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문화재단 등 일부 기관이 블라인드 채용 규정을 지키지 않은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학벌없는 사회를 위한 광주시민모임이 지난달부터 최근까지 광주의 출자·출연기관 채용정보를 조사한 결과, 광주문화재단은 직무능력과 연관이 없는 학력사항을, 광주복지재단과 광주영어방송, 광주테크노파크는 출신학교 소재지 등을 작성하도록 한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광주시는 행자부의 지방공기업 블라인드 채용 가이드라인 발표에 따라 지난 7월 출자·출연기관을 대상으로 교육을 하고, 9월부터 의무적으로 시행하도록 하고 있습니다.


광주KBC

,


광주시 산하 일부 출자·출연기관이 정부가 권고한 블라인드 채용 가이드라인을 외면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학벌없는 사회를 위한 광주시민모임은 지난달 1일부터 최근까지 광주시 출연·출자기관 채용정보를 조사한 결과 광주문화재단 등 4곳이 블라인드 채용 규정을 준수하지 않았다고 밝혔습니다.


문화재단은 응시자의 학력사항 기재를 요구했으며 광주복지재단과 광주영어방송, 광주테크노파크는 출신학교 소재지를 작성하도록 했습니다.


광주KBS

,

광주 지역 상당수 사학법인들이 학교 운영비를 충당하는 수익용 기본재산이 법정 기준치를 밑도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학벌없는 사회를 위한 광주시민모임은 광주 지역 사립학교 법인 29곳 중 17곳의 수익용 기본재산 확보율이 법정 기준치의 58.9%에 그친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습니다. 시민모임은 또 사학 법인 대부분이 토지를 과다하게 보유하면서 수익률이 평균 1.1%에 그쳐 학교경비 충당이 미흡하다며 광주시교육청에 대책 마련을 촉구했습니다.

광주KBC


,

플러스코리아타임즈 http://www.pluskorea.net/sub_read.html?uid=100140

,

전남인터넷신문 http://jnnews.co.kr/news/view.php?idx=210595

,

소수 인력 불구 지원관-주무관 나란히 공석

지원관 잦은 교체, 비상임 조사권한 등 도마


 【광주=뉴시스】송창헌 기자 = 시민인권 보장과 공공행정기관 내 인권침해와 차별 시정을 위해 2013년부터 운영 중인 광주시 인권옴부즈맨실이 인력운용 등의 측면에서 부실운영 논란을 낳고 있다.


 학벌없는 사회를 위한 광주시민모임과 참교육학부모회 광주지부, 광주장애우권익문제연구소 등 11개 단체로 구성된 광주인권회의는 21일 보도자료를 내고, "인권의 마지막 보루인 광주시 옴부즈맨실의 인력 축소 경향을 우려하지 않을 수 없다"고 밝혔다.


 시 인권옴부즈맨실은 상임 옴부즈맨 1명과 비상임 6명, 5급 지원관 1명, 6급 주무관 1명, 조사관 1명 등으로 운영되고 있으나, 이 중 인권평화협력관실 소속 지원관과 주무관이 나란히 공석이다. 지원관은 장기연수로 두달째 자리를 비우고 있고, 주무관은 육아휴직으로 결원 상태다.


 지원관의 잦은 교체도 문제다. 2013년 1월 이후 4년 반 만에 6명이나 바뀌었다. 올 들어서만 3번이나 교체됐다. 근무 기간은 1년6개월이 가장 길고 올해는 석달에 한번씩 바뀌면서 '3개월짜리 사무관'으로 전락했다. 주무관도 1년 반을 넘긴 경우가 없다.


 비상임 옴부즈맨은 조사권한이 없어 직접 사건조사를 할 수도 없다. 매월 옴부즈맨 회의를 개최하고 있지만 사건보고서가 마련되지 못해 사건 종결을 하지 못하는 경우가 부지기수라고 인권회의 측은 주장했다.


 광주시와 시 소속 행정기관, 출자출연기관, 공기업, 민간위탁기관, 보조금 지원 복지시설 등이 죄다 조사 대상이지만 인력난으로 독립성 보장은 물론 충분하고 실질적인 조사행위에도 어려움이 많을 수 밖에 없다고 인권회의 측은 우려했다.


