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광역시교육청은 반복적으로 발생하는 재난 상황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고, 교내 구호물품을 상시 비축하여 학생의 안전을 확보하고 인명 피해를 최소화하고자 재난대비용품 및 보관함 보급 사업을 올해부터 새롭게 추진하고 있다.

 

- 해당 사업은 광주 관내 30개교(··고교, 특수학교)를 대상으로 하며, 9천만 원의 예산이 투입되었다. 그러나 사업 추진 과정에서 특정 업체로 계약이 집중되는 등 편중 현상이 나타나 공정성 논란이 제기되고 있다.

 

우리단체가 정보공개청구를 통해 받은 학교별 재난대비용품 사업 관련 정산서, 영수증 등 증빙자료를 분석한 결과, 다수의 학교가 광주 북구 소재 A업체로부터 재난대비용품을 구입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구분 집행 완료 집행 예정
업체명 A B C D E
학교 수 21 1 1 1 1 5

2025년 광주시교육청 재난대비용품 보급 사업 집행 현황 (기준일 : 2025. 6. 16)

 

- 교육청이 각 학교에 300만 원씩의 예산을 교부하여 학교가 직접 집행하도록 했음에도 불구하고, 특정 업체에 계약이 몰리고 있는 상황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광주시교육청은 사업 정산 시 업체명을 보고받지 않고 있다.

 

- 한편, A업체의 대표는 광주시교육청이 출연한 공익법인 광주희망사다리교육재단의 이사로 선임되어 활동 중이며, 재난대비용품 외에도 심폐소생 자동제세동기 등 학교 납품 사업에 관여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학교 물품 보급 사업이 과거에도 불공정하게 집행된 사례가 있었던 만큼, 광주시교육청은 관련 의혹을 해소하고 교육 예산의 투명성을 확보하기 위해 재난대비용품 보급 사업에 대한 철저한 감사를 즉각 실시해야 할 것이다.

 

- 만약 광주시교육청이 이러한 문제를 외면하고 개선의 기회를 놓는다면, 우리 단체는 감사원 공익감사청구 등 가능한 모든 수단을 강구하여 교육재정이 공정하고 투명하게 집행될 수 있도록 끝까지 대응해 나갈 것이다.

 

2025. 6. 17.

 

학벌없는사회를 위한 시민모임

,

2025년 제5차 살림회의록.hwp
0.02MB
2025년 제5차 살림회의 자료.hwp
0.02MB

,

광주광역시의회 교육문화위원회는 2025610, 홍기월 의원이 대표 발의한 광주광역시교육청 학교 내 CCTV 설치·운영 조례안을 통과시켜, 오는 616일 본회의 통과를 앞두고 있다. 이에 따라 광주시교육청은 올해 약 63억 원의 예산을 들여 CCTV 설치와 통합관제 시스템을 구축할 예정이다.

 

연도 2025 2026 2027 2028 2029
세출 6,387,849 6,547,581 6,895,004 7,125,084 7,268,928

광주광역시교육청 학교 내 CCTV 설치·운영 조례 관련 비용추계 결과 (단위 : 천원)

 

- 이에 우리 단체는 해당 조례안이 학생과 교직원의 사생활과 인권을 침해할 우려가 크다는 점에서 깊은 유감을 표한다.

 

CCTV 설치·운영 조례안은 학교폭력 등 범죄 예방을 명분으로 하고 있으나, CCTV를 통한 감시 강화는 학교폭력의 근본적인 해결책이 될 수 없다. 오히려 학생과 교직원을 잠재적 범죄자로 간주하게 하여 교육활동 등 학교생활 전반을 위축시킬 가능성이 크다.

 

- 더욱이 학교 내 CCTV 운영의 실질적 예방 효과에 대한 충분한 검토 없이 감시를 일상화하는 조치는 교육현장에 심각한 부작용을 초래할 수 있다.

 

안 그래도 학교 내에서 사건·사고가 발생할 때마다 대증요법으로 CCTV 설치 확대가 거론되고 있는 상황이다. 최근에는 국민의힘 소속 국회의원 11명이 교실 등 교육활동 공간까지 CCTV 설치 권한을 강화하는 내용의 학교안전법 개정안을 발의하기도 했다.

 

- 이러한 가운데 지역 시의원들마저 관련 조례안을 발의한 것은 사실상 CCTV 입법 경쟁으로 비칠 수 있어 우려가 크다.

 

학교폭력은 경쟁 중심의 교육환경, 사회적 불평등, 가정폭력 등 복합적인 원인에서 비롯된다. 이러한 구조적인 문제를 해결하지 않은 채 학교 내 감시만 강화하는 방식으로는 근본적인 해결이 불가능하다.

 

- 학교폭력의 진정한 해법은 학생과 교직원의 인권을 존중하고, 신뢰를 기반으로 한 건강한 사회·가정·교육환경을 조성하는 데 있다. 이에 우리 단체는 광주시의회가 CCTV 설치·운영 조례안을 폐기하고, 입법 활동 시 공청회나 토론회를 통해 교육 주체들과 충분한 논의를 선행해 나갈 것을 촉구하는 바이다.

 

2025. 6. 15.

 

학벌없는사회를 위한 시민모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