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말, 한 방송프로그램에서 방영된 감정노동자들의 생생한 현실을 다룬 ‘가면 뒤의 눈물’이 화제입니다. 감정노동이란 실제 자신이 느끼는 감정과는 무관하게 직무를 행해야 하는 감정적 노동을 이야기하며, 이러한 직종 종사자를 감정노동 종사자라 합니다. 

이러한 감정 노동자들의 직장이나 하는 일은 제각각입니다. 대형마트 캐셔, 지하철 역무원, 스튜어디스 지망생, 콜센터 직원, 간호사 등. 그들은 늘 밝은 미소와 친절한 말씨를 갖추어야 하고 혹여 고객이 폭언을 퍼붓고 무리한 요구를 한다고 해도 받아주어야 합니다. 서비스를 받는 소비자가 서비스를 제공하는 노동자들에게 필요 이상의 요구를 하거나 인격을 모독하는 행위를 해도 감정노동자들은 고개를 조아리거나 연신 죄송하다고 말해야 합니다. 소비자의 권리가 높이 평가되는 동안, 감정노동자들은 하등한 인간이 된 것 같은 모멸감과 우울증에 시달립니다.

이미 우리사회의 노동시장 왜곡은 정점에 다달아 저임금과 열악한 대우마저 감내하지 않으면 안되는 노동력이 여전히 많으며, 이 중 여성노동자 비율이 단연 높다는 것도 주목할만 합니다. 우리 사회는 어떤 방식으로 ‘감정’을 상품화하고 있는 것일까요?

6월 인권정책라운드테이블에서는 ‘미소 노동자’라고 불리우는 감정노동자들의 인권문제를 다룹니다. 실은 우리 모두 감정노동에서 완전하게 자유로울 수는 없기에 감정노동, 이대로 좋은지, 해결방안은 있는지 모두 머리를 맞대볼 문제입니다.


제16차 인권정책라운드테이블

○ 일시 : 2013년6월28일(금) 오후 4시~6시

○ 장소 : 광주NGO센터 3층 다목적강당

○ 주제 : 감정노동, 이대로 괜찮은가?

○ 강사 : 권수정(전 아시아나 노조위원장)

,

용돈이나 사회경험을 위해 청소년들의 노동(아르바이트)이 늘어나고 있습니다. 하지만 일한만큼 정당하게 돈을 받지 못하거나 인권을 무시당하는 경우가 허다합니다. 임금체불, 최저임금을 못 받는 것은 기본이고, 야간수당이나 주휴수당, 산재보험은 꿈도 꾸기 어려운 경우가 많습니다. 심지어 폭행과 성추행을 당하기도 합니다. 


우리 사회에서 노동인권이 제대로 보장받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지만, 특히 청소년 노동은 노동인권의 사각지대입니다. 학교에 다니고 있는 청소년이나 학교 밖 청소년이나 그 사각지대에 놓여 있는 것은 마찬가지입니다. 이러한 현실에 비해 우리 사회의 관심은 턱없이 부족하기만 합니다.


5월 인권정책라운드테이블에서 ‘청소년 노동, 무엇이 왜?’ 문제인지 살펴보고자 합니다. 청소년 노동의 현황과 문제점, 그리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 교육과 지역사회가 무엇을 해야 하는지에 대한 고민을 나누고자 합니다.


청소년 노동의 일반적 현황과 문제점에 대해서는 이수정 노무사가, 광주 청소년 노동의 현황과 과제에 대해서는 임동헌 교사가 얘기합니다. 청소년 노동인권을 보장하기 위한 지역사회의 접근 방법에 대해 공부하고 토론하는 자리가 되었으면 합니다. 누구나 참여할 수 있습니다.


- 일시 : 2013. 5. 30.(목) 오후 4시

- 장소 : 광주NGO센터 3층 다목적실

- 주제 : 청소년 노동, 무엇이 왜?

- 강사 : 이수정(청소년노동인권네트워크, 노무사)

임동헌(전남공업고등학교 교사)

- 주관 : 광주광역시교육청 민주인권교육센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