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 공기업 5곳 분석 결과
이달부터 의무시행 불구
신상정보 지원서에 요구
광주시 산하 공기업인 김대중컨벤션센터가 '블라인드 채용' 의무를 지키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학벌없는 사회를 위한 광주시민모임'에 따르면 광주시 산하 5곳의 공기업 채용 정보를 조사ㆍ분석한 결과다.
분석 조사 대상은 김대중컨벤션센터를 비롯해 광주도시공사, 광주도시철도공사, 광주환경공단, 광산구시설관리공단 8월 중 채용 공고 내용이다.
분석 결과 김대중컨벤션센터는 8월 이후 진행한 5건의 채용공고 중 단 1건도 블라인드 채용을 준수하지 않았다.
김대중컨벤션센터는 직무능력과 연관이 없는 채용 응시자의 신상정보(출신학교명, 학교소재지, 퇴직사유, 학점, 사진 등)를 입사지원서에 작성하도록 요구했다.
정부의 블라인드 채용 의무 방침을 지키지 않은 것이다.
행안부는 지난 7월 지방공기업의 블라인드 채용을 추진하기 위해 가이드라인을 발표 했고, 8월부터 블라인드 채용을 의무적으로 시행하도록 했다.
지방 출연ㆍ출자기관은 9월부터 블라인드 채용이 의무화된다.
블라인드 채용의 핵심은 학력, 출신학교ㆍ지역, 신체조건, 가족관계, 사진 등 불필요한 신상정보를 서류전형이나 면접과정에서 적거나 묻는 것을 금지하는 것이다.
앞으로 고용현장에서는 각종 차별과 인권침해가 줄어들고, 교육현장에서는 불필요한 입시경쟁과 스펙 쌓기가 다소 해소될 것이라는 기대감을 준 블라인드 채용이다.
같은 기간 광주환경공단은 '국가하천 계절업무 일용직 근로자 채용공고'를 내면서 이력서 양식을 블라인드 채용 가이드라인에 맞게 공고했다.
나머지 지방공기업인 광주도시철도공사와 광주도시공사, 광산구시설관리공단은 8월 중 채용 일정이 없었다.
학벌없는 사회를 위한 광주시민모임은 "지방공기업에서 각종 차별과 인권침해 요소를 입사지원서에 기재하게 하는 것은 특정 요소에 의해 차별하거나, 특정 출신자를 우대 또는 배제, 더 나아가 사회적 편견으로 이어진다"며 "개인의 능력에 따른 인재채용을 저해하고, 채용 응시자들의 심리적 박탈감과 열등감을 초래하는 등 여러 가지 문제점이 있다"고 지적했다.
학벌없는 사회를 위한 광주시민모임은 지방공기업에 차별 없는 채용이 추진될 수 있도록, 광주광역시청에 상시적인 관리ㆍ감독 및 경영평가 지표 반영 등을 촉구했다. 또 올해 9월부터 블라인드 채용이 시행되는 광주시 관내 17개 출연ㆍ출자기관에 대해서도 블라인드 채용 도입 여부 실태조사를 진행할 예정이다.
김대중컨벤션센터는 "블라인드채용 관련 행안부 지침에 대상이 정확히 명시되어 있지 않아 공공기관들의 잦은 질의와 민원 발생하고 있다"며 "이와 관련 8월22일자로 보완지침이 접수돼 관련 규정을 개정 중에 있다"고 해명했다.
홍성장 기자 sjhong@jnilbo.com
전남일보 http://www.jnilbo.com/read.php3?aid=1504018800531070002
'각종 매체 > 언론보도' 카테고리의 다른 글
김대중센터 블라인드 채용 ‘0’… 권고 무시 논란 (0) | 2017.08.31 |
---|---|
김대중컨벤션센터 블라인드 채용 외면 (0) | 2017.08.31 |
김대중센터 ‘블라인드 채용’ 외면 8월이후 채용공고 신상정보 요구 (0) | 2017.08.31 |
"김대중컨벤션센터 정부지침 '블라인드' 채용 불이행" (0) | 2017.08.31 |
2014~2017년 광주광역시교육청의 국외연수 현황 분석 (0) | 2017.08.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