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내정·명의 빌리기·무투표 당선
교육자치기구인 학교운영위원회(이하 학운위) 위원 선출이 전임 지역위원 내정에 명의 빌리기, 찬·반 투표조차 없는 무투표 당선 등 ‘자리 나눠먹기식 선출’로 인해 부작용이 속출하고 있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17일 학벌없는 사회를 위한 시민모임과 광주 참교육학부모회 등에 따르면 광주지역 주요 초·중·고교를 대상으로 운영위원 선출 실태를 홈페이지 모니터링과 설문, 제보 등을 통해 파악한 결과 상당수 학교에서 미리 내정한 후 형식적으로 선출하고 있고 법과 조례, 규정에도 맞지 않게 운영 중인 것으로 드러났다.
학운위 선출관리위원회의 경우 광주사립학교 운영위 설치·운영 조례에 따라 학부모위원과 교원위원 선출에 앞서 구성토록 돼 있으나, 대다수 학교가 학부모와 교원의 명의를 빌려 위원회를 구성했고, 선출관리위 회의도 진행하지 않은 채 행정실장이 선거사무를 총괄했다.
또 학부모·교원위원 선출은 입후보 공고 이후 학부모·교원 전체회의를 통해 투표로 선출토록 돼 있으나 전체회의도 없이 후보자수와 선출인수가 같다는 이유로 찬·반투표도 없이 무투표 당선공고를 내는 경우도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일부 학교에서는 입후보 공고조차 생략한 채 교육과정 설명회에서 내정하기까지 했다.
학부모·교원위원의 추천을 받아 선출하는 지역위원의 경우도 전임 지역위원이 내정해 교장이 선출하는가 하면 대다수 학교에서는 선출회의도 없이 무투표 당선 공고를 낸 것으로 확인됐다. 최민석기자 cms20@srb.co.kr
무등일보 http://honam.co.kr/article.php?aid=1555513200581559011
상당수 학교 사전 안내·공고 등 절차 없이 알음알음 뽑아 시험지 유출 사고 겪고도 그대로…시민모임, 개선 촉구
광주 상당수 학교가 학교 운영위원 선출 과정에서 선출위원회 구성·입후보자 공고 등 관련 절차를 어기고 있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학운위원 선출 사전 안내도 부실해 입후보 등 선거 참여도가 낮아, 학교와 친분 있는 인사 위주로 무투표 당선 또는 사전 내정 형식으로 뽑히는 경우도 적지 않다는 주장도 나왔다.
지난해 학운위원장에게 정기고사 시험지를 통째로 넘겼다가 광주 교단을 발칵 뒤집었던 광주 사립고 시험지 유출 사건 이후 학운위원 선정과 학운위 운영이 개선돼야 한다는 비판이 쏟아졌으나 공염불에 그친 것이다.
‘학벌없는 사회를 위한 시민모임’은 17일 광주 초·중·고 학교 운영위원 선출 과정을 모니터링한 결과, 상당수 학교가 학운위원 선출 관련 절차를 어기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고 밝혔다.
시민모임은 지난 1일부터 15일까지 학교 홈페이지 모니터링(200개교 이상), 학부모단체 설문(참교육학부모회 200명 가량), 시민 제보(10명 이내) 등을 토대로 선출 과정을 들여다본 결과, 이 같은 사실을 확인했다고 덧붙였다.
시민모임이 문제 삼은 대목은 ▲학운위원 선출 사전 홍보 미흡 ▲선출위원회 형식적 구성 ▲교원위원·지역위원 구성 편향성 ▲(홍보 저조 등의 이유로) 학부모 참여 저조, 그에 따른 무투표 당선 및 사전 내정 행태 등이다.
광주시립학교 운영위원회 설치·운영에 관한 조례는 학부모·교원 위원 선출을 관리하는 위원회를 구성하도록 했지만, 실제로는 해당자의 명의를 빌려 위원회를 꾸리고 행정실장이 운영위 선거 사무를 관장하는 있는 실정이다.
