에 필요한 최소한의 교재·교구의 미 제공 등, 다름이 차별로 이어지는 일은 매우 일상적인 문제입니다. 그러나 여기서 잠깐 생각해봅시다. 이러한 장애학생들의 문제가 성인 또는 구조화된 학교 시스템만의 문제일까요??

청소년 인권을 고민하고 입시폐지 등을 요구하는 이들 내에서 장애청소년 또는 청소년 성소수자들에 대한 ‘?’는 존재했는가를 생각해봅시다. 흔히 10대들 사이에서 통하는 말들이 있습니다. 세대에 따라 계속 달라지는 그 말들은 사용하는 주체들의 인식을 드러내기도 하는데 그런 의미에서 ‘애자’란 장애인을 지칭하는 은어는 저를 적잖이 당황하게 만들었습니다. 물론 이성애를 당연한 것으로 간주하고 동성애를 ‘변태’라 지칭하는 것 역시 불편하기는 매일반이었습니다. 청소년 시기를 학교에서 보내야 하는 이들에게 두발규제와 입시경쟁은 가장 중요한 문제들 중 하나일 것 입니다. 그러나 무한경쟁을 강요하는 입시경쟁이 사라지고 획일적인 통제의 상징인 두발규제가 사라진다 하더라도 여전히 남아있는 문제들은 있습니다. 이러한 문제들이 여전히 존재하는 한 청소년 인권운동은 현재 진행형일 수밖에 없으며 그 문제들을 외면하는 순간 청소년 인권 운동은 어디로 향해야 하는지 그 방향을 잃게 될 것이라 생각합니다.

나의 문제가 곧 우리의 문제임을 믿기에 무한 경쟁의 입시교육에 다같이 ‘No!’라고 말할 수 있었을 것 입니다. ‘청소년’의 문제가, 도대체 알 수 없는 ‘만19세’란 기준선 아래 ‘미성년자’란 낙인이 찍혀 기성세대의 가치와 욕망을 강요당하며 생겨나는 것임을 인식하며 지금의 ‘청소년 인권운동’을 조직하게 되었을 것이라 생각합니다.

좁게는 청소년들의 삶부터 넓게는 청소년기를 지난 모둔 이들의 삶을 위해 ‘?’로부터 시작되는 일상적인 자기 성찰과 다른 이들에 대한 예의는 좀 더 넓고 좀 더 많은 이들과 함께 청소년 인권운동을 만들어갈 수 있는 토대가 되어 줄 것이라고 저는 생각합니다.

세상은 우리가 희망하는 대로 조금씩 변해갈 것 입니다. 왜냐하면 현재의 사회 질서를 만들고 유지하려는 성인들은 그 보다 젊은 세대들에 의해 대체될 것이기 때문입니다. 촛불세대라 명명된 지금의 청소년들이 시간이란 강력한 힘으로 만들어 갈 미래는 장애문제, 성소수자 문제, 이주노동자 문제 등 정치적 소수자들의 문제가 존재하지 않았으면 하는 바람입니다.

내가 동의할 수 없고 즐겁게 만들어 갈 수 없다면, 미래는 원치 않는 방향과 모습으로 형성되어 갈 것입니다. 모두가 인간다운 삶을 살 수 있는 ‘?’가 생동하는 더 낮고 더 넓은 청소년 인권운동과 그러한 고민이 담긴 선언이 만들어지기를 희망합니다.

‘다름’이 다채로움이 될 수 있도록 고민하고 움직이는 그 길 위에서 섬세해진 감수성과 참을 수 없는 반가움으로 만나고 싶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