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은행은 주요 대학에 인원을 차등 할당하는 방식으로 신입 행원을 선발해 왔다. 실제로 시민단체인 학벌없는사회를 위한 광주시민모임이 입수한 올해 자료에는 전남대 52명, 조선대 45명이 추천서를 할당받았다. 반면, 호남대 5명, 광주대 3명 등 여러 대학은 이에 훨씬 못 미쳤다. 


추천서는 수도권에도 할당하는 것으로 알려졌지만, 정작 지역 소재 일부 대학은 추천조차 하지 못했다고 시민모임은 밝혔다.


광주은행은 홈페이지 채용정보에 정규직원의 경우 4년제 대학 이상, 계약직원의 경우 2년제 대학 이상 졸업자로 학력을 제한했다. 최근에도 4년제 대학 이상 졸업자 또는 2018년 2월 졸업예정자, 최종학교 전학년 평균 성적 B학점 이상, 공인어학성적이 우수한 자로 지원자격을 뒀다.


또 광주은행은 은행권 최초로 지난 2010년 고졸자 행원을 채용한 것을 시작으로 2013년까지 고졸자(특성화고 학생)에게 취업문을 열어준 바가 있지만, JB금융으로 인수된 2014년부터 고졸자를 단 한 명도 채용하지 않고 있다.


이는 현재 국민·신한·하나은행 등 대다수 시중은행이 응시자격의 학력제한을 없애 행원을 채용하고 있는 것과 크게 비교되는 행태다.


광주시민모임은 ‘광주은행 행원 채용의 대학별 추천제’가 고졸자·취업준비생·미추천 대학 구성원의 채용기회를 박탈한 것이자, 학력 차별·대학 서열화·채용 불공정성 등 문제가 있는 것으로 지적했다.


이들은 “대학별 추천제는 지역인재 선발을 위한 것이라고 해도, ‘대학 간의 추천인원 격차’와 ‘응시 학력제한’은 아무리 생각해도 납득할 수 없고 객관성을 인정하기 어렵다며 국가인권위원회에 진정서를 제출했다”고 밝혔다.


광주은행은 이 참에 내부 규정상의 이유로 비공개하고 있는 내용들을 명백히 공개해야 한다. 대학별 추천인원 할당의 근거와 채용 결과, 학력과 성적 제한의 당위성 등에 대한 분명한 설명이 뛰따라야 하는 것이다.


광주은행이 이번 시민단체의 지적에 합리적으로 산정한 것으로, 차별이 아니다고 해명한 때문이다. 


촛불시민 혁명으로 태동한 새 정부는 평등한 고용·인사정책을 의욕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더불어 만연한 채용비리에 대한 실태조사와 함께 근절을 다짐하고 있다. 광주은행은 오랜 향토기업이다. 지역사회 전반에 미치는 상징성과 영향을 감안해 하루라도 빨리 ‘책임있는 조치’를 취해야 한다.


광주매일신문 http://www.kjdaily.com/read.php3?aid=15102211984225960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