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단체 정보공개 청구로 밝혀내…"대학들 염치없다"


대학 도서관들이 국고, 기부금 등 사회적 비용으로 운영비의 절반을 넘게 충당하면서도 일반시민의 도서관 이용에는 소극적 태도를 보이고 있다고 시민단체가 지적했다.


등록금으로 충당하는 도서관 운영비가 절반도 안 되는데 대학도서관 측에서는 시민개방의 반대 근거로 '학생 등록금으로 운영한다'는 터무니없는 주장을 하고 있다는 것이다.


학벌없는 사회를 위한 광주시민모임은 10일 광주지역 17개 대학을 상대로 한 '2013년도 전체 예산과 도서관 일반현황'에 관한 정보공개 청구 결과를 공개했다.


시민모임이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자료를 공개한 8개 대학기준 대학도서관 운영비 중 등록금이 차지한 비중은 평균 47%에 불과했다.


반면에 국고, 전입 및 기부수입, 기성회비 등 등록금을 제외한 외부 비용은 53%에 달해 대학도서관 대부분이 등록금보다는 사회적 비용에 의지해 도서관을 운영하고 있다고 시민모임 측은 분석했다.


시민모임은 "대학도서관들이 개방을 반대하는 이유로 '대학도서관이 등록금으로 운영된다'는 터무니없는 주장을 하고 있다"며 "대학도서관은 국고지원 등 사회적 비용 투입과 졸업생들의 유·무형의 기여, 대학교 안팎을 구성하고 있는 수많은 사람의 사회적 노력과 기부로 운영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시민모임이 대학과 지자체 도서관 예산을 비교한 데 따르면, 지자체 도서관 예산은 지자체 전체예산의 0.4%에 그쳤으나 대학도서관 예산은 대학 예산의 1%에 달했으며, 대학의 1인당 도서구입비는 지자체 362원의 185배인 6만7천262원으로 나타났다.


또 1인당 장서 수는 지자체 0.4권에 비해 대학은 58권이었으며, 1인당 저널 수 역시 지자체 0.0001권인 데에 비해 대학은 0.6권으로 지자체보다 대학도서관이 월등한 정보량을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대해 시민모임은 "시민의 돈으로 전문적이고 체계적인 장서를 보유하고 있는 대학도서관들이 지자체 공공도서관을 확충해야 한다는 논리를 펴고 있다"고 비판했다.


학벌없는사회를 위한 광주시민모임은 일부 자료를 공개하지 않은 대학도서관 측을 행정심판 청구하는 한편, 대학도서관 전면 개방을 요구하며 매주 수요일마다 일인시위를 진행하고 국가인권위원회 진정, 헌법소원 등 법적 대응을 진행할 예정이다.


한편 지난 10월 9일 시민모임이 공개한 자료에 따르면 관내 17개 대학 중 일반인 열람실 이용 가능 대학은 6곳에 그쳤고, 스터디실이 있는 12개 대학 중 3개 대학만이 이를 시민에게 개방했으며 자료실의 경우 8개 대학만 도서열람과 대출이 가능했다. (연합뉴스)

,

<대한민국 엄마들이 꿈꾸는 덴마크식 교육법>의 저자 김영희씨가 3일 오후 7시 광주 동구 중앙도서관에서 '삶의 행복지수 1위의 나라, 덴마크의 교육현장'을 주제로 강연을 한다.


'학벌없는 사회를 위한 광주시민모임'이 주최한 이번 강연은 덴마크의 교육환경을 설명하고 이를 통해 올바른 교육이란 무엇인지 공유할 것으로 보인다.


강연 신청은 인터넷(http://goo.gl/Eils9b)을 통해 할 수 있다. 


,

학벌없는사회를 위한 광주시민모임은 다음 달 3일 오후 7시 광주중앙도서관에서 김영희 저자 초청 ‘삶의 행복지수 1위의 나라, 덴마크의 교육현장’ 강연회를 개최한다.


광주시민모임은 “덴마크의 교육시설과 그 시설 안에서 어떤 교육을 학생들이 받고 있는지 자세한 설명과 생생한 사진을 통해 살펴보고자 한다”며 “덴마크가 실현한 가치를 통해 올바른 교육의 답이 무엇인지 생각하고, 한 발자국 다가가길 바란다”고 강연취지를 밝혔다.


김영희는 3년간 덴마크 거주했으며 전 과천품앗이 운영위원장으로 현재 전남 곡성군에 귀촌했고 ‘대한민국 엄마들이 꿈꾸는 덴마크식 교육법’의 저자다.


참가를 희망하는 사람은 http://goo.gl/Eils9b에서 신청서를 작성해 이메일(antihakbul@gmail.com)로 접수하면된다. 선착순 60명이다.


이번 강좌는 학벌없는 사회를 열어가는 시민강좌 26번째 이야기다. 

,

올바른 교육의 답이 무엇인지 생각하고, 한 발자국 다가가는 자리가 마련되어 눈길을 끈다. 입시지옥이라는 오명을 받는 한국 교육의 현장에 덴마크의 교육현장 사례를 통해 우리 교육의 방향성을 모색하는 자리이다.