 옴부즈맨 조사를 통해 인용된 사건이 2013년 1건, 2014년 2건, 2015년 4건, 2016년 6건으로 해마다 증가해오다 올해 단 한 건도 없는 점과 진행중인 사건이 9건이나 되는 점도 같은 맥락으로 풀이했다.


 인권회의 관계자는 "인권옴부즈맨실의 소수인력마저 축소하는 것은 인권침해나 차별행위를 호소하는 시민들을 무시하는 차사이자 독립성을 훼손하는 행위"라며 "조사인력 증원과 비상임 옴부즈맨의 조사권한 부여 등이 시급하다"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시 관계자는 "5·18 진상 규명과 암매장·행방불명자 문제, 특별법 처리 등에 우선순위가 주어지면서 상대적으로 옴부즈맨실 인력 확충에 어려움이 뒤따르고 있는 건 사실"이라며 "인력 보강과 권한 강화를 위한 필요한 조치를 강구하겠다"고 밝혔다.


 goodchang@newsis.com


뉴시스 http://www.newsis.com/view/?id=NISX20170921_0000101794&cID=10809&pID=10800

,

광주 지역 시민단체들이 광주시에서 운영 중인 인권옴부즈맨이 부실하게 운영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광주 인권회의 소속 시민단체들은 21일 성명을 내고 광주시 인권옴부즈맨 인력이 줄고 인사이동이 잦는 등 여러 문제를 드러내고 있다고 비판했다.


이들은 "조사인력 부족은 인권 옴부즈맨실의 부실한 운영으로 이어질 수 있다"며 "인권침해나 차별행위와 관련된 자체적인 개선과제를 발굴하지 못하는 원인이 되고 있다"고 주장했다. 


또한 "비상임 옴부즈맨들의 경우 조사권한이 없다는 이유로 사건 조사를 하지 못하고 있다"며 "매월 인권옴부즈맨 회의를 개최하고 있지만 사건 보고서가 마련되지 않아 사건 종결을 못하는 경우가 많다"고 덧붙였다.


광주 인권회의 관계자는 "많은 기대 속에 출범한 광주시 인권옴부즈맨이 기대에 미치지 못하는 성과를 내고 있다"며 "인권옴부즈맨실의 인력을 축소하는 것은 광주 시민을 무시하는 처사"라고 말했다.  


한편 광주 인권회의에는 학벌 없는 사회를 위한 광주시민모임, 광주 인권지기 활짝, 광주 NCC 인권위원회, 참교육을 위한 전국학부모회 광주지부, 실로암 사람들, 광주장애우권익문제연구소, 광주 장애인 부모연대, 복지공감+, 광주여성의 전화, 광주여성민우회, 광주비정규직센터 등이 참여하고 있다.


노컷뉴스 http://www.nocutnews.co.kr/news/4851045#csidxe053f35e4f4ad768fd4d5dabc1444d7 

,

광주인권회의 보도자료 내

'형식적 조직 개념으로 격하'


광주시에서 발생한 인권침해나 차별 행위를 시정하는 역할의 ‘인권옴부즈맨’ 인력이 축소 된데다 잦은 교체로 인해 부실운영 논란을 빚고 있다. 


학벌없는 사회를 위한 광주시민모임과 참교육학부모회 광주지부, 광주장애우권익문제연구소 등 11개 단체로 구성된 광주인권회의는 21일 보도자료를 내 “광주시민들의 기대 속에 도입된 광주광역시 인권옴부즈맨의 자리를 형식적 조직 개념으로 격하시키고 있다”고 우려했다. 


인권회의에 따르면, 시 인권옴부즈맨실은 상임 옴부즈맨 1명과 비상임 6명, 5급 지원관 1명, 6급 주무관 1명, 조사관 1명 등으로 운영되고 있으나, 이 중 인권평화협력관실 소속 지원관과 주무관이 나란히 공석이다. 


실제 2명의 인권옴부즈맨이 자리를 자키고 있는 것. 


지원관의 잦은 교체도 문제로 지목된다. 올 들어서만 3번이나 교체됐다. 근무 기간은 3개월 단위로 교체가 이뤄졌다. 


