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3차 회의록.hwp
0.01MB
제3차 살림회의 자료.hwp
0.03MB

,

 

[보도자료] 대학 도서관을 시민에게 개방하라!

https://antihakbul.jinbo.net/3495

 

[보도자료] 대학 도서관을 시민에게 개방하라!

- 광주지역 대학 도서관 지역주민 이용현황 정보공개청구결과 분석 - 학벌없는사회, 광주 17대 대학의 지역주민 이용 현황 관련 정보공개 청구 4개 대학은 지역주민 이용 불가, 9개 대학은 예치금 납부를 조건으로..

antihakbul.jinbo.net

 

,

○ 일시 : 2020. 3. 26. 19:00 사무실

 

○ 내용

활동 및 재정보고

2020년 사업 세부계획 보고 및 논의

굿즈 등 재정사업 세부계획 보고 및 논의

기타 활동 논의

,

- 유아·놀이 교육 중심의 교육 개혁 이루어져야.

 

광주광역시 관내 유치원에서 영어, 한글 등 언어 선행학습이 점검 증가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 학벌없는사회를 위한 시민모임이 최근 2년간(2018~2019학년도) 광주지역 공·사립 유치원의 방과 후 과정 특성화 활동 현황을 분석한 결과. 전체 특성화활동 강좌 중 영어, 한글, 논술 등 언어 강좌 비율이 201823.8%에서 201925.4%1.6% 증가하였고, 영어 강좌를 운영하는 유치원이 2018137곳에서 2019144곳으로 늘어나 전체 313곳의 절반 수준(46%)인 것으로 파악되었다.

 

- 201810월 교육부의 입장(보도자료 : 교육부, 유치원 방과후 놀이 중심 영어허용)이 계기가 된 것도 사실이지만, 공교육정상화촉진법에서 유치원의 영어 등 언어교육을 따로 규제하는 근거를 마련하지 않아 사각지대가 생기게 된 것이다.

 

- 참고로 공교육정상화촉진법이 제정되면서 초등학교 1·2학년의 영어교육 제한이 법제화되어 선행학습이 제한을 받았으나, 유치원 방과 후 과정의 영어교육에 대한 학부모의 수요가 많다는 점, ·초등 영어교육의 일관성을 유지할 필요가 있다는 점 등 이유를 들어 교육부가 모든 유·초등학교의 방과 후 과정에서 영어교육을 할 수 있도록 허용하였다.

 

2020년 광주유아교육운영계획에 따르면 유아·놀이중심 교육을 통한 행복한 교실 만들기를 역점과제로 두고 있다. 이에 따라 광주광역시교육청과 각 유치원들은 유아발달 단계에 맞는 교육을 위해 유아·놀이중심의 교육과정으로 개편하고, 방과 후 과정도 프로그램 위주의 운영에서 유아·놀이중심 활동으로 개선해야 한다.

 

- 하지만 지금 상황과 같이 교육행정과 어른들의 뒤틀린 욕망으로 유치원 방과 후 과정에 영어, 한글 등 언어교육을 도입하는 것은 유아·놀이중심 교육이 지향하는 가치를 거스르는 일이며, ‘원아가 행복한 교육을 향하는 길에 걸림돌이 될 수밖에 없다. 특히, 초등학교 입학 후 한글을 충분히 익힌 뒤 초등 3학년부터 영어교육을 받도록 설계된 국가 수준 교육과정의 의지와도 충돌하는 일이다.

 

- 이 같은 상황이 방치된다면 외국어 조기교육이 국··사립을 가리지 않고, 불문하고 영어 등 언어 선행학습이 도미노처럼 번질 것이며, 모국어로 단단하게 생각하고 상상해야 할 유아기의 정체성을 흔들기 쉽다. 또한, 유아기 학습량을 증가시키고, 휴식하고 놀 권리를 빼앗아 불행한 아이가 되도록 내몰기 쉬워질 것이다. 사교육비 증가 등의 폐해도 뒤따를 것이다.

 

 

정부는 영어교육을 입시경쟁으로부터 최대한 떼어놓는 방향으로 정책을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유아기의 영어, 한글 등 언어교육을 강화하는 게 아니라 해소하는 쪽으로 방향을 잡아야 한다. 이에 우리는 요구하는 바이다.

 

(정부) 유치원 교육 정상화를 위해 유치원(과 유아대상 학원)에서 영어 교육을 금지하는 공교육정상화법 개정안을 발의하라.