학벌없는사회를 위한 광주시민모임과 광주중앙도서관은 공동으로 학벌없는사회를 열어가는 시민강좌 26번째 이야기로 김영희씨를 초청해 ‘삶의 행복지수 1위의 나라, 덴마크의 교육현장’를 주제 강연을 갖는다.

12월3일(화) 저녁7시 광주중앙도서관 3층 시청각실에서 열리는 이번 강좌는 <대한민국 엄마들이 꿈꾸는 덴마크식 교육법>이라는 저자의 솔직담백한 자리가 될 것이다.


김씨는 덴마크에 거주했고, 전)과천품앗이 운영위원장을 지낸 뒤 현재 곡성으로 귀촌하여 생활하고 있다.

김씨는 이번 강좌에서 “자연과 더불어 자신이 좋아하는 공부에 더 시간을 할애하고, 스스로의 시간을 충분히 가지며, 자신의 특기를 살리는 교육을 받는 덴마크 학생들.” 이야기를 풀어나갈 예정이다.

그렇다고 덴마크가 천국은 아니다. 경쟁보다는 협동을 선택한 그들이었기에, 공유하는 삶을 선택했기에, 삶도 교육도 한국과 차이가 있는 것이다. 차이와 다름을 객관적으로 인정할 때 변화가 시작되듯이, 지구 건너편에 살고 있는 ‘덴마크 사람들의 교육과 삶’을 사심 없이 바라봄으로써 우리의 인식의 지향점을 발견할 수 있을 것이다.

이번 강연회는 덴마크의 교육시설과 그 시설 안에서 어떤 교육을 학생들이 받고 있는지 자세한 설명과 생생한 사진을 통해 살펴보는 자리이다.


신청_ 누리망 접속 → http://goo.gl/Eils9b 

문의_ 전화 070.8234.1319 이메일 antihakbul@gmail.com

,

▶학벌없는사회를 열어가는 시민강좌 


 `대한민국 엄마들이 꿈꾸는 덴마크식 교육법’의 김영희 저자를 초청해 `삶의 행복지수 1위의 나라, 덴마크의 교육현장’을 주제로 시민강좌를 진행합니다.


 일시·장소 : 12월3일(화) 오후 7시 광주중앙도서관 3층 시청각실

 주관 : 학벌없는사회를 위한 광주시민모임, 광주중앙도서관

 강사소개 : 3년간 덴마크 거주, 전 과천품앗이 운영위원장, 현재 곡성에서 귀촌, `대한민국 엄마들이 꿈꾸는 덴마크식 교육법>’ 저자, 프레시안 `덴마크에 살아보니’ 30회 연재

 대상 : 누구나 참석 가능하며 참가비 없습니다. 선착순 60명.

 문의 : 070-8234-1319 이메일 antihakbul@gmail.com.


▶한국환경공단 호남권지역본부와 함께하는 책나눔 특별전


일시: 11월29일(일) 오전 10시30분~오후 7시. 

장소: 아름다운가게 용봉책방 매장내 


 한국환경공단 호남권지역본부 임직원분들의 기증해주신 도서 2100권을 판매합니다. 판매된 수익금은 우리지역 독거 노인, 조손가정 방문을 통한 나눔보따리 생활용품이 전달됩니다 

 설 연휴 일주일 전, 쌀과 생필품이 들어있는 나눔보따리를 만들어 자원봉사자들이 직접 독거 노인, 조손가정을 방문하여 전달하는 행사로, 2014년 제 11회를 맞는 아름다운 나눔보따리는 전국 5000가구를 방문할 예정입니다


문의 : 062-514-8975


▶광주사회적경제 미래구상전략회의


 사회적기업, 마을기업, 협동조합, 자활, 마을공동체활동가, 시민사회단체 등 300여 명이 모여 협동과 연대의 지역살림공동체 비전을 만듭니다.


 일시 : 12월2일(월) 오후 2시~8시.

 장소 : 김대중컨벤션센터(서구 치평동)

 문의 : 062-381-1134.

,

http://www.hani.co.kr/arti/society/area/611884.html


20일 음악인 박소영씨 ‘사람책’ 강연 학벌없는 사회를 위한 광주시민모임은 20일 저녁 7시 아름다운가게 헌책방 광주 용봉점에서 ‘싱어송라이터 박소영’이 등장하는 사람책 강연회를 펼친다. 박씨는 도시 대안학교의 음악교사로 활동하면서 가사를 쓰고 노래를 지어 사람들을 만나는 음악인이다. 첫 음반 <상실의 기록>을 준비중이다. 070-8234-1319.

,

http://www.kwangju.co.kr/read.php3?aid=1381417200508110074


무단배포 금지로 인해 링크만 올려놨어요. 접속해 글 확인해보세요.^^

,

http://www.nocutnews.co.kr/Show.asp?IDX=2657520


무단배포 금지로 인해 링크만 올려놨어요. 접속해 글 확인해보세요.^^

,

http://www.asiatoday.co.kr/news/view.asp?seq=885455


무단배포 금지로 인해 링크만 올려놨어요. 접속해 글 확인해보세요.^^

,

http://www.kwangju.co.kr/read.php3?aid=1382972400509448006


무단배포 금지로 인해 링크만 올려놨어요. 접속해 글 확인해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