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학 도서관을 지역 시민에게 개방하는 문제에 대한 찬반 논란이 일고 있다. 사진은 부경대 중앙도서관. 이송희 시민기자 제공


대학 도서관을 지역 시민에게 개방하는 문제에 대해 시민단체와 학생들의 시각이 사뭇 다르다.

 

도서관 개방을 둘러싼 갈등은 최근 광주의 한 시민단체가 국·공립대학 3곳을 대상으로 '대학 도서관을 지역민이 이용하도록 해 달라'며 헌법소원을 내면서 더 첨예화되고 있다.

 

헌법소원을 낸 시민단체 '학벌 없는 사회를 위한 광주시민모임'은 "대학 도서관은 국가와 지자체의 재정 지원 등 사회적 비용으로 만들어졌다"며 "대학도서관이 대출 및 열람을 불허한 것은 시민의 알 권리와 교육받을 권리, 평등권, 행복추구권을 침해한 것이다"고 주장하고 있다.

 

하지만 이에 대해 대학생들의 의견은 다르다. 학생들은 도서관의 무조건 개방을 반대하는 의견이 많다. 이들의 주장은 '재학생이 사용하기에도 현재의 도서관 공간이 부족하다'는 것이다. 또한 학생들은 면학 분위기를 해칠 우려가 있고, 물품 분실의 위험도 있다고 주장했다. 


부산대 정지훈 학생은 "지역민을 위한 도서관이 구마다 있는데 굳이 대학 도서관까지 개방해야 하는지 의문이 든다"고 말했다. 부경대 김수민 학생 역시 "일반인이 열람실에 들어와서 면학 분위기가 흐려져 눈살이 찌푸려지기도 했다"고 말했다. 시민단체의 반발도 만만찮다. 시민단체는 일부 대학 도서관은 지역민이 이용할 만한 충분한 조건을 갖추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폐쇄적인 운영을 해 온 사실을 발견했다고 주장했다. 이들은 특히 "대학 도서관은 모든 이들이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어야 한다"며 "자료 대출은 물론 충분한 공간 확보도 필수적이다"고 말했다. 


부산 지역 대부분 대학은 연회원이나 신분증 제시 등의 절차를 거쳐 일부 시설을 개방하고 있다. 다만 최소한의 열람실을 제외한 나머지 공간은 일반인의 출입을 통제하고 있다.


그러나 엄격하게 일반인의 열람실 출입을 통제할 방법이 마땅치 않고, 이 때문에 중·고생의 무분별한 출입으로 이어져 면학 분위기가 깨지자 학내 커뮤니티를 중심으로 재학생의 불만 여론이 높았다. 이는 고스란히 도서관 개방의 반대 견해로 굳어졌다. 


교육 전문가들은 국가와 지자체의 지원 등으로 이루어진 대학이 지역민의 요구를 전적으로 무시하기는 어려운 처지라고 분석한다.  


실제 서울시립대의 경우는 시의회로부터 약 1억여 원의 예산을 배정받으면서 점진적으로 도서관 일반열람실을 개방하는 방안을 추진했다. 한양대 역시 성동구청과의 협약을 통해 만 19세 이상 지역 주민을 대상으로 도서관 자료 열람실을 개방한 것으로 알려졌다. 한 전문가는 "합의를 통해 대학 도서관의 지역민에 대한 개방이 바람직하다. 이와 함께 해당 지역 공공도서관의 시설을 확충하고 신설하는 것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이송희 시민기자


부산일보 http://news20.busan.com/controller/newsController.jsp?newsId=201501100000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