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단체가 정보공개청구를 통해 확인한 결과, 광주광역시교육청의 축·근조기 관련 예산 집행액이 해마다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근조기 배송비는 2020315만 원, 2021364만 원, 2022634만 원에서 20231,470만 원, 20242,155만 원으로 폭증했다.

 

<광주광역시교육청 축·근조기 배송 현황(20.1.~25.2.)>

연도 배송업체명 배송금액 배송건수
2020 광주통합콜 3,155,900 263
2021 광주통합콜 3,643,200 290
2022 광주통합콜 6,340,400 347
2023 광주통합콜 14,707,500 789
2024 사랑마루협동조합 21,554,000 822
2025.1~2. 사랑마루협동조합 5,006,000 190

 

- 코로나19 확산으로 각종 행사(축기 사용)가 줄어든 점을 감안하더라도, 2022년 대비 2023년과 2024년의 배송비가 2배 이상 증가한 것은 납득하기 어렵다.

 

광주시교육청은 계획에도 없던 축기 5, 근조기 22개를 2023년 신규 구매했으며, 이에 따라 배송량이 증가하면서 비용도 급격히 상승한 것으로 보인다. 그런데 문제는 이러한 구매와 배송이 명확한 기준과 근거 없이 이루어졌다는 점이다.

 

 

 

<광주광역시교육청 축·근조기 구입 및 보유현황(‘20.1.~‘25.2.)>

연월 구매물품 단가 개수 총액()
2020.9. 근조기 260,000 1 260,000
2023.6. 축 기 260,000 5 1,300,000
2023.12. 근조기 310,000 22 6,820,000
합계 28 8,380,000

* 2025.2.기준 총28개 보유 (축기5/근조기23)

 

- 특히, ·근조기 구매비는 각 사업부서의 운영비를 전용해 지출하고, 배송비는 총무과의 운영비에서 지급하는 등 예산 집행이 체계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았다.

 

- 배송업체 변경 또한 의문이다. 2023년까지 기존 업체를 이용하다가 20241월부터 새로운 업체에 맡겼는데, 이로 인해 배송 단가가 상승했기 때문이다.

 

광주시교육청이 지역사회 행사와 조문 등의 목적으로 축·근조기를 활용하는 것은 필요하나, 명확한 기준과 근거 없이 예산을 집행하는 것은 행정 낭비로 비칠 수밖에 없다.

 

- 특히 축·근조기 사용의 공사(公私) 구분이 모호할 경우, 교육행정이 교육감의 사적 목적에 이용된다는 비판을 피하기 어렵다.

 

- 이에 우리 단체는 광주시교육청에 축·근조기 관련 예산 집행 기준을 마련하여 투명성을 제고하고, 공정한 업무 수행을 해나갈 것을 촉구하는 바이다.

 

2025. 3. 26.

 

학벌없는사회를 위한 시민모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