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연합뉴스) 손상원 기자 = 광주시교육청이 추진하는 진로진학 교사 국외 연수를 놓고 적절성 논란이 일고 있다.

19일 광주시교육청에 따르면 시교육청은 최근 '진로진학 유공 교원 국외 연수'를 추진, 대상 교사 18명을 선발했다.

2011년 교육부 감사에서 공무 국외여행과 관련해 지적을 받은 뒤 한동안 맥이 끊겼던 진로진학 교사의 국외 연수가 부활한 것이다.

아직 일정은 확정되지 않았지만, 교사들은 방학 기간 6박 8일간 동유럽 등을 다녀올 것으로 보인다.

 

참가자격은 교육경력 5년 이상, 최근 3년 이상 진로진학 교육에 공이 있는 고교 교사다.

교사들은 1인당 비용의 75%를 200만원 한도에서 지원받는다.

그러나 실적 위주의 대가성 국외 연수라는 지적이 나왔다.

교육 시민단체인 학벌 없는 사회를 위한 시민모임은 이날 보도자료를 내고 "참가자 대다수(16명)가 일반계고 진학·진로 업무 교사"라며 "교원의 발전 가능성을 배제하고 공적 분야 활동과 기여도 등 오로지 실적만으로 연수 참가자를 선정했다"고 비판했다.

시민모임은 "경북 예천군 의회의 외유성 연수가 호된 질책을 받은 지 얼마 되지 않은 상황에서 수천만원 혈세가 들어가는 연수가 실효성 있는지 전면적으로 재검토해야 한다"며 "논공행상식 유공 교원 포상 형태의 대가성 연수가 아닌 묵묵히 현장에서 일하는 여러 분야 교원들을 위한 기회가 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시교육청은 일반고 대학 진학 실적을 토대로 한 연수가 아니라고 강조했다.

시교육청 관계자는 "특성화고 교사들은 학교당 1명씩 별도 프로그램으로 연수를 가고, 이번 연수에는 진학뿐 아니라 진로 전담 교사도 8명이 포함됐다"며 "대상 선정에도 단순히 대학을 잘 보내느냐가 아니라 평소 진학 프로그램을 효율적으로 운영하는지 등 실질적인 내용을 반영했다"고 말했다.

 

https://www.yna.co.kr/view/AKR20190619076300054?section=local/gwangju-jeonnam/index

,

광주KBS

,

학생활동 거점이었던 전남대학교 대강당이 학생 대관에 소극적이어서 '대학판 젠트리피케이션'이라는 비판이 나왔다.

17일 학벌 없는 사회를 위한 시민모임에 따르면 2016년 5월부터 지난해까지 전남대 민주 마루 55회 대관 중 학생자치 활동은 2017년 기독연합회 복음 토크 콘서트, 지난해 총학생회 출범식 등 두 차례뿐이었다.

전남대 대강당은 1975년 건립돼 2015∼2016년 리모델링을 거쳐 현재 민주 마루로 재탄생했다.

2014∼2015년 3월까지는 약 40회 대관 중 4개 행사를 빼고는 동아리 연습, 공연, 학생회 행사 등이었지만 리모델링 후에는 공연, 강좌, 대학 주최 행사 등에 주로 활용됐다.

학생들은 꾸준히 대관을 요청지만, 대학본부는 참여 인원이 적다는 이유로 대관을 거부하고 있다고 시민모임은 지적했다.

대학본부는 규모가 작은 용봉홀 컨벤션홀 대관을 권장하지만, 해당 건물에서 대학원 수업이 이뤄져 소음을 이유로 대관이 거부되기도 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시민모임 관계자는 "리모델링으로 투자된 돈이 정작 학생들을 위해서가 아니라 엉뚱한 곳에 쓰이게 된 셈"이라며 "정작 학생들이 자유로운 활동의 거점을 잃어버린 현상은 다양한 활동으로 관심을 불러일으켰다가 부동산 가격이 올라 주민과 예술가 등이 내쫓기는 젠트리피케이션과 매우 유사하다"고 평가했다.

https://www.yna.co.kr/view/AKR20190617043700054?input=1179m&fbclid=IwAR2YuhoXYPl8KghduXGtCHdpwzakOrsfC--TlNcayx-9Ix9Ma0oTtG3Ns3U

,

【광주=뉴시스】송창헌 기자 = 전남대학교 학생자치 활동의 거점이었던 '민주마루'(옛 대강당)가 젠트리피케이션 논란에 휩싸였다.