무투표 당선 및 사전 내정 발표 사례도 시민 제보나 모니터링 과정에서 드러났다. 상당수 학교가 전체회의 없이 후보자 수와 선출위원(학운위원) 수가 같다는 이유로 무투표 당선시켰다. 광주 A 초등 학교에서는 입후보 공고 없이 교육과정 설명회에서 느닷없이 학운위원을 내정한 경우도 있었다.교원위원은 대다수 학교에서는 교감이나 부장교사가, 지역위원은 퇴직 교장이나 교육청 관계자가 선출되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 경우 학교장 고유 권한이 침해되거나, 반대로 학교장 중심으로 학교가 운영되는 등 학교 운영 전반에서 건전한 비판과 토론 문화를 기대하기 힘들게 된다고 시민모임은 지적했다.
조례에 따르면 학운위는 학칙 제·개정, 학교 예산안·결산, 학교교육과정의 운영방법, 학교교육과정 운영방법, 교과용 도서 및 교육 자료 선정, 교복ㆍ체육복ㆍ졸업앨범 등 학부모 경비 부담 사항, 방과 후 교육활동 및 수련활동, 학교 운영지원비 사용, 학교급식 등에 관한 심의권한이 있다.
학운위 심의 대상에는 대학입학 특별전형 중 학교장 추천, 학교운동부 구성ㆍ운영도 포함된다. 사실상 학교 운영 전반을 들여다보며 견제하고 때론 학교 방침에 힘을 실을 수 있는 주요 기구이지만, 학부모·교원·지역 위원 등으로 구성된 학운위원 구성이 엉터리로 되다 보니 투명하고 바람직한 학교 운영을 기대하기 힘들다는 게 시민모임 주장이다.
학벌없는 사회를 위한 시민모임 관계자는 “모니터링을 통해 광주 초중고교 학운위원 선거가 여전히 관행에서 벗어나지 못했다는 것을 확인했다”며 “광주시교육청은 학운위 선거 전수조사를 거쳐 규정을 위반한 학교에는 시정조처를 내리고, 시대에 뒤떨어진 조례는 과감히 개선해야 한다”고 말했다.
/김형호 기자 khh@kwangju.co.kr
광주드림 http://www.kwangju.co.kr/read.php3?aid=1555513200659601006
광주 학교운영위원 선출 ‘깜깜이’ 사전 내정·찬반 투표 없는 무투표 당선까지
교육자치기구인 학교운영위원회(이하 학운위) 위원 선출이 사전내정에 명의 빌리기, 찬·반 투표조차없는 무투표 당선 등으로 ‘깜깜이 선출’이라는 지적이 일고 있다.
17일 학벌없는 사회를 위한 시민모임과 광주참교육학부모회에 따르면 광주지역 주요 초·중·고교를 대상으로 운영위원 선출 실태를 홈페이지 모니터링과 설문, 제보 등을 통해 파악한 결과 상당수 학교에서 미리 내정한 후 형식적으로 선출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우선 학운위 선출관리위원회의 경우 광주시립학교 운영위 설치·운영 조례에 따라 학부모위원과 교원위원 선출에 앞서 구성토록 돼 있으나, 대다수 학교가 학부모와 교원의 명의를 빌려 위원회를 구성했고, 선출관리위 회의도 진행하지 않은 채 행정실장이 선거사무를 총괄했다. 선거 중립성 훼손과 학교장 입맛에 맞는 운영위 구성 가능성이 크다는 지적이다.
또 학부모·교원위원 선출은 입후보 공고 이후 학부모·교원 전체회의를 통해 투표로 선출토록 돼 있으나 전체회의도 없이 후보자 수와 선출인 수가 같다는 이유로 찬·반투표도 없이 무투표 당선공고를 내는 경우가 적잖았다. 일부 학교에서는 입후보 공고조차 생략한 채 교육과정 설명회에서 내정하기까지 했다.
학부모·교원위원의 추천을 받아 선출하는 지역위원의 경우도 전임 지역위원이 내정해 교장이 선출하는가 하면 대다수 학교에서는 선출회의도 없이 무투표 당선 공고를 낸 것으로 확인됐다. 교원·지역위원 구성도 문제여서 교원위원의 경우 교감이나 교무·연구 부장교사, 지역위원은 전직 교장이나 교육청 관계자가 꿰차는 경우가 다반사였다.
이밖에 초등 병설유치원 구성원의 초등 학운위원 참여 배제, 임기 1년에 2차례 연임이 가능토록 한 규정을 무시한 채 일부 학교에서 4차례 연임이 이뤄진 경우 등도 문제점으로 지적됐다.
