앎이 아닌 삶에게 (2010.6.24 김규항 강연회 후기)


정다영 (대학원생)

 

1.jpg 

김규항은 누구?

○ 경력

․ 출판사 야간비행 운영

․ 출판사 고래가 그랬어 운영

․ 사회문화비평지 아웃사이더 편집주간

․ 칼럼니스트

(1998, 씨네21, 유토피아, 디스토피아)


○ 저서

․ 가장 왼쪽에서 가장 아래쪽까지, 예수전, 나는 왜 불온한가, B급좌파


후기랍시고 강연회의 내용을 되풀이하는 것은 별 의미가 없어 보인다. 강의가 궁금한 사람은 학벌없는 사회 광주모임 홈페이지에 들러 강연회 동영상을 차분히 보면 될 것이고, 꽤 긴 강연이기 때문에 좀 지루하게 느껴지는 사람은 김규항의 홈페이지에 들러 시간 나는대로 짬짬히 글을 읽어보면 충분하기 때문이다. (사실 그는 말보다는 글이 더 좋은 사람이다.) 여기서 나는 김규항에게서 우리가 들어야할 것이 무엇인가에 관해 짧게 이야기하는 것으로 후기를 대신하고자 한다.


강연이 끝난 뒤 내가 만난 몇몇 사람들의 반응에 오랫동안 마음이 무거웠다. 물론 그의 강연에서 많은 사람들이 각자 중요한 것들을 가지고 갔을 테지만, 유독 내가 만났던 사람들은 강의의 내용이 부실했다거나 별 내용이 없었다는 말들을 했기 때문이다. 왜 어떤 사람들에게는 그의 말들이 새로울 것이 없는 뻔한 이야기처럼 들렸을까. 또 왜 어떤 사람들에게는 그의 말들이 그가 계속 써온 글들에 대한 반복이었음에도 불구하고 새로운 울림으로 다가왔을까.


그의 말은 새롭지 않다. 그의 말이 다 알고 있는 이야기인 까닭은 그는 사회에 대한 새로운 해석이나 이론을 내놓는 사람이 아니기 때문이다. 그의 말과 글은 우리의 인식의 즐거움을 향해있지 않다. 오히려 그는 우리가 잃어버린 정서와 생활태도, 가치관을 향해 말한다. 제주 해녀 할머니가 굳이 해녀복을 입지 않고 잠수를 하는 까닭이 해녀복을 입으면 나 혼자서 더 많은 수확을 얻을 수 있음에도 다른 사람들의 수확을 위해 생물들을 남겨두기 위함이었다는 예를 들면서 그는 그것이 가까운 과거의 우리들의 심성이었다고 말한다. 제 삶의 풍요를 생각하느라 남의 삶을 생각하지 않게 된 우리의 마음이 현재의 이명박 정권의 출현과 자녀교육에서 드러났으며, 이 두 산을 넘어 새로운 세계로 가기 위해서는 먼저 그 잃어버린 마음을 되찾는 일부터 시작해야 한다는 것이 그가 지금 서있는 자리이다. 그는 “우리가 어떻게 해야 할까요? 어떻게 해야 인간적인 사회를 만들 수 있습니까? 어떤 사회가 좋은 사회인가요?”라고 묻는 사람들에게 “정말 다른 사회를, 인간적인 세상을 원합니까?”라고 그들의 마음에 되묻는 작업을 하고 있는 것이다. 그는 아는 것과 사는 것이 얼마나 다를 수 있는지, 그리고 그 둘 사이에 있는 거리 때문에 우리가 여기까지 왔다는 것을 너무도 잘 알고 있기 때문이다.   


그의 말에는 대안이 없다. 그는 ‘그래도 현실이…’라는 변명으로 계속 이대로 살아가면서 새로운 세상을 꿈꾸는 일은 불가능하며, ‘그래서 현실이 이렇다’는 반성을 통해 지금 새롭게 살아가기를 시작해야 한다고 말한다. 그렇다면 어떻게 해야 하는가, 학원을 끊으면 당장 우리 아이는 같이 놀 친구가 없는데 어떡하나, 대학을 안가면 취직은 어떻게 하고 어떻게 먹고 사느냐고 묻는 질문들에 그는 독일 사회에서 살아가며 교육문제에 관해 글을 쓰는 무터킨더 박성숙의 책 이야기를 들려준다. 우리가 사는 곳은 독일이 아닌데 그런 이야기가 무슨 소용인가 싶지만, 우리가 그 책에서 배워야 할 것은 우리가 얼마나 뿌리깊게 경쟁의식에 길들여져 있었는지를 체감하고 그것을 버리려는 노력에서부터 새로운 삶의 가능성이 열릴 수 있다는 사실이면 충분하다. 그러므로 그의 적, 우리의 적은 외부에 있는 타자가 아니라 나 자신 속에 내면화된 그러나 우리가 비판하는 사회의 가치들, 바로 나 자신이다. 그런데 나만 달라진다고 세상이 달라질까, 오히려 나만 혹은 내 아이만 사회에서 도태되는 것은 아닐까. 그래서 그는 어린이 잡지를 만들고 또 고래커뮤니티를 만들어, 비슷한 고민을 하는 사람들과 연대하는 장을 마련하고 있다. 대안이라고 말하기는 턱없이 부족하지만 누군가 길을 내기 시작하면 길이 다져지고 넓어지는 것은 생각보다 빠른 속도로 진행될 수 있기 때문이다.     


그의 말은 새롭지도 그럴 듯한 대안을 제시하지도 않지만, 그럼에도 그의 말은 아름답다. 아름다울 뿐 아니라 또 언제나 새롭다. 이 아름다움을 설명하기 위해서 최근의 독서에서 김선우의 소설을 예로 들고 싶은데, 김선우의 <<캔들 플라워>>를 읽으며 느껴지는 감동과 아름다움은 문장의 미려함에서 오는 것이기보다는(물론 문장 자체도 좋지만) 세계관의 아름다움에서 비롯되었듯이 김규항의 말과 글에서의 감동 역시 비슷한 근원을 가지고 있다. 그의 말과 글에서 외화된 것들보다 그 속에 자리한 세계관과, 고민들, 삶의 긴장에 대한 노고를 생각하다보면, 이 시대에도 이런 이들이 살고 있어서 아직 살만하고 다른 세계를 꿈꿔볼 수 있는 것 아닌가 싶어진다. 또한 그의 말이 새롭지 않음에도 언제나 새로운 까닭은 점점 나이가 들수록 실천의 어려움 때문에 생각의 급진성도 거기에 맞추어 줄어드는 것이 아닌가 의심되는 나를 비롯한 많은 사람들과 달리, 그는 실천의 보폭을 생각의 급진성에 맞추어 가려고 노력하는 몇 안 되는 사람 중의 하나이기 때문이다. 

,