 

_ (광주시 교육청) 유아기의 언어 등 학습 위주 선행학습을 지양할 수 있는 대책을 마련하고, 유아 발달 단계에 맞게 놀이 중심의 교육개혁이 안착할 수 있도록 지도 감독을 강화하라.

 

이와 같은 정책을 마련하기 위해 물적·인적 자원을 적극적으로 지원하라.

 

2020. 3. 24. 학벌없는사회를 위한 시민모임

,

- 광주지역 사교육비 및 사교육 참여율 증가 추세 -

 

최근 교육부는 ‘2019년 초··고 사교육비 조사결과를 발표했다. 조사는 3,002개 학교의 약 80,000여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실시되었는데, 그 결과 2019년 사교육비 총액은 약21조원으로 2018195천억원 전년 대비 1.5조원 증가하였으며, 사교육 참여율은 74.8%로 전년 대비 1.9% 상승하였다.

 

지역별 통계에서 광주광역시는 학생 1인당 평균 사교육비가 (2017245천원) 2018262천원에서 2019276천원으로 5.3% 증가하였으며. 사교육 참여율은 (201768.7%) 201869.4%에서 201973.7%4.3% 상승하는 등 광주지역 내 사교육에 대한 의존도가 날로 높아지고 있다.

 

이 밖에 사교육에 대한 대안으로 제시되어왔던, (전국 평균) 방과 후 학교 참여율은 201557.2%, 201655.8%, 201754.6%, 201851.0%, 201948.4%로 지속적인 감소추세를 보였다. EBS 교재구입 비율 또한 201716.9%에서 201815.7% 201915.4%로 감소했다. 이는 전국적으로 고학벌 대학 진학을 위한 사교육 참여와 비용은 증가했으며, 공교육 차원에서 대안으로 제시된 정책들은 감소추세를 보이는 것을 의미한다.

 

사교육의 성과랍시고 학원 등에서 특정대학 합격을 알리는 홍보물은 결코 광주에 유익한 신호가 아니고, 오히려 많은 지역인재가 수도권으로 빠져나가고 있다는 위기의 표현이며, 고학벌 대학을 놓고 경쟁하는 사교육 문화는 결코 지역을 살리는 교육방식이 될 수 없다. 지역은 학원운영시간 단축, 교습비 적정선 유지 등을 통해 사교육을 억제하고, 과정중심 평가 전환, 학생부 기재 방법 개선 등 공교육 내실화 및 방과 후 교육활동 활성화가 될 수 있도록 더 많은 연구와 노력을 해야 한다.

 

또한, 정부는 학생부 종합전형의 공정성 강화와 교육 불평등 완화와는 정반대되는 정시확대 등 협소한 입시제도 개편에서 벗어나, 애초 공약이었던 국공립대 통합네트워크와 공영형 사립대(조선대 등) 정책의 실천계획을 내놓고 공론화에 나서야 하며, 학생, 교직원 등 교육당사자 및 시민들과 함께 학벌 철폐와 사교육 억제 등 교육개혁을 위한 정책을 실행해 나가야 할 것이다.

 

2020. 3. 22.

학벌없는사회를위한 시민모임

,

[보도자료] 기간제 교원에 대한 교권침해피해 특약 등 보험 가입 거부는 ‘차별’
https://antihakbul.jinbo.net/3484?category=669012

 

[보도자료] 기간제 교원에 대한 교권침해피해 특약 등 보험 가입 거부는 ‘차별’

- 정규직 교사와 동일 업무 담당, 교권침해는 매년 늘어… - o 학벌없는사회를 위한 시민모임과 전국교직원노동조합 광주지부는 ‘기간제 교원이라는 이유만으로 보험 가입을 제한하는 더케이손해보험(..

antihakbul.jinbo.net

 

,

한겨레
http://www.hani.co.kr/arti/area/honam/933266.html#csidx4f2f8ec0e139f9db2e2c221c5ba822a 

,

https://stib.ee/IV12

'각종 매체 > 웹소식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0년 네번째 소식지  (0) 2020.05.12
2020년 세번째 소식지  (0) 2020.04.01
2020년 첫번째 소식지  (0) 2020.02.18
2019년 두번째 소식지  (0) 2019.07.09
2019년 1번째 소식  (0) 2019.05.16
,

- 광주지역 대학 도서관 지역주민 이용현황 정보공개청구결과 분석 -

 