이에 시민모임과 참교육학부모회는 시교육청에 ▲학운위 선거 전수조사 ▲관련 조례와 규정 위반 시 시정조치 ▲온라인투표 시범학교 운영 등을 촉구했다.
시민모임 관계자는 “학운위는 단위 학교의 자율성과 창의성을 보장하기 위한 학교자치기구임에도 위원 선출 과정을 들여다보면 그릇된 관행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조례나 규정도 시대흐름을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고 밝혔다.
김경태 기자 kkt@namdonews.com
남도일보 http://www.namdo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520208
조례에 규정된 사항 무시하고 깜깜이 선출 일부 광주지역 초·중·고등학교에서 학교운영위원 선출을 위원회 회의개최 및 공고조차하지 않거나 학교장이 지명해 선출하는 등 법과 조례, 규정을 지키지 않고 선출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벌없는 사회를 위한 시민모임과 광주 참교육학부모회가 광주지역 초·중·고등학교 학교운영위원 선출과정에 대해 모니터링을 한 결과 "대다수의 학교가 선출관리위원회를 학부모와 교원의 명의를 빌려 형식적으로 구성하고 회의조차 하지 않은채 행정실장이 사무를 보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또, 대다수의 학교가 학부모와 교원의 전체회의없이 후보자 수와 선출인 수가 동일하다며 무투표 당선을 공고하고 있고 B초등학교 등은 입후보 공고없이 교육과정설명회에서 내정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함께 B초등학교 등 일부학교에서는 조례를 어기고 전임지역위원을 내정했고 대다수의 학교가 교원위원의 경우 교감, 부장교사, 지역위원의 경우 전직교장과 교육청관계자를 선출하고 있어 학교장의 고유권한 침해나 학교장 중심 운영의 우려를 낳고 있다.
특히, 병설유치원이 있는 W초등학교 등은 유치원 학부모와 교원위원을 각각 1명씩 포함해야 하는 되는데도 배제했고 G고등학교 등 일부학교는 위원의 임기 1년, 두차례 연임할수 있다는 규정을 어기고 일부 위원이 4차례나 연임한 것은 물론 D고등학교에서는 3회연속 회의에 불참한 운영위원의 직을 유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시민단체는 학교운영위원회 선거관련 전수조사와 관련조례및 규정위반시 시정조치, 온라인투표 시범학교 운영 등을 광주시교육청에 요구했다.
gondang@hanmail.net
노컷뉴스 https://www.nocutnews.co.kr/news/5136599
손상원 기자 = 광주 상당수 학교가 학교 운영위원 선출에 필요한 제도나 절차를 어기고 있다는 지적이 나왔다.
학벌 없는 사회를 위한 시민모임은 17일 광주 초·중·고 학교 운영위원 선출 과정을 모니터링한 결과 많은 학교가 내정 후 형식적인 절차를 밟는 등 조례와 규정을 어기고 있었다고 밝혔다.
광주시립학교 운영위원회 설치·운영에 관한 조례는 학부모·교원 위원 선출을 관리하는 위원회를 구성하도록 했지만, 실제로는 해당자의 명의를 빌려 위원회를 구성하고 행정실장이 운영위 선거 사무를 하는 실정이라고 시민모임은 평가했다.
입후보 공고 없이 교육과정설명회에서 위원을 내정하거나 무투표 당선을 공고하는 사례도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교원 위원은 교감·부장교사, 지역위원은 전직 교장·교육청 관계자가 선출돼 폐쇄성을 드러내는가 하면 두 차례 연임 가능한 규정을 어기고 네 차례 위원을 연임한 경우도 있었다.
시민모임 관계자는 "학교운영위원회 운영 실태가 관행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사실이 확인됐고 관련 조례와 규정도 시대 흐름에 맞게 바꿀 필요성을 느꼈다"며 "시교육청은 실태 조사를 거쳐 규정을 위반한 학교에는 시정 조처를 하고 온라인 투표 시범학교를 운영하는 등 개선 의지를 보여야 한다"고 주장했다.
sangwon700@yna.co.kr
연합뉴스 https://www.yna.co.kr/view/AKR20190417101700054?input=1179m
선출위 구성 뒷전, 사전 내정에 무투표 공고도
송창헌 기자 = 교육자치기구인 학교운영위원회(이하 학운위) 위원 선출이 사전내정에 명의 빌리기, 찬·반 투표조차없는 무투표 당선 등으로 '깜깜이 선출'이라는 지적이 일고 있다.