학벌없는 사회를 위한 시민모임은 17일 "지난 1975년 건립돼 2015∼2016년 리모델링을 거쳐 현재의 민주마루로 재탄생한 옛 대강당이 리모델링 이후 학생자치 활동 횟수가 눈에 띄게 줄어 '대학발 젠트리피케이션'이 우려된다"고 빍혔다.

젠트리피케이션은 도심 개발이 가속화되고 인구가 몰리면서 임대료가 올라 가난한 지역 예술가나 원주민들이 해당 지역에서 쫓겨나는 현상을 말한다.  

학벌없는 시민모임에 따르면 2014~2015년 3월까지 40여차례 대관 중 4개 행사를 제외한 모든 행사가 동아리 연습이나 공연, 학생회 행사 등의 목적으로 대관된 반면 리모델링 이후인 2016년 5월부터 지난해까지는 55차례 대관됐으나 학생자치 활동에 사용된 종교단체 복음 토크콘서트와 총학출범식 등 단 두 차례에 불과했다.

대학본부 측은 규모가 작은 용봉홀 컨벤션홀 대관을 권장했지만, 이마저도 해당 건물에서 대학원 수업이 이뤄지고 있어 소음을 이유로 대관이 거부되는 경우도 종종 발생한 것으로 알려졌다. 

학생 자치활동이 줄면서 전체 대관건수도 2017년 20건, 지난해 20건으로 리모델링 전에 비해 반토막 수준이다. 

황법량 상임활동가는 "비슷한 일은 학생회관 리모델링에서도 빚어지고 있으며 학생자치 활동을 이유로 세워진 예산이 정작 학생들을 기존 공간에서 쫓아내는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며 "학생을 배제 대상으로 바라보는 기조를 바꿔 시설물을 학생들에게 개방해야 하고 기존 학생공간을 축소할 게 아니라 학생 당사자들과의 논의를 거쳐 사업을 추진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전남대 대강당은 학생자치의 중심으로 학생들이 쉽게 접근할 수 있고 소음피해 걱정없이 자유롭게 활동할 수 있는 공간이었다. 1980년 전남대 총학 재건 시기에는 당시 재학중이던 고(故) 박관현 열사가 발표자로 참가해 화제가 됐던 '학원자율화 공청회'가 열린 바 있고, 1977년에는 박효순 열사의 주도로 알베르 카뮈의 연극 '정의의 사람들'이 공연되기도 했다. 

http://www.newsis.com/view/?id=NISX20190617_0000682751&cid=10809

,

MBC

,

KBC

,

 

광주KBS

,

 

여수MBC

,

CMB광주방송

,

학령인구 감소와 학급당 원생수 동결 조치 등으로 인해 유치원생들의 학습권이 침해되고 있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9일 학벌없는사회를 위한 시민모임에 따르면 광주지역 유치원들의 학급당 정원이 지난 2014년부터 올해까지 6년 연속 동결됐다.

이같은 정원 동결로 광주지역 유치원 학급당 정원은 단일반 만3세 18명, 만4세 22명, 만5세 25명, 혼합반 22명으로 전국 시·도 평균을 대부분 웃돌고 있다.
  
특히 혼합반의 경우 통합교육의 가치를 실현할 수 있도록 복수 담임제도 등 지원책이 필요함에도 유아들의 발달 특성과 나이, 환경 등을 고려하지 않고 일률적으로 1명의 교사가 감당하게 해 행정편의 아니냐는 지적도 나온다.

박고형준 상임활동가는 “2020~2022년 유아 수용계획을 수립할 땐 학습권과 교육권 보장 차원에서 정원을 대폭 줄여야 한다. 유치원 취학 수요조사도 형식적으로 하지 말고 수요자 입장이 반영될 수 있도록 내실을 기해야 한다. 동시에 중장기적으로는 공립의 시설 확충, 학급 증설, 단설유치원 추가 설립 등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무등일보 http://honam.co.kr/article.php?aid=15574140005832010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