학벌없는사회, 광주 17대 대학의 지역주민 이용 현황 관련 정보공개 청구

4개 대학은 지역주민 이용 불가, 9개 대학은 예치금 납부를 조건으로 이용

외부인 이용자의 도서 미반납 사례는 없거나 매우 미미한 수준

 

학벌없는사회를 위한 시민모임은 정보공개청구를 통해 광주지역 17개 대학 도서관의 지역주민 이용현황을 파악했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이용 가능 : 4개 대학 (광주과기원, 조선대, 조선간호대, 폴리텍대)

조건부 이용가능 (예치금 납부시) : 9개 대학 (광주대, 송원대, 전남대, 호남대, 호신대, 광주교대, 광주보건대, 광주여대, 동강대)

이용 불가 : 4개 대학 (서영대, 조선이공대, 남부대, 기독 간호대)

 

예치금 납부를 조건으로 이용증을 발급하는 경우 호남대가 6만원으로 가장 높았고 호남대, 광주보건대, 광주여대가 3만원으로 가장 낮았다. 예치금 조건도 대학마다 달랐는데, 독특하게도 동강대의 경우는 도서대출시 도서금액만큼 예치금을 받고 도서 반납시 반환하는 방식을 택하고 있었다. 일정한 기간이 지나면 예치금을 돌려주지 않고 학교 재산으로 귀속시키는 경우도 있다. (송원대, 호신대)

 

<전남대학교 도서대출 및 미반납 현황 >

 

2016

2017

2018

2019

학생

2/112,808

26/95,944

40/85,202

838/112,310

교직원

0/6,074

12/5,516

0/5,404

3,746/33,543

지역주민

26/34,860

15/32,287

15/26,398

35/22,308

2019년 한 해 동안 주민에게 이용증을 가장 많이 발급한 곳은 조선대였다. (2501) 학벌없는사회를 위한 시민모임은 대학 도서관을 시민들에게 개방하라고 조선대에 지속적으로 요구해 온 바 있는데, 대학 도서관의 공공성을 자각하고, 대학이 시민사회의 요구를 수용한 모범사례로 평가된다. 대출건수가 가장 많은 곳은 전남대(22,308) 였는데, 2016~2019 도서대출 및 미반납 현황을 살펴보면 지역주민의 미반납 비율은 교직원, 학생에 비해 오히려 낮았다. 다른 대학의 경우에도 917건의 대출 중 140건이 미반납 된 호남대를 제외하면 미반납 비율은 대부분 없거나 미미한 수준이었다.

 

광주지역의 공립도서관들의 경우 도서관 이용증과 시스템을 하나로 통합하여 운영하고 있다. 정보는 공개되고 통합될수록 더 큰 힘을 발휘한다는 점을 고려한다면 대학 도서관 또한 통합 시스템을 갖추고 이용 문턱을 낮추어야 할 것이다. 특히 대부분의 대학이 국가장학금과 각종 국고보조금에 기대고 있는 현실과 고등교육의 공공성을 강화해가는 교육개혁의 흐름을 고려할 때, 대학의 정보는 시민들에게 더욱 개방되어야 한다.

 

학벌없는사회를 위한 시민모임은 지역주민에게 도서관을 개방하지 않는 대학과 갖가지 이용 제한을 두고 있는 대학을 대상으로 시민개방의 문턱을 낮출 것을 요구하는 민원서를 제출했으며, 진리의 상아탑이라 불리는 대학이 도서관 등의 지식, 정보 자산을 지역 공동체와 적극적으로 공유할 수 있도록 꾸준히 지켜보고 점검할 계획이다.

 

 

 

2020319

학벌없는사회를 위한 시민모임

 

 

2019년 광주지역 대학도서관 지역주민 이용 현황

 

예치금 잔고/예치금

이용증 발급자

미반납건수/대출건수

광주과학기술원

예치금 없음

115

0/262

광주대학교

정보비공개/50,000

정보비공개

정보비공개

서영대학교

이용 불가

이용 불가

이용 불가

송원대학교

11/1 이후로 귀속/50,000

24

0/503

전남대학교

251,880,000/50,000

548

35/22,308

조선대학교

예치금 없음

2501

통계없음/10,137

조선간호대학교

예치금 없음

3

0/80

조선이공대학교

이용불가

이용불가

이용불가

호남대학교

2,370,000/60,000

358

140/917

호신대학교

1년 후 기부금으로 소멸

/30,000

27

2/308

광주교육대학교

연말 반환/50,000

162

0/268

광주보건대학교

300,000/30,000

7

0/48

광주여자대학교

0/30,000

0

0

남부대학교

이용 불가

이용 불가

이용 불가

동강대학교

도서 반납 시

예치금(도서 가격) 반환

주민등록증

0/589

폴리텍

예치금 없음

0

0

기독간호대

이용 불가

이용 불가

이용 불가

 