17일 학벌없는 사회를 위한 시민모임과 광주 참교육학부모회에 따르면 광주지역 주요 초·중·고교를 대상으로 운영위원 선출 실태를 홈페이지 모니터링과 설문, 제보 등을 통해 파악한 결과, 상당수 학교에서 미리 내정한 후 형식적으로 선출하고 있고, 법과 조례, 규정에도 맞지 않게 운영중인 것으로 확인됐다.
우선 학운위 선출관리위원회의 경우 광주시립학교 운영위 설치·운영 조례에 따라 학부모위원과 교원위원 선출에 앞서 구성토록 돼 있으나, 대다수 학교가 학부모와 교원의 명의를 빌려 위원회를 구성했고, 선출관리위 회의도 진행하지 않은 채 행정실장이 선거사무를 총괄했다.
선거 중립성 훼손과 학교장 입맛에 맞는 운영위 구성 가능성이 크다는 지적이다.
또 학부모·교원위원 선출은 입후보 공고 이후 학부모·교원 전체회의를 통해 투표로 선출토록 돼 있으나 전체회의도 없이 후보자수와 선출인수가 같다는 이유로 찬·반투표도 없이 무투표 당선공고를 내는 경우가 적잖았다. 일부 학교에서는 입후보 공고조차 생략한 채 교육과정 설명회에서 내정하기까지 했다.
학부모·교원위원의 추천을 받아 선출하는 지역위원의 경우도 전임 지역위원이 내정해 교장이 선출하는가 하면 대다수 학교에서는 선출회의도 없이 무투표 당선 공고를 낸 것으로 확인됐다.
교원·지역위원 구성도 문제여서 교원위원의 경우 교감이나 교무·연구 부장교사, 지역위원은 전직 교장이나 교육청 관계자가 꿰차는 경우가 다반사였다. 교장의 고유 권한이 침해받거나 반대로 교장 중심의 운영이 이뤄질 가능성이 크고, 소수의견보다 일방적 의견이 발표되는 비민주적인 토론문화도 우려되고 있다.
이밖에 초등 병설유치원 구성원의 초등 학운위원 참여 배제, 임기 1년에 2차례 연임이 가능토록 한 규정을 무시한 채 일부 학교에서 4차례 연임이 이뤄진 경우 등도 문제점으로 지적됐다.
박고형준 시민모임 상임활동가는 "학운위는 단위 학교의 자율성과 창의성을 보장하기 위한 학교자치기구임에도 위원 선출 과정을 들여다보면 그릇된 관행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조례나 규정도 시대흐름을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에 시민모임과 참교육학부모회는 학운위 지도·감독권를 지닌 광주시교육청에 ▲학운위 선거 전수조사 ▲관련 조례와 규정 위반 시 시정조치 ▲온라인투표 시범학교 운영 등을 촉구했다.
goodchang@newsis.com
뉴시스 http://www.newsis.com/view/?id=NISX20190417_0000623378&cID=10899&pID=10800
아동용 식사 도구 사용 단 3개교, 151개교는 성인 수저 사용 시설, 식단, 조리 등에서 생애주기의 특성이 고려되지 않고 있다.
광주광역시 소재 초등학교 154개교 중 초등용 수저를 사용하는 학교는 단 3개교에 불과했고 나머지 151개교는 성인용 수저를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8일, 학벌 없는 사회를 위한 시민모임이 광주시교육청 자료를 통해 확인한 바에 따르면, 실제 상당수 초등학생들이 성인용 수저 사용을 힘들어 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대부분은 젓가락을 아예 사용하지 않고 숟가락만으로 밥을 먹거나, 젓가락을 사용하더라도 중간 부분을 잡고 ‘X자’ 형태의 잘못된 젓가락질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다보니 일부 병설유치원은 ‘에디슨 젓가락’을 수익자부담으로 구입해 이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나마 숟가락도 어른 신체조건에 맞는 형태이다 보니, 학생들이 식사 때마다 불편함을 감수해야 하는 상황이다.
