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시민단체, 오늘 5·18기념재단서 촉구 기자회견


광주시민단체들이 미얀마 민주화의 상징인 아웅산 수지 여사에 대한 ‘광주인권상’ 취소를 촉구하고 나섰다.


8일 광주인권회의 등에 따르면 학벌없는사회를위한광주시민모임, 참교육을위한전국학부모회 광주지부, 실로암사람들 등 11개 광주시민단체들은 9일 오전 11시 서구 5·18기념재단 앞에서 아웅산 수지의 광주인권상 및 광주명예시민증 취소 촉구 기자회견을 갖는다.


5·18기념재단은 2004년 미얀마 민주화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해 아웅산 수지에게 광주인권상을 수여했고, 광주시는 2013년 그녀를 초청해 시상식을 열고 광주명예시민증을 수여했다.


하지만 이들은 최근 아웅산 수지가 광주인권상에 걸맞지 않는 행보를 하고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광주인권회의는 “지난 8월 미얀마 군부가 자국 내 소수민족인 로힝야족을 상대로 무자비한 군사작전을 감행, 로힝야족의 절반인 60만명 이상이 국경을 넘어 방글라데시로 피난했고, 지금도 로힝야족 피난민의 행렬이 멈추지 않고 있다”며 “하지만 미얀마의 실질적 지도자인 아웅산 수지는 갈등 해결을 위한 노력보다는 전 세계의 비난을 피하기 위해 이 사태를 축소·부정하며 보여주기식의 행보만을 이어가고 있다”고 비난했다.


이어 “지난 1989년 군부정권에 의해 첫 가택연금을 당한 후 2011년 풀려나기까지 석방과 재구금을 반복하면서도 비폭력 평화투쟁을 고수해 자국민 뿐만 아니라, 전 세계 인권진영의 전폭적인 지지를 받았던 아웅산 수지가 인권유린을 묵인·방조하고 있는 것이다”고 강조했다.


이들은 “미얀마의 실권자인 그녀가 ‘인종청소’라는 비난을 받고 있는 로힝야족 유혈 사태에 대한 아무런 조치도 취하지 않은 것은 광주인권상의 권위와 인권도시 광주의 이미지가 실추하고 있는 것이나 다름이 없다”며 인권상 취소를 촉구했다.


한편,5·18기념재단은 광주인권상을 취소할 규약이 없다는 이유로 입장을 밝히지 않고 있으며, 광주시는 광주시의회의 동의를 얻어야 광주명예시민증을 취소할 수 있다는 입장인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광남일보 http://www.gwangnam.co.kr/read.php3?aid=1510136587270851023#07RH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