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 명칭에서 ‘일제시대에 생겨난 시험’이 아닐까 의심하는 이들도 있는데, 그렇게 나이가 많진 않단다. 한날 한실에 같은 문제로 치르는 시험이란 뜻의 일제고사가 처음 생겨난 것은 1960년대로 추정되며(태생 확인 불가), 70년대에 그 맹위를 떨쳤는데, 그래봤자 당시에는 시군 단위였다.(아마도 컴퓨터가 없어 전국 집계를 내기가 어려웠기 때문일 게다.) 초등 3학년까지 전국 단위로 일제고사를 본 것은 21세기 들어서도 8년이나 지나서다. 2007년까지는 전국에서 3~5%의 표집 학생을 뽑아 시험을 보고 자료를 분석했기 때문에 일제고사라 부르지 않았다. (고등학교에서 실시하는 모의고사나 수능시험은 일제고사와 유사한 형태지만, 초중학교에서는 전국 단위 시험이 없었다.) 2008년부터 전국의 초중고 전체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면서 ‘일제고사’라는 옛 명칭이 명실상 부한 의미를 갖게 되었다. 부활하신 일제고사를 일컫는 정식 명칭은 ‘국가수준 기초학력진단평가’ 또는 ‘국가수준 학업성취도평가’이다.

 이 시험의 주관자인 안병만 교과부 장관은 “학력이 부진한 학생은 보충지도를 실시하고 우수학생에게는 성취동기를 부여해 학교 교육을 내실화하기 위한 것”이라고 말하지만 그 말을 곧이 듣는 사람은 별로 없다. 이전에는 개별 학생에게만 통보하던 시험 성적이 2008년 제정된 학교정보공개법에 의해 2010년부터는 전국의 학교가 일제고사 성적을 3단계로 공개하게 되어 있다. 보통학력 이상, 기초학력, 기초학력 미달… 그 결과에 따라 대학 서열화에 버금가는 초중고 학교서열화가 진행될 전망이다. 따라서 중고등학교에서는 보충수업 강제, 야간 ‘강제’학습이 일제고사 뒤를 이어 부활하고, 초등에서도 시험을 앞두고서 수업 시간에 예상문제를 푸는 상태가 벌어질 전망이다. 교사나 교장 또한 승진을 위한 평가점수에 목매단 처지이니, 눈에 보이는 성적 놔두고 눈에 뵈지도 않는 교육의 본질을 찾진 않을 게다. 일제고사 앞에 엎드려 모두 고사를 지낼 판이다.

‘저희를 승진(승급)시켜 주소서.’ 아, 고사는 현금이 있어야 약발이 있다. 사교육시장이 호황을 누릴게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