이에 따라 일부 교육청은 이번 조사를 계기로 각 학교에 아동용 수저 보급을 권장하기로 했으나, 광주시교육청은 아직 묵묵부답이다. 병설유치원의 급식실태는 더욱 심각한 것으로 조사됐다. 광주광역시 소재 병설유치원 119개 중 전용 급식실이 있는 학교는 한 곳도 없었으며, 초등학교 급식실과 공용으로 사용하고 있었다.
단설유치원과 달리 초등학교의 시설물을 함께 사용하기 때문에 원아들의 신체기준이나 특성 등을 고려하지 않아, 아이들이 위험에 노출되고 있었다. 특히 만3세의 어린 아이들로 구성된 반은 유치원 생활을 처음 시작하는데다가 평소 가정에서 사용하지 않았던 자동 식탁의자를 낯설어 했다.
학벌없는사회를 위한 시민모임 관계자는 "수 억원에 이르는 학교급식 규모에 비해 초등학생(유치원생)이 사용하는 수저가 차지하는 예산은 규모가 작아서 교육청과 단위학교의 의지만으로 편성이 가능하다"라며 "교육부와 교육청은 더 이상 효율성이나 예산을 핑계 삼아 초등학교 학교급식 현안에 ‘모르쇠’로 일관해서는 안 된다"라고 주장했다.
뉴스포털1 http://www.civilreporter.co.kr/news/articleView.html?idxno=68808
광주 154곳 중 3곳만 아동용 사용 학벌없는사회·전교조 “개선 시급”
광주지역 거의 모든 초등학교에서 ‘성인용 식기도구’를 사용하고 있어 아동 신체에 맞는 급식시설 개선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학벌없는 사회를 위한 시민모임과 전국교직원노동조합 광주지부는 18일 “광주지역 초등학교와 병설유치원의 급식 시설 개선을 촉구하는 의견서를 시교육청에 제출했다”고 밝혔다.
두 단체가 광주지역 154개 초등학교 급식 식기사용 실태를 파악한 결과, 아동용 수저를 사용하는 학교는 단 3곳에 불과했다. 나머지 151개교는 성인용 수저를 사용 중인 것으로 나타났다.
단체에 따르면, 상당수 학생들은 젓가락을 아예 사용하지 않고 숟가락만으로 밥을 먹거나 젓가락을 사용하더라도 중간부분을 잡고 ‘X자’ 형태의 잘못된 젓가락질을 할 수 밖에 없는 실정이다.
이에 일부 학내 병설유치원은 초등학교와 한 급식소를 이용하며 젓가락 사용이 용이한 ‘에디슨 젓가락’을 수익자 부담으로 구입해 이용하는 사례도 있다.
하지만 숟가락도 성인용이어서 보니 학생들이 식사 때마다 신체에 맞자 않는 불편함을 감수하고 있는 현실.
따라서 병설유치원의 급식실태는 더 심각할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광주지역 병설유치원 119곳 가운데 전용 급식실이 있는 학교는 단 한 곳도 없이 대부분 초등 급식실과 공동사용하고 있다.
급식 시설이 원아들의 신체 기준이나 특성이 고려되지 않았을 뿐 아니라 영양학적으로도 신체 발달 단계에 맞지 않아 문제가 발생하고 있는 것.
단체는 “단설유치원과 달리 초등학교 시설물을 함께 사용하는 원아들의 경우 신체기준이나 특성을 고려하지 않아 위험에 노출돼 있다”며 “특히 만3세의 어린 아이들로 구성된 반은 유치원 생활을 처음 시작하는데다 평소 가정에서 사용하지 않았던 자동 식탁의자에 적응하기 어렵다”고 지적했다.
또한 “유치원생과 초등생의 경우 성장에 필요한 영양소가 다르고 특정 음식을 씹고, 소화력 등 모든 면에서 차이가 있기 때문에 동일 식단을 제공하는 것은 무리”라는 지적이다. 예를 들어 초등학생이 별 무리 없이 섭취하는 동일 양의 고춧가루 음식을 유치원생이 먹기 힘들어 잔반으로 버리는 경우가 많다.
이에 단체는 “교육부와 교육청은 더 이상 효율성이나 예산을 핑계 삼아 초등학교 학교급식 현안을 ‘모르쇠’로 일관해선 안 된다”면서 “수 억 원에 이르는 학교급식 규모에 비해 초등학생(유치원생)이 사용하는 숟가락이 차지할 예산은 규모가 작아 교육청과 단위학교의 의지만으로 편성이 가능하다”며 대안 마련을 위한 간담회를 제안했다.
