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도자료] 학벌없는사회를 위한 선언 발표

 

 

2016년 서울의 사단법인 학벌없는사회 해산은 성급했던 결정

조국 사태에서 보듯 학벌주의를 기반으로 한 불평등, 세습 구조 고착화

108, 학벌없는사회를 위한 시민모임(광주) 새로운 선언문 심의

학벌주의가 해소되지 않는 한 이를 넘어서기 위한 시민운동은 계속될 것

 

2016년 사단법인 학벌없는사회는 자본독점 앞에 학벌독점도 더 이상 작동하지 않고 있다고 분석하며, 해산했다. 학벌에 의한 차별 양상이 달라졌을 뿐인데, 운동의 이유가 없어졌다고 오판한 것이다. 그러나 학벌주의는 여전히 우리 일상에 뿌리 깊게 남아 사회 양극화의 명분이 되거나, 서울-지방 격차를 확대, 재생산하고 있다.

 

학벌없는사회를위한시민모임은 2016년의 해산 선언문을 극복하고 학벌타파 운동의 당위를 확인하기 위해 108일 회원의날 토론을 거쳐 학벌없는사회를 위한 선언을 심의했다. 사전행사에서는 학벌없는사회 운동을 되돌아보다를 주제로 사단법인 학벌없는사회(서울) 채효정 전 사무처장과 학벌없는사회를 위한 시민모임(광주) 박고형준 상임활동가의 토론발표가 있었다.

 

_ 사단법인 학벌없는사회(서울)의 창립, 성장, 소멸, 해산 과정이 생생하게 증언되었으며, 학벌없는사회 운동의 난관과 과제를 고민할 수 있는 시간이었다. 아울러 학벌없는사회를위한시민모임(광주)의 활동과정에 대해서도 다루어졌다.

 

_ 조국 전 법무장관 관련 쟁점도 언급되었으며, 이를 통해 여전히 학벌주의가 차별과 세습의 기제로 작동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학벌주의를 건드리지 않는 한 입시 공정성만으로 이런 문제는 해결될 수 없을 것이다.

 

최종 심의를 거쳐 우리는 오늘 학벌없는사회를 위한 선언을 발표하는 바이다. 학벌 문제가 해소되지 않는 한, 학벌타파를 위한 시민운동도 결코 사라지지 않을 것이다. 이를 계기로 전국의 모든 시민이 학벌타파 운동에 동참하기를 바란다.

 

20191022

학벌없는사회를 위한 시민모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