비상임 옴부즈맨 6명은 조사권한이 없어 직접 사건조사를 할 수도 없다. 


그 결과, 옴부즈맨 조사를 통해 인용된 사건이 2013년 1건, 2014년 2건, 2015년 4건, 2016년 6건으로 해마다 증가해오다 올해 단 한 건도 없는 상황. 


인권회의는 “인권옴부즈맨실의 소수인력마저 축소하는 것은 인권침해나 차별행위를 호소하는 시민들을 무시하는 차사이자 독립성을 훼손하는 행위”라며 “조사인력 증원과 비상임 옴부즈맨의 조사권한 부여 등이 시급하다”고 주장했다.


김우리 기자 uri@gjdream.com


광주드림 http://www.gjdream.com/v2/news/view.html?uid=482631

,

신문고뉴스 http://www.shinmoongo.net/sub_read.html?uid=107634

,

광주지역 시민단체들은 광주시에서 운영 중인 인권옴부즈맨이 인력운용 등의 측면에서 부실하게 운영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학벌없는 사회를 위한 광주시민모임과 참교육을 위한 전국학부모회 광주지부, 광주장애우권익문제연구소, 광주NCC인권위원회 등 11개로 구성된 광주인권회의는 21일 보도자료를 내고 “인권옴부즈맨의 자리를 형식적 조직 개념으로 ‘시 인권평화협력관의 일개 팀에 격하시키는 것’은 ‘인권의 마지막 보루를 버리는 것’이라고 비판했다.


인권회의가, 광주시로부터 받은 자료에 따르면, 인권옴부즈맨실은 2013년 도입 당시 4명(상임옴부즈맨1명, 인권옴부즈맨지원담당 1명, 주무관 1명, 조사관 1명)의 인력으로 운영되었으나, 2017년부터 주무관 티오를 줄여 3명으로 운영 중이다. 


그런데 더 큰 문제는 2017년부터 인권옴부즈맨지원담당 공무원(사무관 급) 2명이 3개월 단위로 근무하다 다른 부서로 이동했고, 현재 인권옴부즈맨지원담당 공무원은 장기연수로 인해 자리를 비운 상태. 실제 2명(상임옴부즈맨, 조사관)이 인권옴부즈맨실을 지키고 있다.


부족한 조사인력에 따른 인권옴부즈맨실 운영은 부실한 조사나 사건처리 지연 등으로 이어질 우려가 있고, 상임옴부즈맨(1명)은 진정‧상담사건의 책임 있는 조사와 인권침해나 차별행위 관련 자체적인 개선과제도 발굴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비상임옴부즈맨(6명)도 조사권한이 없다는 이유로 사건조사를 할 수도 없다. 매월 인권옴부즈맨 회의를 개최하고 있으나 사건보고서가 마련되지 못해, 사건종결을 하지 못하는 경우가 부지기수라고 인권회의는 주장했다. 


광주시와 시 소속행정기관, 자치구, 시가 출자 또는 출연해 설립한 공기업 및 출연기관, 시의 민간위탁 기관, 시의 보조금 지원을 받는 복지시설 등이 조사대상이지만, 인력난으로 독립성 보장은 물론, 충분하고 실질적인 조사인력에도 어려움이 많을 수밖에 없다고 인권회의는 우려했다.


옴부즈맨 상담‧접수‧사건처리를 통해 인용된 사건이 2013년 1건, 2014년 2건, 2015년 4건, 2016년 6건으로 해마다 증가해오다 올해 단 한 건도 없고 사건처리가 9건이 지연되고 있다.


인권회의 관계자는 “인권옴부즈맨실의 소수인력마저 축소하는 것은 인권침해나 차별행위를 호소하는 광주시민을 무시하는 처사이며, 독립성을 훼손하는 행위”라면서 “조사인력 증원과 인권옴부즈맨이 그 위상에 따른 역할을 충실히 실행할 수 있도록 상임옴부즈맨의 역할 강화와 비상임옴부즈맨의 조사권한 부여를 요구한다”고 주장했다. 


KNS뉴스통신 http://www.kns.tv/news/articleView.html?idxno=35674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