 

 

 

,

광주광역시교육청이 2020. 1. 1.자로 적용한 계약제 교원 운영 지침에 따르면, ‘학원 강사 등 학생에게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직업은 겸직이 불가하다.’는 내용으로 영리업무 및 겸직행위에 대한 사항을 대폭 강화하였다. 그동안 사교육 간접광고 등 문제가 되어 왔던 광주예술고등학교 전문실기강사의 학원강사 겸직이 2020학년도부터 사실상 불가능해진 것이다.

 

이 지침이 개정됨에 따라 광주시교육청은 지난 2019. 12. 10. 단위학교 전공실기강사 임용심의위원회를 개최하였고, 해당 학교의 2020학년도 전공 실기강사 임용에 관한 규정에 학원장 및 학원 강사의 채용을 금지하는 조항을 포함하는 등 관련 지침 준수를 통한 학생지도의 공정성 확보를 위해 노력하였으며, 이에 대해 우리단체는 환영입장을 밝힌 바 있다.

 

학교도 초반에는 적극적으로 계약제 교원 운영 지침을 준수하였다. 2020학년도 광주예술고의 전문실기강사 채용 공고에 따르면 학원장 및 학원 소속 강사는 지원할 수 없다.’는 내용의 자격조건을 명시하였으며, 120명 채용 예정자 중 119명이 학원강사가 아닌 자가 채용 확정되는 등 학교가 사교육의 근접을 막고 진로와 진학의 균형 잡힌 교육지원을 해줄 것으로 기대하였다.

 

하지만, 그것도 잠시 광주예술고는 특정분야 전문실기강사 채용이 7차례 공고되는 등 유능한 강사를 영입하려는 욕심을 버리지 못하였고, 1(디자인 분야)의 채용 건에 있어 학원강사를 채용할 수 있도록 광주시교육청에 요청하였으며, 교육청은 2020. 3. 10.자로 학교 측의 요청을 승인해주었다. 광주시교육청이 세운 계약제 교원 운영 지침에 대한 원칙을 스스로 깨트려버린 것이다.

 

특수목적고인 광주예술고의 특성상, ‘유능한 강사가 학생들의 실기를 효율적으로 관리하여 소위 명문대학 진학 합격률을 높일 수밖에 없는 현실’, ‘개인의 한 가지 특기를 바탕으로 한 실력 향상이 학업성취의 중요한 요소로 인정되고 있는 현실은 부정하기 힘들다. 하지만, 이는 공교육 정상화 및 주입식 경쟁교육 반대를 외쳐온 광주시교육청의 방침에 어긋나는 측면이 있다.

 

이처럼 광주나 전남 등 일부 교육청들은 계약제 교원 지침을 명백히 위반하였음에도 지도감독을 하지 않고, ‘방과후학교 및 특성화교육 강사와 달리 유능한 강사를 수급하는데 어려움이 있다.’며 학교 측 입장을 대변하고 있다. 이는 광주시교육청이 공교육 정상화보다 대학입시에 대한 성과를 우선시하는 것으로, 결국 예술분야의 교육과정은 상급학교 진학을 전제로 운영될 수밖에 없다.

 

곧 학교가 개학하므로 인해 학생들의 수업권이 침해되지 않기 위해서라도 하루 속히 전문실기강사 채용이 이루어져야 한다는 점은 교육청, 학교, 시민단체가 같은 입장일 것이다.

 

하지만 다른 분야 전문실기지도강사 채용의 형평성 문제가 발생함에도, 관련 지침을 위반하면서까지 특정분야의 학원강사 등 꼼수 채용을 한 부분에 대해서는 광주예술고와 광주시교육청은 행정상 책임을 물어야 할 것이며, 앞으로도 계속 논란이 될 수밖에 없는 특수목적고 유지 여부에 대해서도 심각히 진단해보아야 할 것이다.

 

2020. 3. 17. 학벌없는사회를 위한 시민모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