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BC http://www.ikbc.co.kr/article/view/kbc202309220026

 

KBC '가짜 체험학습 내고 입시 준비' 보도.."학원 특별 점검해야"

사립 중학교 입시를 위해 초등학생 수십 명이 허위 교외체험학습 신청서를 제출하고 학원에서 수업을 받고 있다는 KBC 보도와 관련해, 학원가에 대한

www.ikbc.co.kr

 

,

뉴스1 https://www.news1.kr/articles/5178982

 

"광주시교육청 감사관 채용 의혹 조속히 엄정 수사해야"

(광주=뉴스1) 서충섭 기자 | 광주 교육단체들이 광주시교육청 감사관 채용비리 의혹과 관련 경찰의 엄정 수사를 촉구했다.광주교사노동조합과 전교조 광주지부, 학벌없는사회를 위한 시민모임

www.news1.kr

 

,

KBC http://www.ikbc.co.kr/article/view/kbc202309200093

 

[단독]"마음만 먹으면 악용 가능"..'구멍' 뚫린 체험학습 제도

【 앵커멘트 】 30명이 넘는 초등학생들이 가짜 체험학습 신청서를 내고 학원에 가는 일, 어떻게 가능했던 걸까요? 취재를 해보니, 체험학습 관리 시

www.ikbc.co.kr

 

,

경향신문 https://www.khan.co.kr/local/local-general/article/202309141624001

 

,

뉴스1 https://www.news1.kr/articles/5169987

 

학벌없는사회 "감각 교육해야 할 유치원에 태블릿PC가 웬말"

(광주=뉴스1) 서충섭 기자 | 광주시교육청이 공립유치원에 미래형 놀이환경 조성을 위해 전자칠판과 태블릿PC 등 멀티미디어 전자기기를 보급하는 것을 두고 유치원 교육과정과의 연계성을 재검

www.news1.kr

 

,

뉴시스 https://newsis.com/view/?id=NISX20230912_0002446979&cID=10809&pID=10800 

 

,

광주드림 http://www.gjdream.com/news/articleView.html?idxno=633265 

 

광주시교육청 뒤늦은 ‘노란버스’ 수습 - 광주드림

13세 미만 어린이가 현장체험학습·수학여행시 전세버스는 안되고 노란색 어린이 버스를 이용해야 한다는 법제처의 해석이 학교 현장에 내지른 풍파가 경찰의 단속 유예 방침 발표이후에도 가

www.gjdream.com

 

,

노컷뉴스 https://www.nocutnews.co.kr/news/6009002

 

광주교육단체, 강제로 스마트기기 빌려 쓰라는 광주시교육청 감사 촉구

광주 교육단체가 광주시교육청이 추진 중인 중고등학교 스마트기기 보급사업과 관련해 광주시외회의 조사와 감독기관의 감사를 촉구했다. 학벌없는사회를 위한 시민모임(이하 '시민모임')은 8

www.nocutnews.co.kr

 

,

시사저널 http://www.sisajournal.com/news/articleView.html?idxno=271608 

 

사립대 총장 등 1년 업무추진비, 평균 1657만원…“공시 내역 확대해야” - 시사저널

사립대 총장과 이사장, 상임이사가 지난 1년간 지출한 업무추진비는 평균 1657만원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일부 대학에서 업무추진비 사용 내역을 불성실하게 공시하는 등 제도 개선이 필요하다

www.sisajournal.com

 

,

광주광역시교육청은 전임교육감 시기부터 교육감과 부교육감 국장, 과장급 이상 간부들이 매주 월요일 참석하는 확대간부회의’, ‘본청 전 직원이 매달 참석하는 월례회의를 영상으로 제작해 광주시민들에게 공개하며 열린 행정을 구현해왔다.

 

교육감 지시사항 등 광주교육의 민감한 부분도 전부 공개함으로써 직원들이 업무파악 능력을 높이는 것은 물론, 광주 교육가족과 교육관련 시민단체에게 교육 현안에 대해 함께 고민하고 해결할 수 있는 기회를 만들어왔던 것이다.

 

그런데 돌연 58일 확대간부회의를 끝으로 현재까지 영상을 미공개하고 있다. 교육청 업무 담당자는 다른 업무 증가로 인해 순차적으로 영상을 올리겠다는 해명만 반복하고 있을 뿐, 4개월 째 아무런 조치를 취하지 않고 있고 있는 실정이다.

 

확대간부회의를 통해 나온 이정선 교육감 발언 내용이 개인적인 소회나 아쉬운 감정도 가감 없이 표현된 점, 이에 따라 논란이 빚어지자 간부회의 영상을 미공개한 계기가 된 게 아니냐는 항간의 소문도 들려온다.

 

그 단체는 뭘 기준으로 0교시 내지는 조기등교, 강제야간자율학습을 하는지”, “언론사는 왜 특정단체들의 이야기만 보도하느냐. 균형 잡힌 언론보도를 해줬으면 좋겠다.” (58일 확대간부회의 중 이정선 교육감 발언내용)

 

한편 이정선 교육감은 선거기간은 물론 당선 직후부터 왕성한 SNS 활동으로 소통 행보를 이어왔다. 광주 교육계 소식, 국내 교육계 동향도 직접 전달하고 공론화하며 '소통하는 교육감'이라는 긍정적인 평가를 받아왔으나 현재는 중단상태이다.

 

물론 중요한 교육 정책을 결정해야 할 수장으로서, 교육감이 감정적인 것에 치우쳐 발언하는 등 부적절한 처사에 대해서는 주의를 가져야 함이 분명하다. 허나 그렇다고 각종 회의영상 공개의 거부감을 느껴할 정도인지는 의문이다.

 

이에 우리단체는 확대간부회의, 월례회의 공개를 통해 교육행정의 신뢰를 쌓고, 더 나아가 질적, 양적으로 광주시민들에게 교육정보를 공개하여 투명한 행정을 구현해나갈 것을 광주시교육청에 요구하는 바이다.

 

2023. 9. 25.

학벌없는사회를 위한 시민모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