김우리 기자 uri@gjdream.com
광주드림 http://www.gjdream.com/v2/news/view.html?news_type=202&uid=495399
광주지역 상당수 학교가 학교 운영위원 선출에 필요한 절차를 지키지 않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8일 ‘학벌 없는 사회를 위한 시민모임’이 광주 초·중·고 학교 운영위원 선출 과정을 모니터링한 결과에 따르면 상당수 학교가 내정 후 형식적인 절차를 밟는 등 조례와 규정을 어기고 있다.
학운위 설치·운영 조례에는 학부모 위원과 교원 위원 선출을 관리하는 위원회를 먼저 구성하게 돼 있다. 하지만 상당수 학교는 학부모와 교원의 명의를 빌려 위원회를 구성했고, 선출관리위 회의도 하지 않은 채 행정실장이 선거사무를 총괄했다.
입후보 공고 없이 교육과정설명회에서 위원을 내정하거나 무투표 당선을 공고하는 사례도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A초등학교는 학운위 입후보 공고조차 생략한 채 교육과정 설명회에서 내정했다. 병설 유치원이 있는 B초등학교는 유치원 학부모와 교원위원을 각각 1명씩 포함해야 하는 규정을 무시했다. C고등학교도 위원의 임기 1년, 두 차례 연임할 수 있다는 규정을 어기고 일부 위원이 4차례나 연임했다.
광주=한현묵 기자 hanshim@segye.com
세계일보 http://www.segye.com/newsView/20190418512471?OutUrl=daum
학교 운영위원(학운위) 선출이 자리 나눠먹기식으로 전락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학벌없는 사회를 위한 시민모임’과 ‘참교육학부모회’등 시민단체가 조사한 바에 따르면 광주지역 학운위원 선출 과정은 법과 조례에 명시된 규정을 어느 것하나 준수하지 않았다.
학운위 자리가 나눠먹기식 자리로 전락했다는 소문은 오래전부터 나돌았다. 지자체 기초의원 등이 학운위를 정치적 발판으로 삼거나 사업적 이득을 취하고 있다는 것이다. 시민단체가 조사 해보니 실상은 다르지 않았다. 내정·명의 빌리기·무투표 선임 등의 행태가 고착화 돼 있었다. 학운위는 학부모와 교직원, 지역사회 인사들이 머리를 맞대 학교를 민주적으로 운영하자는 취지로 도입된 기구다. 각급 학교 사정에 따라 다르지만 대개 학부모 위원 7명, 교직원 5명, 지역위원 3명 등 7~15명 내외로 구성된다. 제도가 도입된지 20여년의 세월이 흐르면서 학생 복지에 기여한 측면이 적지않다. 그러나 위원들의 선출 과정이 불투명하게 진행되면서 민주적 학교 운영이라는 도입 취지가 무색해졌다.
학교장의 재량에 따라 위원이 내정되는가 하면 교원 명의를 빌려 위원회를 구성하기도 한다. 또한 입후보자가 누구인지 모르는 상태에서 구성되는 학운위가 제 역할을 하는지도 의심스럽다. 학부모 치맛바람의 원조라는 비난을 샀던 학운위 이전의 ‘육성회’나 ‘사친회’와 다를바 없다. 해당 학교 교장의 의중을 따르는 ‘거수기’라는 소리가 나오는 것이다.
학운위는 학교 자치를 위한 기본조직으로 그 구성에 민주적 절차가 필수다. 자리 나눠먹기로 전락한 학운위는 정치꾼이나 사업자에 자리를 내주는 꼴이다. 아무리 그럴듯한 규정이나 조례가 있어도 이를 지키지 않으면 무용지물에 불과하다. 대다수 학운위가 학교장 거수기 역할을 벗어나지 못하는 것은 선출 절차가 투명하지 못한 탓이 크다. 학운위원을 제대로 뽑아야 학교가 그나마 제 역할을 한다는 것은 말할 나위 없다. 일선 학교와 학운위 관계자들은 학운위가 민주주의를 가르치는 기초임을 잊어서는 안된다. 학생 중심의 학교를 위해서라도 학운위원 선출은 더욱 투명해져야 한다.
무등일보 http://honam.co.kr/article.php?aid=1555599600581668010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