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립초등학교의 높은 학부모부담금(학비)이 매년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음에도, 학교가 자발적으로 정보 공시하거나 신입생 모집 시 세부적으로 안내하지 않아 학부모들 사이의 쪽지 정보로 알려져 있다.
이에 학벌없는사회를 위한 시민모임이 광주광역시 관내 사립초등학교 3곳(살레시오, 광주삼육, 광주송원)의 예산서를 분석하였는데, 그 결과 금년 학부모부담금 최고액이 연간 1,200여만 원으로 평균 대학등록금의 2배에 가까운 것으로 확인되었다.
사립초교의 학부모부담금은 ‘수업료, 입학금 등 등록금’과 ‘수익자부담금’으로 구분되는데, 2020학년도 신입생이 의무적으로 납부할 등록금은 연간 590 ~ 670여만 원으로 학부모 부담금의 절반 수준이다. 이 중 살레시오초와 광주송원초는 2015년에 비해 연간 100여만 원의 수업료를 인상하였다.
구분 |
학년도 |
등록금 |
수익자부담금(최대 추정) |
학부모 부담금 |
학부모부담금 / 등록금 비율 |
|
입학금 |
수업료 |
|||||
살레시오초 |
2015 |
1,000,000 |
4,620,000 |
4,484,901 |
10,104,901 |
55.6% |
2020 |
1,000,000 |
5,796,000 |
5,938,780 |
12,734,780 |
53.4% |
|
광주삼육초 |
2015 |
750,000 |
5,453,403 |
2,551,009 |
8,754,412 |
70.9% |
2020 |
750,000 |
5,142,400 |
4,387,893 |
10,280,293 |
57.3% |
|
광주송원초 |
2015 |
700,000 |
4,284,000 |
3,252,202 |
8,236,202 |
60.5% |
2020 |
700,000 |
5,280,000 |
4,723,776 |
10,703,776 |
55.9% |
▲ 2015, 2020학년도 광주광역시 관내 사립초등학교 학부모부담금 현황 (단위 : 원)
수익자부담금은 공통적으로 졸업앨범비, 방과후교육활동비, 현장체험학습비 등 교육활동목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그 외 영어캠프, 원어민영어회화반, 과학영재반, 학력캠프, 국제교류 등 각종 입시위주 교육활동을 수익자 부담하도록 계획하고 있다.
학교명 |
수익자부담금 |
기타 수익자부담금 |
살레시오초 |
우유급식비, 방과후학교활동비, 현장체험학습비, 졸업앨범비 |
통학차량비, 원어민영어회화반운영, 성지순례, SYM운영, 살레시오가족피정, 영어캠프, 음악캠프활동, 일요음악캠프, 중창단음악캠프, 수영교실, 새로나가족운영, 과학축제, 국제교육 |
광주송원초 |
우유급식비, 방과후학교활동비, 현장체험학습비, 졸업앨범비 |
통학차량비, 과학영재반, 교복구입비, 특기적성 캠프 |
광주삼육초 |
방과후학교활동비, 현장체험학습비, 청소년단체활동비, 졸업앨범비, 교과서비 |
오케스트라캠프, 통학차량비, 학력캠프, 꿈끼탐색비 |
▲ 2020학년도 광주광역시 관내 사립초등학교 학부모부담금 중 수익자부담금 현황
이처럼 학부모부담금의 경제적·심리적 무게감이 상당함에도 불구하고 이들 사립초교의 학교법인은 전체 학교예산의 1%도 지원하지 않고 있으며, 교육청으로부터 무상교육비(전체예산의 9% 가량)를 지원받아 숨통을 트였을 뿐 학부모들에게 학교예산의 전적인 책임을 떠넘기고 있는 실정이다.
세입 |
살레시오초 |
광주삼육초 |
광주송원초 |
|||
누계예산 |
구성비 |
누계예산 |
구성비 |
누계예산 |
구성비 |
|
전년도이월금 |
24,000 |
0.4 |
20,000 |
0.3 |
45,000 |
0.9 |
기타이전수입 |
5,000 |
0.1 |
20,000 |
0.3 |
|
|
지방교육자치단체 이전수입 |
487,222 |
9.7 |
523,856 |
8.9 |
427,581 |
8.9 |
학부모부담수입 |
4,438,928 |
89.1 |
5,234,422 |
89.4 |
4,284,732 |
89.7 |
행정활동수입 |
25,055 |
0.5 |
50,470 |
0.8 |
16,400 |
0.3 |
▲ 2020학년도 광주광역시 관내 사립초등학교 세입 현황 (단위 : 천원)
사립초교 및 학교법인의 운영 상 문제가 빗발침에도 이들 사립초교의 신입생 입학 경쟁률은 대학 입시 못지않으며, 오히려 특정계층 학부모들의 관심과 입학 경쟁률이 상승하는 등 대학입시의 초기과열현상이 일어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학벌없는사회를 위한 시민모임은 경제적 여건에 따라 분리교육이 되는 등 사회적 양극화 현상에 대해 우려를 표하며, “초등학교 간 교육과정 불균형(사립초교의 과다 학습량, 선행학습 등)으로 인해 교육격차가 심화되거나 국·공립초교 학생이 각종 불이익을 받지 않도록 노력해줄 것”을 광주시교육청에 촉구하였다.
더불어, “법정전입금 완납 등 학교법인에 사회적 책임을 물 것”, “(유치원 및 대학과 같이) 등록금 및 그 밖의 학부모부담금의 산정근거 공시화, 등록금 조정 심의위원회 설치 등 교육기관 운영의 투명성·공정성을 마련할 것”을 교육청에 촉구하였다.
2020. 9. 18. 학벌없는사회를 위한 시민모임
'주요사업 > 보도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보도자료] 광주교육기관, 채용절차법 위반으로 3,900만원 과태료 물어 (0) | 2020.09.24 |
---|---|
[보도자료] 사립초교 꼼수 지원, 광주사립학교 보조조례 개정 촉구 (0) | 2020.09.23 |
[보도자료] 광주시 시민권익위의 학원교습시간 조정 권고 환영 (0) | 2020.09.17 |
[보도자료] 광주 사립유치원, 법정 연간 수업일수 초과 ‘만연’ (0) | 2020.09.14 |
[보도자료] 학벌없는사회를 위한 상상, 학벌없는 ‘과잠’ 제작 돌입! (0) | 2020.09.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